- 상위 문서 : 국력
목차
1 개요
신흥공업국(NIC; Newly Industrializing Country)은 1979년 OECD 보고서에서 아시아의 신흥공업지역(NIE; Newly Industrializing Economy) 대한민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와 기타 개발도상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은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됨에 따라 현재 이것에서 제외되었으며,[1] 개발도상국 중 공업화 정책을 통하여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는 국가들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21세기 대표적인 신흥공업국들
BRIC | 브라질 |
러시아 | |
인도 | |
중국 | |
ASEAN-5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
태국 | |
필리핀 | |
베트남 | |
MINT | 멕시코 |
인도네시아 | |
나이지리아 | |
터키 |
이외에도 꽤 많다.
3 목록[2]
3.1 1979년, OECD 보고서[3]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남유럽 | 남아메리카 | |||||||
중화민국 | 싱가포르 | 한국 | 홍콩 | 유고슬라비아 | 그리스 | 포르투갈 | 스페인 | 브라질 | 멕시코 |
OECD 보고서에서는 신흥공업국의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
- 세계의 공업생산과 공산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급속한 확대
- 국내 공업부문의 생산, 고용 비율의 증대
- 1인당 GNP의 높은 성장률 등 선진국과의 격차 축소
- 수출주도산업화 공업성장전략 채택
3.2 1981, 세계은행[4]
아시아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이스라엘 | |
터키 | |
유럽 | 그리스 |
포르투갈 | |
스페인 | |
불가리아 | |
헝가리 | |
루마니아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멕시코 | |
아르헨티나 | |
칠레 | |
우루과이 |
1100 달러 ~ 3500 달러[5]의 높은 1인당 명목 소득을 갖고 있으며 연간 최종재 생산액 중 제조업이 20%를 초과화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3.3 1982, Bradford, Colin L Jr의 논문[6]
아시아 | 남아메리카 | ||||||
중화민국 | 싱가포르 | 한국 | 홍콩 | 인도 | 브라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4 관련 항목
- ↑ 반면 대만과 홍콩, 싱가포르는 아직까지 공식적으로는 선진국으로 분류되지 못했다.
- ↑ Catch-up Industrialization: The Trajectory and Prospects of East Asian Economies, Akira Suehiro 에서 2차 인용하였으며 1차 출처는 다음과 주석 2~4. Hirakawa, Hitoshi. 1992, NIE: Sekai Shisutemu to Kaihatsu (NIES: The World system and Development).5~6
- ↑ OECD, 1979, The Impact of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 ↑ Balassa, Bela. 1981. The Newly Industializing Countries in the world Economy, xix
- ↑ 오늘날로 따지면 3천달러에서 1만달러
- ↑ Bradford, Colin L Jr. 1982 "The Rise of the NICs as Exporters on a Global Scale" In Louis Turner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