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왕

1 고구려에서 사용된 군주의 칭호 중 하나

太王
고구려 중기에 금석문에서 발견되는 고구려 군주의 칭호이다.
광개토대왕비문에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중원고구려비에 고려태왕이라는 용례가 가장 유명하고 이외에 호태왕, 성태왕, 호태성왕 등의 바리에이션이 보인다.

용어의 성격에 관해서는 기존의 왕을 높여부르는 존칭인가, 제도적인 기반이 있은 군주호인가 등에 대해 이견이 있다.

구한말~일제강점기 때는 광개토왕을 가리키는 칭호로 인식된 것이 시작이나 이후 서봉총, 중원 고구려비, 태왕릉, 모두루묘 등이 연구되면서 고구려의 여러 임금을 가리키는 미칭 내지는 군주호로 주목받는다.

직접적으로 태왕호가 연구의 대상이 된 것은 70~80년대에 일본 학자들이 덴노 이전에 일본에서 통용된 대왕호 연구에 대해 부속적으로 다룬 것이 시작이다. 중원 고구려비가 발견되고 양기석, 노태돈 등에 의해 고구려의 천하관 연구가 시작되면서 해당 분야의 역사성을 대표하는 단어 중 하나로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외에 태왕릉, 고구려의 금석문 관련된 연구에서도 그 주인공을 밝히는데 단서로써 해당 용어의 성격을 다루기도 한다.

1.1 등장 계기

기존의 천손사상의 발전 + 중앙 집권 + 중화의식의 독자적 수용 + 5호16국의 벤치마킹

당시 중국 대륙에는 5호 16국 시대를 연 북방민족들은 천왕호를 칭하여 중화사상을 자기 나름으로 소화하면서 제민족을 아우르는 제국적인 위상을 도모했다. 고구려도 이에 자극받아 국제적으로 만주와 한반도 일대를 아우르는 입지를 갖추고 국내적으로는 제종족을 거느리고 왕권과 군주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기존의 천손의식과 결합하여 천하관을 정비하고 태왕호가 등장했으리라 보기도 한다.

1.1.1황제가 아닌가?

'황제라기에는 쫄리고, 그냥 이라기엔 허전해서 붙인 칭호'라는 인식도 적지않다.
초창기 일본의 태왕호 연구에서도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국제관계를 상정하여 이를 이해하는 범위에서 생긴 칭호라거나, 제호가 아니라 왕호 파생 단어이기 때문에 중국과의 국제적인 마찰 문제도 비켜날 수 있다는 계산 등도 가능성으로 제기되기에 아주 없는 말은 아니지만..
일단 태왕호 자체는 동아시아 조공 책봉체제에서 통용되는 왕작과는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용어로 이해된다. 또한 연구에서 대왕, 태왕의 혼용이 많았을 뿐 왕중왕 여부보다는 제도적인 기반이 있는 칭호인지 여부가 더 크게 갈리는 듯 하다. 왕이란 용어자체가 고조선 때 '천자(天子)'의 의미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용어이며 고대에는 황제를 단순히 보다 더 높은 칭호가 아닌, 중화권에서나 통용되는 이질적인 칭호로 받아들인 정황에 주목하여 태왕이든 대왕이든 왕에서 파생된 단어이되 중화권에서 황제, 북방에서 가한이 통용되듯 최고 지도자의 칭호로 의의를 찾기도 한다.

1.2 언제부터 사용되었나

광개토태왕비, 모두루묘지명 등을 보면 고구려 초기 임금들을 추모왕 유류왕 대주류왕 등으로 기재하는 것으로 보아 초창기에 태왕호를 제정했을 확률은 낮다.

4세기 후반 고국원왕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국강상성태왕이라는 용례가 가장 이른데 태왕 칭호가 사용되기 시작한 시대는 미천왕~고국양왕까지 설이 갈린다.

1.3 언제까지 사용되었나?

1.3.1 고담덕 특별 칭호다.

우선 태왕이라는 칭호가 발견된 것이 광개토왕비이기 때문에 가장 처음 퍼진, 익숙한 설이다. 학설로서는 거의 설득력이 없지만 태왕비, 호태왕 등의 용어나 태왕사신기 같은 대중문화에서의 작명센스 등도 어찌보면 그런 흔적이랄 수 있다.

1.3.2 5세기만 사용

현재 금석문상으로는 4세기 말, 5세기 중으로만 용례가 확인된다. 다만 애초에 남아있는 고구려인의 왕호 기록이 해당 시기 밖에 없기 때문에 5세기까지만 사용되었다 선을 긋기에는 애매한 부분

1.3.3 6세기 혹은 그 이후까지 사용되었다.

광개토왕 때 ~호태왕이라는 칭호가 비문에 등장한 이래의 시기, 삼국사기에는 ~호왕이라는 칭호가 고구려 임금의 이명으로서 많이 남아있다.
태왕호가 5세기에도 사용된 것은 확실하고 또한 특별히 칭호를 낮출 이유는 없는 점, 삼국사기에 남은 왕호는 당대 쓰인 풀네임이 아니라 그 파편이고 그 와중에 태왕 칭호가 생략된 것 등에 착안해서 삼국사기에 기록된 호왕이라는 단어를 ㅇㅇ호태왕의 약칭으로 이해하여 6세기 말 이후까지 사용을 추정하기도 한다.

그리고 고구려 유민 묘지명 중에 고을덕 묘지명에도 7세기에 태왕 용례가 등장한다.[1]

1.4 기존의 미칭과 다른 점

이외에 고구려 왕의 미칭으로 언급되는 용어들은 성왕, 신왕, 명왕, 대왕, 호왕 등이 있다.
다만 아래에 언급한 점 등에서 미묘하게 다르기에 단순한 왕의 존칭을 넘어 제도적인 군주호로 제기되기도 한다.
-시호나 관용적인 어구에 국한되지 않고 생시의 호칭으로 이용된다는 점
-고구려인들의 자체 기록에서 대부분 등장하는 칭호라는 점
-유일하게 완전하게 남은 고구려 군주의 존호에서 보이는 칭호라는 점

예를 들어 호왕의 경우에는 호태왕이라는 존호의 파편일 가능성이 있으며 시호로 보이는 부분 외의 용례가 없다. 성, 신, 명 등은 나라 가리지 않고 관용적인 수식어구로 흔하게 쓰이는 칭호이며 대왕의 경우에는 시대나 국가를 가리지 않고 으레 을 높여부르는 경칭으로 쓰이는 단어이다.[2]
때문에 단순히 선대왕의 존칭이나 시호가 아닌, 생전의 호칭으로도 사용된 것이 당대 기록으로 남아있는 태왕은 좀 다르게 취급받는 경향이 있다.

1.5 기타

여러모로 취급이 묘한 용어이다.
오늘날은 태왕이든 뭐든 왕으로 표기하면서 또 그 왕 가운데 특정한 인물은 존경의 의미로 임의로 높여 대왕이라 칭한다. 또 옛날의 대왕은 왕의 존칭인 경우가 많지만 왕중왕의 개념으로도 간주되기도 하기 때문에 대왕=왕<태왕=황제=왕<대왕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 태왕하면 광개토왕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현재 학설로서는 거의 위력이 없지만 광개토왕=호태왕으로 인식하는 학설이 남아있거나 태왕사신기와 같은 대중문화의 작명센스 등에서는 여전히 비슷한 식으로 흔적이 남아있다.
  • 특정 인물의 환빠 기질을 판별하는 단어 중 하나 쯤으로 싸잡아묶이는 인식도 가끔 보이나 사실 특별한 접점은 없다.
  • 태왕호를 미는 특정 학자는 책을 낼 때마다 출판사와 한번 이상은 꼭 싸운다고 한다. 대왕이 더 익숙한데 굳이 태왕이라 해야겠냐고(..)
  • 광개토왕비에는 광개토왕을 지칭하는 용례가 왕이 8번, 태왕이 4번 등장한다.[3] 따라서 광개토왕 때는 태왕과 왕의 칭호가 제대로 분화되지 않았거나 태왕=왕의 미칭으로 한정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4]
  • 앞서 언급했듯 한국사에서 천하관 운운하는 연구는 고구려의 그것에서 시작된 것이며 우리 역사에서 국력 면에서 월등한 성과를 남긴 고구려가 주목받는 경향이 강하긴 하다. 하지만 고구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적으로 국력의 신장과 더불어 천하관을 정비하면서 비슷한 경우가 등장한다. 앞서 언급한 천왕 칭호를 사용한 정복왕조나, 백제, 신라, 왜 등에서도 대왕, 태왕, 천왕, 천황 칭호와 더불어 독자적 천하관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 너무 지나친 의의 부여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2 신라에서 사용된 군주의 칭호 중 하나

신라에서도 태왕 칭호를 사용했던 흔적이 남아있는데 울주 천전리 각석성법흥태왕(聖法興太王)이라는 기록이 있고 북한산 순수비, 황초령 순수비, 마운령 순수비에는 진흥태왕(眞興太王) 기록이 있다.

신라는 고구려의 왕호를 사용하며 동시에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하는 것을 통해서 당시 고구려의 속국이었던 신세에서 벗어나고 자국이 마치 고구려가 하늘의 아들이라고 자칭하듯이 자국이 천하의 중심에 있음을 선포하려 했다. 또한 진흥왕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을 불교 신들의 이름을 따서 짓고, 진평왕석가모니의 아버지의 이름을 사용하는 등 고구려[5]와 중국[6]의 천하관과 불교를 이용하여 왕권 강화에 사용하였다.

마운령비창녕 척경비에는 태왕 외에 제왕(帝王)이나 (朕) 같은 용어도 사용하고 있어서 당시 신라가 천자국의 체제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3 네이버 웹툰 덴마의 등장인물

태왕(덴마) 참조.
  1. 다만 해당 묘지명은 진가에 의문도 제기된다.
  2. 당장 이성계만 하더라도 공식 존호에 성, 신, 명, 대왕 등의 수식어가 한꺼번에 다 들어간다.
  3. 이외에 모두루 묘지명, 중원 고구려비, 호우총, 서봉총 등에는 모두 고구려의 임금이 태왕으로 등장한다.
  4. 황제의 약칭으로 제를 표기하듯 태왕의 약칭으로써 왕을 표기한 것이라는 반론이 있기도 하다.
  5. 임금을 태왕이라 칭하는 것.
  6. 황제만 정할 수 있는 연호를 제정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