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왕

천황과 헷갈리지 말자 친왕과도 헷갈리지 말자

1 신의 경칭 또는 군주의 칭호

天王

참고로 천왕은 일본의 덴노(천황)라는 칭호의 성립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천왕이나 덴노(천황)의 天은 (특히 군주의 칭호일 때) 영어의 celestial, heavenly, 즉 '하늘에 관한', '하늘스러운', '하늘의 권위를 받은' 정도의 뉘앙스로 해석하는 게 적절할 듯하다. 만약 천왕이나 천황의 天을 '하늘의(of the Heaven)'라고 해석하면 말 그대로 하늘을 다스리는 최고 신(神)이라는 의미가 되는데, 천왕의 칭호를 쓰는 군주들이 동시에 '천자(하늘의 아들)'를 칭한 것[1]과 모순이 된다. 기독교삼위일체 이론을 도입하면 모순을 피할 수 있다. 실제로 천왕이나 천황의 天 부분을 영어로 직역할 때는 'celestial' 또는 'heavenly'로 옮기는 게 일반적이다.[2] 물론 신을 천왕이나 천황이라고 칭하는 경우는 of the Heaven으로 봐도 상관 없지만, 인간 군주의 칭호로 사용할 경우도 고려한다면 celestial, heavenly가 가장 무난하다.

1.1 불교의 천왕

불교에서는 천신(天神)에 대한 경칭으로 천왕이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사(대)천왕(四(大)天王) 같은 용어가 그 예다.

1.2 단군 신화

환웅을 환웅천왕, 단군왕검을 단군천왕이라고도 부른다. 해당 항목 참고

1.3 주나라 왕의 별칭

주나라 왕은 천자(天子) 또는 천왕이라고도 불렸다고 전해진다.

1.4 오호십육국·남북조 시대 유목 민족 왕조 군주의 칭호

중국에 '침투'해 나라를 세운 북방 유목 민족들은 황제라는 칭호 대신 천왕이라는 칭호를 쓰는 경우가 있었다. 역사 기록에는 ·의 제도를 취한다고 취지를 설명이 전하고 있는데, 아마 이외에도 불교의 영향 등 복합적 이유가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최근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북방 유목 민족은 본래 중국의 천자에 대응되는 선우(單于)라는 칭호가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한족 왕조가 외부 유목 민족의 지도자에게 책봉해주는 제후 칭호처럼 변질돼서 이를 대체할 칭호로서 천왕이 등장했다는 것. 아직 통치 체제상 북방 유목 민족과 한족의 융합이 이뤄지기 전이라 전자를 위한 칭호를 천왕, 후자를 위한 칭호를 황제로 했으리라고 추정되고 있다.[3][4]

그래서 오호십육국과 남북조 시대의 북방 유목민 왕조의 군주들은 평생 천왕만 칭하고 사후에 황제의 시호를 받거나, 아니면 천왕을 했다가 아들에게 천왕 직위를 물려준 뒤 본인은 태상황제라고 한다든가 하는 일들이 있었다. 또 황제를 칭하고 있다가 중간에 천왕으로 바꾸거나,[5] 반대로 천왕을 칭하다가 황제로 바꾸는 등의 일들이 기록에 보인다.

참고로 역사학자들은 고구려가 자국의 왕을 태왕(太王)이라고 한 것이나 백제·가 자국의 왕을 대왕(大王)이라고 한 것 등이 이 천왕 칭호와도 관련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관련성을 연구하기도 한다.

다음은 이 시대에 천왕을 칭한 사례들 중 일부이다.

  • 한(漢)[6]: 318년 외척인 근준(靳準)이 황제 유찬(劉粲)을 죽이고 대한 천왕(大漢天王)을 자칭하였다.
  • 후조(後趙)
    • 330년에 석륵(石勒)이 대조 천왕(大趙天王)을 칭했다가 같은 해에 황제를 칭하였다.
    • 334년에 석호(石虎)가 거섭조천왕(居攝趙天王)을 칭했다가 337년에 대조 천왕(大趙天王)으로 고치고, 349년에 황제를 칭하였다.
  • 전진(前秦): 357년 부견(苻堅)이 즉위하고 대진 천왕(大秦天王)을 칭하였다. 385년 부견 사후에 아들 부비(苻丕)는 황제를 칭하였다.
  • 적위(翟魏): 388년, 적료(翟遼)가 대위 천왕(大魏天王)을 칭하였고, 391년에 그 아들 적소(翟釗)가 이어서 대위 천왕을 칭하였다.
  • 후량(後凉)
    • 396년 여광(呂光)이 대량 천왕(大凉天王)을 칭했다. 399년에 아들인 여소(呂紹)에게 천왕위를 물려 주고 스스로는 태상황제(太上皇帝)가 되었다.[7]
    • 여소 이후로 여찬(呂纂), 조카 여륭(呂隆)이 천왕을 칭하였다.
  • 후진(後秦): 399년, 요흥(姚興)이 황제 칭호를 천왕으로 바꾸었다. 416년 요흥이 사망한 뒤 아들 요홍(姚泓)은 다시 황제를 칭하였다.
  • 후연(後燕)과 북연(北燕): 400년, 모용성(慕容盛)이 황제 칭호 대신 서인천왕(庶人天王)을 칭하였다. 그 후 모용희와 북연의 고운(高雲)[8], 풍발(馮跋), 풍홍(馮弘)의 존호도 모두 천왕이었고 사후에 시호를 황제라고 하였다.
  • 북주(北周): 557년 우문각(宇文覺)이 대주 천왕(大周天王)을 자칭했고, 559년에는 우문육(宇文毓)이 황제를 칭했다.

사례가 더 있으면 추가바람.

1.5 그 외 중국사의 자칭 천왕

  • 남송(南宋)의 양요(楊幺)가 대성천왕(大聖天王)을 자칭했다.
  • (金)나라 말년에 포선만노(蒲鮮萬奴)가 동진(東眞)이라는 나라를 세워 대진 천왕(大眞天王)을 자칭했다.
  • (元)나라 두가용(杜可用)이 천왕을 자칭했다.
  • (淸)나라 말기 태평천국(太平天國)을 일으킨 홍수전(洪秀全)과 그 아들 홍천귀복(洪天貴福)이 천왕을 자칭했다.

2 지명

天王 또는 天旺 등.

이런 지명을 가진 데가 굉장히 많아서 다 정리하기 힘들다. 나무위키에 있는 '천왕'이 들어간 지명이나 관련 시설물 이름은 아래에 추가 바람.

참고로 지명에 있는 '王'은 임금이라는 뜻과 더불어 왕성(旺盛)하다는 뜻을 중의적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데[9]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에 의해 "너네가 뭔 놈의 왕을 모시냐? 그냥 왕성하다는 의미로만 써라!"라는 식으로 旺으로 고쳐놓은 경우가 많다고 한다.[10] 그래서 이렇게 본래 지명의 王 자를 것을 旺 자로 바꿔 놨거나, 덴노와 연계하여 皇 자로 바꿔 놓은 경우 지명의 한자를 과거처럼 '王' 자로 원상복구해야 한다는 지적들이 나오곤 한다.

3 성전의 등장인물

天王

파일:Attachment/천왕/a0071368 4e0bcd406ab8b.jpg

다음에는, 저만을 위한 비파를 타주세요.

CLAMP의 만화 성전의 등장 인물. OVA판 성우는 츠지타니 코우지(한국 더빙 성우는 김환진).

천제인 제석천과 천비 사지 사이에서 태어난 천자. 추후 제석천의 뒤를 이어 천제가 될 예정인 인물.
본명은 불명이며 이 작품의 주인공인 아수라와는 이부(異父) 쌍둥이다. 하지만 그도 아수라왕의 피가 흐른다는 온갖 입소문을 듣어야 했다.

잔혹하기 그지없는 제석천과 야망에 가득찬 사지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것이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선량하고 다정한 남자. 외모조차 하나도 안 닮았다 신의 착각으로 인해 저 둘 사이에 태어난 게 아닌가하는 생각까지 들정도로 용케도 비뚤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곧고 바르다. 아수라에 대해서도 형제로서의 애정을 갖고 있는 듯하다. 그래도 제석천의 아들이 맞긴 맞는지 무(武)에 비범한 재능을 보여준다. 증장천의 말을 빌리자면 "다른 건 전혀 안닮았지만, 그 재능만은 제석천의 자식 답군" 시녀들의 말에 따르면 검술로는 아버지(제석천)와 대련이 가능할 정도니까 무예로도 이미 작중에서는 최강급이다. 증장천 말로는 사천왕 바로 밑의 실력이고 100년 정도후에는 승리를 자신할수 없다고 한다. 고로 제석천과 맞선다는건 시녀들의 표현이니 과장이 좀 섞인것으로 뭣보다 제석천의 성격 때문에 둘이 대련한 적도 없다는 것은 고려해야 한다. 흑화 아수라에게 쪽도 못쓰고 발리긴 했으나 사실 흑화 아수라는 제석천을 제외[11]하면 작중 최강자이고 애초에 아수라를 설득하던 도중에 기습으로 일격을 당한것이니 논외.

정신나간 사람들이 판치는 이 동네에서 증장천, 소마, 가루라왕과 더불어 얼마안되는 개념인 중 하나. 취향(?)까지 고려해보면 이 작품의 유일한 일반인이라 봐야할지도 모른다(…)[12]

천자라는 지위에 부담을 느끼고 있던 도중, 처음으로 자신을 특별 취급하지 않은 건달파왕을 만난 이후로 그녀를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건달파왕이 워낙 무심한데다 그녀에게 이미 임자가 있는 덕에 성과가 없었다.[13] 나중에는 용기를 내 그녀에게 청혼했으나 단칼에 거절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연의 아픔을 삼키며 상냥하게 "부디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행복하기를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고 진심으로 응원한 대인배.[14]

광묵천의 외동딸인 다마라의 격렬한 구애를 받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곤란해하고 있는 모양. 여러모로 연애쪽에서는 운이 나쁜 듯.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흑화 아수라가 애증을 가지던 또 다른 인물이기도 하다. 자신은 태어나자마자 멸시당했는데, 정작 동생인 천왕은 축복받으면서 성장했기 때문. 그 때문에 아수라는 사지를 죽이지 말라고 설득하려는 천왕을 공격해 부상을 입힌 후, 일부러 죽이지 않고 세계가 멸망하는 걸 끝까지 지켜보라며 놔줬다.[15]

에필로그에서는 천제로 등극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양반이라면 후대엔 변수가 없는 한 가장 뛰어난 천제로 평가받을 듯. 제석천 이전의 천제가 그 평가를 받았지만 근친상간을 저질렀으며 그걸 숨기기 위해 아내이자 누이인 존성왕과 아들인 공작을 모진 동굴에 유폐하고 고통을 준 치부가 있다. 작중에서도 신족 기준으로 겨우 300살밖에 안되었는데도 이 세계가 어찌하면 최선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진지하게 고민하는 장면도 어찌 보면 복선 중 하나. 그리고 회상 하는 걸 보면 건달파왕에 대한 마음은 무사히 정리한 것 같다. 부디 좋은 여자를 만나길(…)

3.1 그 외

참고로 CLAMP는 천왕을 가리켜 "소년처럼 서툴지만, 진지한 호의를 건달파왕에게 보내고 있다. 정직하고 다정한 남자지만, 건달파왕의 호감을 사지 못하고 있는 것이 딱하다" 라고 노골적으로 못박아 놓고 있다(…) 지못미. 외모면 외모, 능력이면 능력, 성격이면 성격, 인맥이면 인맥, 지위면 지위 등 집안이 다소 막장인 걸 빼면 모든 걸 가진 신의 아들 엄친아인데 사랑의 패배자라는 것 만으로도 왠지 모르게 처량맞아보이는 인물. 뭐 건달파왕의 성격을 고려하면 잘 된 일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가끔 자식이 가 아니라 친척을 닮는 경우도 있는데 이쪽이 바로 그 예인 듯. 부모는 날카로운 인상인데 천왕은 상대적으로 유한 편이고 성격 면에서도 이모랑 비슷한 점이 많다. 다만 외모적인 측면에서는 선한 눈매를 제외하면 의외로 엄마를 닮았다는 의견도 있는 편. 사실은 그림체의 문제

4 무협소설

황규영 작가의 무협소설. 총 7권 완결.
  1. 주나라의 왕은 천왕 또는 천자라고 불렀다. 그리고 일본의 덴노도 과거에는 (황)제나 천자라고도 불렸다.
  2. 일반적으로는 의역해서 그냥 emperor로 쓰지만 천왕/덴노의 정확한 뜻을 풀어서 설명할 때는 heavenly prince/heavenly king(천왕)이나 heavenly emperor(덴노) 등으로 직역한다. 또한 중화제국을 번역할 땐 황제들이 천자를 자칭했으므로 celestial emipre라고도 한다. 사전에서 celestial이라는 단어의 2, 3 번에는 '중국의'라는 뜻이 존재한다.
  3. 최근 이 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이 이런 천왕/황제 이원화를 비롯 이 시대만의 독특한 사회 질서를 가리켜 호한체제(胡漢體制)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용어로 검색하면 관련 논문들을 찾아볼 수 있다.
  4. 또, 당시까지만 해도 '황제'는 한족 왕조만 사용했었기 때문에 이민족 군주가 사용하기가 이민족 피지배층에 대해서도, 한족 피지배층에 대해서도 껄끄러웠으리라는 추정도 존재한다. 실제로 중국 밖에서 군주들이 스스로 중국와 황제와 비슷하게 행세하긴 했어도 아예 칭호까지 '황제'라고 하는 예가 등장한 것은 한참 후대의 일이다. 따라서 이민족 입장에서 황제라는 칭호는 진시황 이후 적인 한족 특유의 칭호로 인식해 거부감이 있었을 개연성도 지적되고 있다. 반면에 '왕'은 진시황 훨씬 이전부터 있었고 이미 한족 이외의 민족들에게도 전파돼서 일부가 쓰고 있었지만...
  5. 이 경우 역사서의 집필자들이 해석하길, 천왕으로 바꾼 것은 스스로 칭호를 낮춘 것으로 여겨서 그렇게 기재한 경우가 있다. 하지만 여기에 대해서는 최근 연구에서는 '낮춘 게 아니'라는 반론들이 있다. 황제와 천왕 사이에 단순하게 상하관계가 있다고 보아 스스로 '낮췄다'고 이해하기 곤란하다는 것. 대표적인 반례로 드는 케이스로는 전진부견이 있다. 부견은 일시적이긴 하지만 북조(北朝)를 통일했고 더 나아가 남방의 동진까지 흡수해 통일할 뻔했는데 끝까지 황제의 칭호를 쓰지 않았다. 부견은 자신의 출신 민족인 저족 뿐만 아니라 한족이나 다른 이민족들 모두를 포용하고 아우르려 했던 이상주의자로 평가되는데, 한족 중심의 황제 칭호보다는 천왕이라는 칭호를 통해 여러 민족을 통치하는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려 한 것으로 해석된다.
  6. 훗날 이름이 '조(趙)'로 바뀌어 흔히 전조(前趙)라고도 하거나 먼젓번 이름과 나중 이름을 합쳐서 한조(漢趙)라고도 한다.
  7. 당시 후량이 황제 대신 천왕 칭호를 썼으므로 태상천왕(太上天王)이 맞는 게 아닌가 해서 그렇게 '정정'해 적는 경우도 있긴 하다. 하지만 뭔가 나름의 이유가 있어서 일부러 정말로 아들은 '천왕', 본인은 '태상황제'로 했을 수도 있다.
  8. 고구려계이다.
  9. 자전을 찾아 보면 王 자 자체에 왕성하다는 뜻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단 의미에 따라 성조가 달라진다. 전통적인 4성음대로라면 '임금'이라는 뜻일 때는 평성(平聲), 왕성하다는 뜻일 때는 거성(去聲)이 되는데, 현대 표준중국어에서는 각각 2성(양평성) wáng과 4성(거성) wàng에 대응된다). 旺 자는 王의 여러 의미들 중 '왕성하다'라는 의미만 전문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글자이다. 한자들 중에 이런 식으로 후대에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생긴 글자들이 많이 있다. 정확한 의미 전달을 추구할 때는 후대에 만들어진 정확한 의미를 가진 글자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시(詩)처럼 일부러 중의성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일부러 의미가 광범위한 본래의 글자를 쓰는 경향이 있다.
  10. 이것을 日+王 즉 일왕(덴노)이라는 뜻으로 해놓은 거라는 주장도 보이는데 이건 잘못된 주장이다. 일본에서는 덴노를 일왕이라고 하지 않고, 또 한국인들이 일왕이라는 말을 쓰는 걸 불쾌하게 받아들인다. 그런 일본이 스스로 그걸 쓸 리가 있겠는가? 따라서 일왕설은 억측이다. 旺으로 고친 이유는 조선은 망한 나라니까 더 이상 스스로 왕을 모실 수 없는 식민지이므로 지명의 王 자의 여러 뜻 중에 '임금'으로 해석될 여지를 차단하기 위해 '왕성하다'라는 의미만 포함하고 있는 旺으로 고친 것이다. 다만 부수인 日이 들어간 旺을 쓰는 것은 일본(日本)의 왕성함을 표하려는 의도 또한 가지고 있었을 수는 있겠다. 한편 '천왕(天王)'이 들어간 지명들 중에 일부는 '천황(天皇)'으로 고쳐 놓은 경우들도 있는데, 이런 케이스들은 실제로 일제가 직접적으로 덴노를 기리고자 지명을 훼손한 경우가 맞다.
  11. 막 각성한 상태의 아수라는 육성의 힘을 용왕 하나밖에 손에 넣지 못했기에 당연히 제석천의 상대가 안된다. 설사 육성 모두의 힘을 손에 넣어 완전 각성한 파괴신 아수라라도 힘으로 찍어누를수 있는 인물이 제석천이다. 이는 공작의 힘으로 직접 언급된 부분이기도 하다.
  12. 인생의 승리자 로리콤(?), 백합녀, Po시스콤wer 등등.
  13. 사실 다른 여성 같았으면 어느정도 가능성은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상대가 안좋았다(…)
  14. 그런데 건달파왕의 대답은 "그건 불가능하답니다. 전 그 사람과 목숨을 건 싸움을 해야하거든요"였다. 어!?
  15. 중반까지는 아수라와 서로 공명하는 등 무언가 한가락 할 것 같다는 떡밥을 보여주긴 했는데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