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양왕

" />?width=50
고구려의 역대 국왕
17대 소수림왕 고구부18대 고국양왕 고이련19대 광개토대왕 고담덕
시호고국양왕(故國壤王) / 국양왕(國壤王)
고(高)
이련(伊連) / 어지지(於只支)
생몰년도음력? ~ 392년
재위기간음력384년 12월 ~ 391년 5월 (6년 5개월)

고구려 제18대 .

1 소개

故國壤王 諱伊連 【或云於只支】 小獸林王之弟也 小獸林王在位十四年薨 無嗣 弟伊連卽位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이름은 이련(伊連)【혹은 어지지(於只支)라고도 하였다.】이고 소수림왕의 아우이다. 소수림왕이 재위 14년만에 죽었는데 아들이 없었으므로 아우 이련이 즉위하였다.
ㅡ《삼국사기》고국양왕 본기

고국원왕의 아들이자 소수림왕의 동생. 광개토대왕의 아버지이다. 형님아들손자가 워낙 거물급이라 묻히는 감이 있지만 소수림왕에 이어 광개토대왕의 정복사업을 위한 기반을 닦았다.

385년 6월에 후연을 습격하여 요동,현도군 2군을 탈취했으나 후연의 건국자 모용수의 아들 모용농의 반격에 동년 11월에 도로 빼앗겼다. 다만 이 때의 요동경략은 훗날 광개토대왕이 요동을 완전히 장악하는데 전초전이 되었다고 보기도 하고, 요동 주민들을 끌고 오는 등 소득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1]

390년 백제 진사왕이 보낸 진가모의 군대에 도곤성을 빼앗겼다. 392년에는 불교를 권장하고 종묘사직을 수리했다. 또한 신라로부터 실성을 인질로 받아 광개토대왕-장수왕대로 연결되는 고구려의 신라 복속외교를 위한 전초전을 마련했다.[1]

광개토대왕의 원년과 고국양왕의 말년이 겹치는 것은 양위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들은 종종 볼수 있는데 조선태종세종에게 양위한적이 있고 태조왕 또한 왕제인 수성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나기도 했다.

2 삼국사기 기록

一年冬十一月 고국양왕이 즉위하다
二年夏六月 요동군과 현도군을 점령하다
二年冬十一月 요동군과 현도군을 다시 후연에 빼앗기다
二年冬十二月 지진이 발생하다
三年春一月 담덕을 태자로 삼다
三年秋八月 백제를 공격하다
三年冬十月 겨울에 복숭아와 자두 꽃이 피고, 소가 말을 낳다
五年夏四月 큰 가뭄이 들다
五年秋八月 농작물이 풀무치 피해를 입다
六年 기근이 들어 창고를 열어 구제하다
六年秋九月 백제가 남쪽 변경 지역을 약탈하다
七年秋九月 백제가 고구려 도압성을 침략하다
八年 신라가 실성을 보내 인질로 삼았다
八年春三月 불교를 숭상하고 사직을 세우고 종묘를 수리하다
八年夏五月 고국양왕이 죽다

3 대중매체에서의 고국양왕

이렇듯 대외적으로 공격적인 확장을 개시했으며, 국가기반을 다져 광개토대왕이 영토확장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둔 고국양왕이지만 대중매체 속에서의 취급은 그저 안습할 따름. 말 그대로 아들인 광개토대왕에게 모든 포스를 잡아먹혔다. 시종 유약하거나 선한 모습으로 그려지는 것은 기본이거니와 심지어 치세 중에 일궈낸 업적이 태자의 작품으로 둔갑하기도 한다...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때 광개토대왕은 고작 10대라는 사실. 고국양왕 지못미.

태왕북벌기에서는 고구려의 대장군으로 듬직한 마초적 포스를 보여주었지만, 그다지 큰 비중은 없다. 이 만화부터가 소수림왕의 뒤를 이어 고국양왕이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전부 광개토왕의 작품이라고 소설을 쓰고 있으니...고국양왕이 왕으로서 한 일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당하고 있는 상황.

태왕사신기에서는 독고영재가 이 역할을 맡았다. 권력 기반도 없는 상태에서 형 소수림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기에 귀족들에게 휘둘리다가 화천회의 음모로 석실에서 자살하며 이때 석실에 같이 있던 기하가 고국양왕을 살해한 것으로 본 호위무사 각단이 화천회의 포위망을 탈출해 담덕에게 알려주며 담덕과 기하의 관계가 꼬여버리는 단초가 되어버린다.

근초고왕(드라마)에서는 아역이 소수림왕만 등장해서 '설마 부여화의 아들이 고국양왕이 된다는 막장 드라마를 쓰는 건 아니겠지'라는 의혹을 사다가 남평양성 전투에서 무사히 장성한 모습으로 등장해 간신히 모든 의혹을 마무리했다.아버지가 전사하게 된 남평양성 전투에서 왕족들을 데리고 국내성으로 튀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배우김주환. 근초고왕을 인내심을 가지고 봤다면 어느 정도 여운이 남을 수 있나? 하지만 그 나물에 그 밥.

뒤이어 방영한 광개토태왕에서는 송용태씨가 이 역할을 맡았는데 대신들의 내란과 반목에 시달리며 레알안습 행보를 거치고 아내를 잃은 이후 아들 담덕에게 왕위를 물려 주면서 허망하게 지병으로 사망한 모습을 보였으니 시청자 입장에서는 "나의 고국양왕은 그렇지 않아!"라는 소리가 절로 나오는 모습.

재미있는 것은 송용태씨는 위의 근초고왕(드라마)에서는 적국인 전연의 황제 모용황이었다는 거다.[2] 포스는 괜찮은 편이지만, 그런데 여기서도 그 모용황의 아들 모용수에게 밀리는 역할이라서 보는 이들로 하여금 상당히 묘한 느낌들게 하는 캐스팅. 그러고 보면 독고영재도 박정희 연기는 포스가 있었는데 말이지.
  1. 원래 이 대목에는 '이상 391년조의 기록이 동사강목에는 광개토왕 원년의 것으로 되어있다'는 말이 들어가 있었지만, 사실 당연한 것이다. 고국양왕 말년이 바로 광개토왕 원년이기 때문에...틀린 건 고국양왕이 신라와 수교한 사건이 391년이 아니라 392년에 기록되어있다는 사실. 한국고전종합DB 동사강목 제2하 임진년조 참조.
  2. 게다가 대조영(드라마)에서는 당태종 역할을 맡았었다. 역시 선비족 계열인 당태종과 그의 아들이 고구려를 멸망으로 몰고 갔음을 생각하면 역시 묘한 캐스팅.대신아들이 앞서 선비족을 개발살냈으니 쌤쌤인 상황.덧붙여 티몬과 품바 한국어판의 품바 더빙을 맡은 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