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밍고

플라밍고
Flamingo이명 : 홍학
Phoenicopteridae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플라밍고목(Phoenicopteriformes)
플라밍고과(Phoenicopteridae)
  • 플라밍고과(Phoenicopteridae)
    • Phoenicopterus
      • American flamingo(P. ruber)
      • Chilean flamingo(P. chilensis)
      • Greater flamingo(P. roseus)
    • Phoeniconaias
      • Lesser flamingo(P. minor)
    • Phoenicoparrus
      • Andean flamingo(P. andinus)
      • James's flamingo(P. jamesi)

600px-Phoenicopterus_roseus_-Bhigwan%2C_Maharashtra%2C_India_-four-8.jpg
사진은 큰플라밍고(Greater flamingo, Phoenicopterus roseus)

Flamingo
아종으로 돈키호테 도 플라밍고가 있다 카더라 플라멩코가 아니다.[1]
홍학이라고도 하며 플라밍고과(Phoenicopteridae)에 속하는 조류의 총칭. 포에니코프테루스속(Phoenicopterus spp.)과 포에니코파루스속(Phoenicoparrus spp.),Phoeniconaias spp.의 세 속이 있다.[2]

생김새만 보면 두루미목이나 황새목에 속할 것 같지만 별 관련은 없고 독자적인 분류군에 속한다. 논병아리와 근연관계라는 의견도 있는 듯. 진짜 플라밍고인지는 모르지만 신생대 초기 지층에서 비슷한 새들이 많이 발굴된다.

구대륙과 신대륙에 둘 다 존재하며 철새이기도 하다.

휘어진 부리에는 여과기가 있으며 이것으로 플랑크톤 따위를 걸러먹는다.[3] 주로 먹는 먹이는 알테미아남조류 따위. 참고로 불그스름한 깃털은 알테미아에게서 나온다고. 색반전 돋네

flockbig_150.png
서양에서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홍학 장식인 핑크 플라밍고[4]도자기 노움 장식 수준으로 흔해빠진 물건이다. 이 물건의 개발자는 매사추세츠 피츠버그의 돈 페더스톤으로 그는 이 물건을 개발한 공로로 1996년 이그노벨상 예술부문을 수상했고, 그는 실제로 이그노벨상을 수상하기 위해 나타난 첫 번째 인물이기도 했다.

비둘기와 마찬가지로 어미가 목에서 젖 비슷한 액체를 분비해 새끼에게 먹인다고 한다.

저어새 중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깃털색을 얻는 종이 있다.

여담으로 화산에서 유입된 소다 탓에 핏빛을 띄고있는, 탄자니아에 위치한 나트론 호수가 유명한 플라밍고 서식지 중 하나인데, 실은 이 호수가 동물들이 앉자마자 화상을 입고 호수에 가득한 탄산수소나트륨 때문에 시체가 그대로 굳어서 자연박제 되어버리는 죽음의 호수다. 특이하게도 플라밍고는 탄산수소나트륨에 영향을 받지않아서 유일하게 호수에서 서식한다는데, 이유는 긴 다리가 탄산수소나트륨의 공격을 막아줬기 때문이다. 발의 물갈퀴 덕분에 플라밍고는 진흙에 빠지지 않으며, 부리의 필라멘트 조직은 물 표면의 해로운 미생물을 걸러내 준다. [5] 그리고 호수 자체가 다른 천적들의 접근을 막아주는 방패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곳서 무리를 지어 산다고. 이 부분은 2013년 10월 4일에 소개되었고, 얼마 후인 2015년 5월 3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시 소개했다. 홍학을 포유동물이라고 소개한 건 덤

여담인데 홍학 무리에서 우두머리를 찾는 방법은 아주 쉽다. 상태가 엉망인 수컷. 그도 그럴 것이 우두머리 자리를 차지하고자 엄청나게 싸우기에 깃털 빠지고 상처투성이가 될 수 밖에 없기 때문. 아주 곱고 상처자국 하나없는 수컷이라면 처음부터 우두머리 포기하고 있는 터라 무리에서는 싱글 신세가 되어버린다고 한다...예쁜 낙오자

서울대공원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동물로도 유명. 사육장을 보면 단면에 거울이 설치되어 있다.[6]
  1. 아기와 나 만화책에서도 플라밍고를 주인공 아버지가 플라멩코라고 잘못 말했던 걸 보면 외국에서도 흔한 우스개...일지도?
  2. 참고로 포에니코프테루스는 '불사조 날개'라는 뜻.
  3. 갈리미무스의 부리에 비슷한게 있어서 갈리미무스가 플라밍고처럼 먹이를 먹지 않았나 하는 의견도 있다.
  4. 심즈에서도 1부터 가장 저렴한 장식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5. [1]
  6. 홍학이 멋부리라고 한 건 아니고 번식률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실제 홍학은 자연상태에서 1000마리 이상인 무리에서 번식률이 높은데, 동물원 특성상 1000마리를 수용할 수 없으므로 거울로 대체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