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카피

1 판본/인쇄본

대학교에서 리포트나 논문을 제출할 때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파일 제출이 아닌, 종이로 프린트한 인쇄본을 가리키는 말. "과제는 하드카피로 제출하세요" = "과제는 프린트해서 가져오세요"라는 뜻이다.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쇄 매체를 사용하여 종이나 필름에 인쇄한 인쇄물" 이란 사전적 의미가 있어 이를 말하는 것인 듯 하다.

간혹 하드커버 책[1]을 하드카피라 부르는 곳이 있다고 한다.

2 CLI에서 화면을 출력/저장하는 것을 이르는 말

1980년대와 90년대 초반에 많이 쓰이던 말로, 요새는 스크린샷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2] 지금까지도 Hardcopy라는 말이 들어가는 스크린 캡처 프로그램들이 있다.

3 Ctrl+C, Ctrl+V

시스템 드라이브 등으로 복붙하는 방법.
고스트 등의 솔루션이 대중화되면서 이쪽을 지칭하는 하드카피는 묻혔다.

4 하드디스크 통째로 직접 복사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들고 가 다른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는 것. 1990년대 초중반 대용량 자료 이전 용도로 많이 쓰였다.

4.1 간략한 역사

아직 인터넷이 발달되지 않았던 1990년 초중반 시절 이동형 저장매체가 5.25인치/3.5인치 플로피디스크밖에 없었던[3] 그 당시 PC유저간의 대용량 데이터의 복사를 위한 방법이다.[4] 요새는 외장 하드디스크와 대용량의 USB 메모리가 보급되었지만, 그 당시엔 외장하드는 고사하고 그나마 고용량인 공CD조차 CD 라이터가 비싸서 어디 대학이나 기업체 같은 곳에서나 볼 수 있었던 시절이었다.[5]

이걸 하기 위해서는 하드를 설치하고 CMOS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 등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있어야 했다. 왜 그런 지식이 필요하나면 지금처럼 CMOS가 하드정보를 자동으로 알아채는게 아니라, 사용자가 일일이 정보를 쳐넣어줘야 했다. 예를 들어 주 하드는 마스터, 나머지 하드는 슬레이브 그런 식으로. 문제는 오래된 메인보드의 경우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핀세팅으로 강제용량 할당을 할수는 있지만 이경우 이전에 담아온 하드의 정보를 사용할수 없기에….

자신의 PC에서 하드를 떼어 내 친구의 집에 가져가 직접 하드에 담긴 데이터를 복사한다. 보통 이 시기의 대용량이라고 하면 약 10MB이상(80년대 초중반)/100MB이상(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급 이야기였다. 그 당시 압축파일이 도입되었지만 압축한다고 해도 3.5인치 플로피디스크의 용량은 고작 1.44메가밖에 안 되었기 때문에 10~20장 정도에 분할 압축해서 들고가야 했다. 멀티태스킹도 안되니 복사하는 동안에는 컵라면이라도 먹어야 했고, 거기다 플로피디스크는 훼손되는 일이 많아서 10장 정도 돌리다가 단 1장에서라도 에러가 나면 모든 고생이 헛수고로 돌아간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올라와서 플로피 10장에 복사를 떴는데 부산으로 돌아와서 복사한 데이터를 풀려고 하니까 뻑이 난 플로피가 1장 나오기라도 한다면... 어휴 참...

대용량은 직접 하드카피를 사용했다. 이때 하드카피하는 건 플로피 디스크보다 확실히 빠른 속도라 가히 빛의 속도라고 부를 수 있었다. 물론 덤터기로 바이러스도 묻어왔겠지

이 수단으로 PC통신을 사용하던 친구의 집에 하드를 들고 찾아가 직접 그 친구가 받아둔 파일을 복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물론 이동 중 취급 잘못해서 떨어뜨리기만 하면 뒷일은 차마…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지만, 이때의 하드는 그야말로 유리몸이었다. 들고 가다 어디 부딪히거나, 정말 재수없으면 정전기에도 맛이 가던 물건. 누구든 하드 취급 잘못하면 애지중지 쓰던 하드가 아주 골로 가는 것이었다.

실제로 운반 중 계단에서 10GB 하드디스크를 떨어뜨려 작살내고 멘탈붕괴돼서 울먹이던 프로그래머 이야기가 있었다. 당시 기준으로 10GB면 2015년 기준 1TB SLC SSD와 맞먹는 엄청난 물건. 지금은 그저 캄캄한 옛날 이야기지만. 또한 떨어지는 하드디스크를 슬라이딩이나 발로 받아내고 온몸의 전율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번 하고나면 마치 축구대회에서 결승골을 넣거나 승부차기에서 상대의 킥을 막아낸 골키퍼의 기분을 느끼게 된다.

이 당시 기본적으로 하드카피의 대비자세는 알루미늄 호일이나 정전기방지비닐로 포장 후 뽁뽁이로 두르고, 그 위에 수건 몇 장으로 둘둘둘둘 말아서 그걸 신문지포장 + 박스담기. 최소한 이정도는 해둬야 공포심을 억누를 수 있었다. 이걸 다 해도 하드디스크를 장착, 분리할 시는 스릴이 넘치게 된다. 많이 하다보면 '어차피 고장날건 고장나더라.'하는 기분이 되긴 하지만 그래도….

4.2 현재

이 수단을 위해 한때 하드랙이라는 이름의 결합/분리가 용이한 하드디스크 프론트엔드가 유행하기도 했다. 지금은 물론 시대의 유물 취급받지만 비슷한 원리를 가진 하드스왑 장치[6]는 지금도 당당히 현역이며, 데이터를 많이 가진 사람이 하드디스크를 손쉽게 교체하는 방법으로 쓴다. 2010년대 들어서는 케이스가 자체적으로 외부 SATA 연결을 지원하는 모델도 나온다.

하드랙 자체도 서버용으로는 당당한 현역이며[7], 지금도 초 고용량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가끔 사용하고 있다.[8] 여기에 하드카피 장치도 산업용으로는 건재하지만, 그 쓰임이 대량 복사 등으로 줄었을 뿐이다. [9] 대량 하드카피 장비의 예시

외장 하드 디스크를 쓰는 것도 일종의 하드카피라 볼 수 있...다. USB 메모리와 외장하드가 일반화된 요즘 내장 하드를 직접 하드카피하는 경우는 새 하드디스크나 SSD에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 외에는 거의 없다.
  1. 딱딱한 가죽이나 판지 등으로 표지를 만든 책
  2. 현대 GUI OS들에서 Print Screen 키를 누르면 즉시 클립보드나 파일로 기억되듯이 당시 CLI OS(DOS라든가...)에서는 Print Screen 키 하나면 바로 프린터엄청난 소음을 내며인쇄를 해 주었다.
  3. 물론 ZIP디스크 같은 10~100MB 휴대용 저장장치가 없는 것은 아니였으나 문제는 그 드라이브가 장착된 PC가 거의 없었다는 것. 즉 드라이브도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녀야 했는데 그러려면 아래 서술한대로 HDD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더 편리했다. 물론 집과 회사처럼 한정된 곳만 왔다 갔다 하는 경우나, 대용량 데이터를 많이 취급했던 출력소 같은 곳에서는 ZIP디스크 드라이브를 쌍방에 아예 장착해서 디스크만 갖고다니기도 했다.
  4. 90년대 중반만해도 14,400bps 모뎀으로 1메가바이트를 15분만에 받는 것이 자랑거리이던 시기이자 28,800bps가 '고속' 소리 듣던 시대였다. 56kbps 규격 논쟁은 Windows 98 출시 전까지 한국에서는 딴 나라 이야기였고그 때부터는 ISDNADSL이 치고올라왔지. 1기가바이트를 15분에 받으면 화내는정도가 아니라 ISP(회선사업자)를 갈아타는 2010년대의 상황에 비교해보면 그야말로 격세지감.
  5. 1995년 당시 CD 라이터의 가격이 약 200만원 정도 했다. 참고로 아반떼급 승용차 기본옵션이 800만원 안 되던 시절이다.
  6. 이것도 콜드 스왑(안전 제거 또는 껐다 켜야 정상 동작)과 핫 스왑(아이들 상태면 맘대로 탈착 가능)으로 나뉘지만, 콜드스왑은 개인용으로는 사장되었다.
  7. 서버에서의 용도는 이동성 보다는 신속한 교체를 위한 성격이 강하다. 서버의 하드디스크는 사용빈도가 높고 그에 따라 교체율도 높기 때문이다.
  8. 뉴타입에서 코드기아스흑풍에 제작과정이 그림으로 약간 나오는데 거기서 용량이 테라바이트 급이라 데이터 전송에 하드를 쓴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9. 이런 장비가 빛을 발하는 것은 같은 사양의 PC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시설. PC실/PC방/게임관련 이벤트 등. 일단 한대만 설치작업하고 그한대를 동시에 여러대의 하드디스크로 카피하면 설치시간이 압도적으로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