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대

연대구분
2000년대2010년대2020년대
세기구분
20세기21세기22세기
밀레니엄구분
제2천년기제3천년기제4천년기

1 개요

디지털 시대. 사건사고의 연대. 이슬람 극단주의의 광풍. 전염병의 시대

지금 당신이 살고 있는 연대[1]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2]

2 2010년대 정치, 경제, 사회

과학의 발달과 민주주의의 확산으로 평화로운 시대가 될거란 기대도 많았으나 여전히 세계각국에선 전쟁이 벌어지고 각종 테러가 빈발하고 있다.


2010년 ~ 2011년, Arab spring Timeline(아랍의 봄)

스마트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통신망의 진보가 눈부시게 진행되고 있는 시대로 이를 이용한 사회 운동도 본격화 되고 있다. 특히 2010년대의 시작을 장식한 2010-2011 아랍권 민주화 운동 역시 이러한 통신망의 진보에 크게 덕을 보았다.

경제적으로는 2000년대 후반에 터진 세계 경제 위기의 여파가 아직 남아 있으며 특히 남유럽의 경제 위기는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신자유주의 체제에 대한 의구심이 세계 시민들 사이에서 퍼져가고 있으며 이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사건은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의 유행과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서 산발적으로 일어났던 월가 점령 시위.

(2010~2014)브릭스, MINTG7의 명목 GDP 흐름[3]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추정치
단위: 10억달러(약 1조원)
미국 전체 명목 GDP: G7/G2014,96415,51716,16316,76817,416
중국 전체 명목 GDP: 브릭스/G205,9497,3148,3869,46910,355
일본 전체 명목 GDP: G7/G205,4955,9055,9374,8984,769
독일 전체 명목 GDP: G7/G203,3103,6313,4273,6353,820
프랑스 전체 명목 GDP: G7/G202,6512,8652,6882,8072,902
영국 전체 명목 GDP: G7/G202,2962,4642,4702,5232,847
브라질 전체 명목 GDP: 브릭스/G202,1422,4742,2472,2462,244
이탈리아 전체 명목 GDP: G7/G202,0592,1982,0142,0712,129
러시아 전체 명목 GDP: 브릭스/G201,5241,9042,0172,0962,057
인도 전체 명목 GDP: 브릭스/G201,7081,8801,8581,8762,047
캐나다 전체 명목 GDP: G7/G201,6141,7781,8211,8261,793
대한민국 전체 명목 GDP: G201,0941,2021,2221,3041,449
멕시코 전체 명목 GDP: MINT/G201,0511,1711,1851,2601,295
인도네시아 전체 명목 GDP MINT/G20709845877870856
터키 전체 명목 GDP MINT/G20731774788819813
나이지리아 전체 명목 GDP MINT373418467521594
800px-G20.svg.png
G20 참가국 지도[4]

정치적 영향력과 구도가 변화됨에 따라 기존의 G7체제로는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신흥국들과 지역강국 들이 포함된 새로운 체제가 대안으로 필요했다. 결국 국제사회에서는 G7를 넘어서 G20체제가 들어섰다.


Popular 2011 Tōhoku earthquake and tsunami & Japan videos,(도호쿠 대지진)

2011년 3월에는 일본에서 도호쿠 대지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라는 최악의 재난이 발생했다.

2.1 2010년대 사회

냉전 및 이데올로기 이후의 세대들인 1980년대생들과 1990년대초반생들이 성인으로 성장하고 본격적인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던 연대다. 이른바 에코세대가 성인으로 첫 진입한 시대. 독일의 경우 1990년 동서통일 이후에 태어난 세대들이 성인이 되었고, 러시아와 동유럽에서도 구소련 세대라 불리웠던 세대들에 이어서 신(新) 러시아연방/유로-나토 시대에 태어났던 세대들이 성인이 되었다. 국가를 이끌어나간다...라고 하기엔 도리어 2010년대 전반의 높은 실업율과 마주해야했지만.


(세대공감 토크파티 '해피투모로우') 송호근 '베이비부머 세대를 말한다..우리시대 50대의 자화상'

대한민국의 경우 대통령 김영삼의 문민정부 시대, 김대중의 국민의 정부 시대에 태어난 1991년 ~ 2000년생들이 성인이 되었거나 성인으로 성장중인 시기인데. 윗 세대들은 이들을 N세대라고 부른다. 이 세대는 1987년 민주화운동과 1988 서울 올림픽 이후 국제화 시대에 성장했으며, 동시에 마지막으로 인구적으로 유의미한 세대다. 특히 90년대 초반 세대는 80년대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고 97년 이후의 저출산 세대보다는 압도적으로 인구가 많다. 하지만 60,70년대의 386세대나 X세대처럼 유의미한 사회 변동을 불러오지는 못했다. 60~70년대 국민학교 한 학급당 60~70명 90~00년대 초등학교 한 학급당 35~25명

1950년대생 세대들이 육순 환갑 및 진갑을 맞이하는 연대며, 80년대 민주화에 기여한 1960년대생 '86세대' 베이비부머가 50대로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사회에서의 은퇴기를 맞이하게 되는 연대다. 다르게 말하면 인구 절벽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대라는 의미. 대한민국의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에 사실상 정점을 찍고 이후로 별다른 대책 없이는 줄곧 후퇴할 예정이다. 만성적인 경기 침체로 일본 따라갈 날이 머지 않았다는 분석도 많다.

수도 광역권의 의미가 넓어지고 지방 분산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여 충청권, 강원영서권 등으로 인구가 분산되었고, 그 과정에서 귀농 열풍도 있었다. 물론 이농 현상 자체가 중단 된 것은 아니며, 수도권 집중은 서울은 완화되었으나 경기도의 인구는 줄지 않았다. 경기도는 오히려 인구가 증가하여 지금은 약 1200만명에 이른다. 반면 서울은 1990년대 1200만명을 찍고 꾸준히 하향하여 이 연대 들어 천만명선이 무너졌다. 도리어 시골의 노령화는 더욱 심화되어 사고 지역이 대대적으로 늘어났다.

2.2 2010년대의 경제

세계 금융위기의 여파에 시달린 10년

미국의 선방. 유럽과 일본의 본격적인 쇠퇴. 러시아, 한국 및 신흥국들의 위기. 중국의 급부상과 정체의 시기라고 볼 수 있겠다. 우선 미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큰 타격을 받았지만 부동산 거품의 붕괴가 주원인이지[5] 국가 경제를 지탱하는 인적 기반 및 사회적 기반 자체가 무너진 것은 아니고 여기에 기축통화 발행국이라는 이점이 겹쳐[6] 구조조정과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되살아났고 여기에 셰일 혁명까지 겹치면서 결국 2014년 3분기 5% 성장을 기록하여 극적으로 살아났다. 다만 경제 위기 극복 과정에서 벌어진 중산층 붕괴와 연방정부 부채, 정치의 양극화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으며 또한 중국과의 정면 대결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평가다. 이후 성장률이 폭락하여 2015년 1분기 -0.2% , 그런데 2015년 2분기는 3.9%나 나왔다.

러시아와 유럽, 일본은 크게 쇠퇴했다. 유럽은 위에서 언급한 인적, 사회적 기반의 취약성이 경제위기 (유로존 위기)를 계기로 적나라하게 드러났는데 이게 가장 최악으로 치달은 나라가 그리스. 이외 남유럽국가들과 발칸 국가들도 특유의 부패와 낮은 경쟁력, 산업 구조 등으로 인하여 위기를 맞았으며 특히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국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과거의 식민지와 속국으로 떠나는 등의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7] 일본의 경우는 1990년대의 거품 붕괴에 구조적 문제까지 본격적으로 드러나면서 역시 위기를 맞았고 아베 신조가 아베노믹스를 제창하며 경제 살리기에 나선 상황이다. 러시아 역시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이후의 서방의 제재와 유가 파동으로 그 취약성이 드러났다.

반면 중국은 성장했다. 물론 최근의 성장세가 낮아지긴 했다고 하나 아직도 7%대의 성장률을 웃돌고 있다.러시아와 달리 제조업 위주 경제 구조고 13억의 인구를 기반으로 큰 시장을 형성한 점이 고려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경제 항목에서 보듯이 부동산 거품. 심각한 빈부격차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며 부패도 심각하다는 점이 불안요소. 이외 나머지 신흥국들의 경우는 위기를 맞은 나라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나라들도 있는데 대체로 산업 기반이 든든한 나라일수록 건재하고 그렇지 않은 나라일수록 위기를 맞는 추세다.[8] 2015년 중국 주식폭락도 주시할만한 문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경우 2009년 성장률이 0.2%에 그치고 GDP가 2007년 대비 무려 30% 가까이 폭락하면서 2만 달러 시대가 일시적으로 붕괴되었으나 2010년 6.2% 성장과 더불어 다시 회복하였다. 이후 2012년 한 해를 제외하고는 3%대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는데 아직 GDP가 주요 선진국의 기준인 35,000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28,000달러에 불과하고, 여기에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잠재 성장률의 하락 및 남북통일에 대비하여 미리 자산을 쌓아 놓아야만 한다는 점에서 좀 더 성장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일단 정부는 2015년 성장률을 3.5% 정도로 예상하고[9] 이후 4%대로 올리겠다는 입장. 그러나, 2015년 성장률은 2.7%에 그쳤으며 그 이후로도 경기부진이 이어져 3%회복조차도 쉽지 않게 되었다.

3 2010년대의 문화

3.1 2010년대의 음악


Pop Music 2010 - 2014

음악적으로는 아직 뭐라 판단할 수 없지만 2000년대의 음악처럼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보다는 이전 시대에서 제시했던 방향을 조합하는 식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굳이 차이가 있다면, 주로 록과 일렉트로니카 쪽에서 이루어졌던 이러한 시도가 2010년대에 와서는 흑인음악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정도. 기존의 R&B는 앰비언트, 힙합, 등의 영향을 받아 PBR&B, 혹은 Alternative R&B라는 이름으로 각색되기 시작했고, 이 흐름을 대표하는 뮤지션으로는 프랭크 오션, 드레이크, FKA Twigs 등이 있다. 힙합 역시 주류화되는 과정을 통해 과거에 비해 부드러워지고 웅장해졌으며, 시대를 대표하는 불후의 명반으로 자리잡은 칸예 웨스트의 5집이 이를 잘 상징한다. 물론 이에 반발하는 흐름 역시 존재하며, 켄드릭 라마Run the Jewels 등은 이러한 흐름과 무관하게 본인들의 스타일을 잘 살린 명반을 내놓았다.

일렉트로니카의 경우도 역시, 2000년대에는 언더그라운드에 있다가 스크릴렉스의 힘으로 메인스트림에 등장한 덥스텝-트랩 정도를 제외하면 새로운 흐름보다는 과거의 음악적 흐름을 따라가는 경향을 보인다. 2000년대를 풍미했던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은 이 시점에 오게 되면 신스팝의 형태로 변용되어 오버/인디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신스팝 그룹들이 등장하고 있다.



KPOP 2010-2011-2012KPop 2012-2014 (Copy)

한국 음악은 2000년대 후반기부터 시작된 아이돌 음악과 오디션 출신의 어쿠스틱한 가수들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소녀시대 등의 그룹은 일본, 태국 등의 아시아 지역에서 큰 사랑을 받았으며 유튜브 등 인터넷을 통해 서구권에도 열성적인 팬들 일부 확보하는 등 한국 아이돌 산업이 전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다. 한편 이 무렵 흥행하기 시작한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버스커버스커악동뮤지션이라는 대형 스타를 낳았고, 이는 이전부터 인디에 존재하던 어쿠스틱한 음악들과 맞물려 흥행에 성공하였다. 이들의 성공에는 아이돌 음악에 대한 20대 이상 대중들의 반감도 없지 않은 편이나, 아이돌 음악은 팬덤을 키우는 방향으로 방향을 선회하였기에 아이돌 음악의 위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이 외에도 인디 음악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커져서 인디 아티스트들이 공중파에 출연하는 등 활동 기반이 넓어졌다. 종합하자면 여러 방면으로 질적, 양적인 성장을 거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2012년에는 싸이강남스타일이 성공을 거두면서 한국 음악중 사실상 처음으로 전세계 음악시장을 뒤흔들었다.


(Movie Trailer) 건축학개론(ARCHITECTURE 101) 본예고

70년대 말 80년대 초반 년생들 즉 90년대를 향유했던 그 당시 10~20대들의 경제력이 커짐으로써 건축학개론,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 위대한 유산, 무한도전 토토가 등 90년대를 추억팔이하는 작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Japan Music Rank Yearly 2011, 2012, 2013, 2014Japanese~ Jpop MV 2014

일본 대중 음악은 시장을 이끌어갈 수 있는 신인 아티스트들이 부재한 가운데 중견 아티스트들만이 업계를 지탱하는 버팀목으로 건투하고 있다. 그 가운데 AKB48, 쟈니스 등 여러 아이돌만이 높은 음반 판매량을 거두며 사실상 일본 대중 음악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3.2 2010년대의 패션

전체적으로 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여러 시대의 패션들이 번갈아 빠르게 유행한다. 이렇게 유행이 빨리 변하는 데에는 유니클로자라등의 SPA브랜드들의 강세가 원인으로 꼽힌다.

4 이 시대에 등장한 것들

정확히 2010년대부터 등장한 것들만을 적을 것.

5 이 시대에 쇠퇴한(쇠퇴하기 시작한, 폐지된) 것들

이전 시대부터 201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쓰인 것들에 한하여 적을 것.

6 2010년대의 상징들

6.1 이 시대를 상징하는 것들

6.2 이 시대에 일어난 사건사고

이 사건사고들 대부분에 SNS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점, 2014년에 많은 일이 있었음에 주목하자.

6.2.1 국외

6.2.2 국내

6.3 이 시대에 치뤄진 스포츠 행사

6.4 유행어

6.4.1 초반

2010년~2013년까지 유행한 유행어들.

6.4.2 중반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나온 유행어들은 여기에 수록한다.

6.4.3 후반

7 2010년대생

2010년부터 2019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2016년을 기준으로 학교에 일찍 들어가지 않은 이상 이들은 모두 유치원생이거나 영유아다! 게다가 절반 정도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다

이들의 특징은 태어나서부터 스마트폰등의 전자기기를 접한다는 것이다. 식당을 가보면 폰으로 뽀로로를 보는 애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때문에 이들은 앞선 세대들보다 자폐아, 근시, 척추측만증의 증상이 심할 것으로 보인다.

8 2010년대에 들어가는 해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1. 언젠가 2020년대를 살아가는 위키니트라면 이 문장을 2020년대 문서로 이동시켜주기 바란다.
  2. 2011년부터 2020년까지라고 보는 견해가 있는데, 이는 세기의 계산 방식에 기인한 것이다.
  3. (2010~2014)브릭스, MINT와 G7의 명목 GDP 흐름
  4. http://ko.wikipedia.org/wiki/G20
  5.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항목 참고.
  6. 실제로 미국의 경제정책을 보면 한마디로 말해서 전세계적으로 독일처럼 하고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미국 자신을 빼면 이 정책의 최대 수혜국이 숙적인 중국이라는 점.
  7. 2012년 1월 <위기의 남유럽을 가다> 편에서 다룬 바 있다.
  8. 실제로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는 2016년 1월 원자재 가격의 폭락에 따라 앞으로 성장의 주요 동력은 원자재 수출이 아닌 기술력이 될 것이라며 브릭스(BRICs)의 시대가 가고 강력한 과학 기술을 가지고 있는 틱스(TICKs)의 시대가 왔다고 말하기도 했다.
  9. 2014년과 동일하다.
  10. 2010년 6월 30일부터 시작되었다.
  11. 2011년에 제작한 온라인 게임으로 게임 속 시대1930년대일 때 흥행 당시 시대랑 무려 80년 차이가 난다.
  12. 이스라엘의 군사방어 시스템.
  13. 정확히는 2009년 10월에 출시되었다.
  14. 마이 리틀 포니 역사상 최대의 혁명.
  15. 케이블TV의 담배 모자이크도 대략 이때부터 생기기 시작했다.
  16. 애니플러스만 봐도 잘 알 수가 있는데, 2012년까지만 해도 애니메이션 전문 방송사들 중 자체심의가 가장 느슨했고 대부분의 작품을 무삭제로 방영했던 애니플러스가 이젠 조금만 야하다 싶으면 가차없이 19금으로 등급을 매겨 버리고, (비록 TV 방송분 한정이긴 하지만) 삭제/편집을 수도 없이 해대고, 심지어 몇몇 19금 작품(ex. 건전로봇 다이미다라, 츠키모노가타리, 그리자이아 시리즈 3부작)은 개연성까지 망칠 정도로 중요 장면까지 삭제를 해서 트위터 운영자마저도 대놓고 VOD(무삭제)로 볼 것을 추천할 정도였다.
  17. 거기다 영화 채널이라고 사정이 나을 것도 없는 게, 방심위가 미국 영화에서 나오는 욕설을 이젠 자막뿐만 아니라 영어 원어 음성에서 나오는 비속어까지도 건드리기 시작함에 따라 몇몇 영화 채널에서는 12금, 15금 영화에서 나오는 fuck을 음소거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18. LOL 리그 방송으로 흥행성은 유지하고 있지만... 옛날 스타1 리그만큼은 못하다. 무엇보다 초창기인 1999년과 2000년 시절에는 다양한 게임을 소개하는 방송을 하거나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이제는 옛말이다.
  19. 2012년 1월 음악채널인 MBC MUSIC로 전환하였다.
  20. 2016년 현재 대도시권에서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케이블 방송으로 전환중이라고 한다.
  21. 단 애니메이션 영화의 경우 꾸준히 전문 성우들을 기용해 양질의 작품들을 뽑아냈고 특히 14년 겨울왕국이 더빙에서도 극찬을 받으며 기점이 되어 이쪽 분야만 한정적으로 다시 전문 성우들을 뽑는 빈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22. 현재 가뭄에 콩나듯이나마 외국 영화,드라마들을 더빙으로 방영해주는 채널은 지상파 채널인 KBS와 MBC뿐이다.
  23. 한국군 군복.
  24. 예정이다.
  25. 역사 갤러리에서 2000년대 부터 쓰이던 유행어이나 다른 곳으로 퍼진 것은 2010년대이다.
  26. 여기서 다른 ~뽕들이 파생됐다.
  27. 존예, 존섹, 졸귀 등의 응용 표현이 있다.
  28. 까도남, 까도녀 등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