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병

學兵.

1 개요

1943년에 일본군에 의해 징집, 또는 자원한 조선인 일본군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학도병이라 하기도 한다. 다만 6.25 전쟁의 영향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학도병은 한국전에 참전한 소년병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고정된 편이다.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를 확인할 것.

1938년부터 일본은 인원이 부족하자 지원병제를 도입했다. 지원병은 당시 불경기라든가 공직 진출 등의 여러 복합적인 이유로 1944년까지 17,664명을 뽑았다. 1944년부터 징병제를 적용했는데 그 전인 1943년에 전문학교 등 고학력자들을 대상으로 학병을 뽑았다. 일본에 체류하던 조선인 유학생을 강제로 뽑아가는 경우도 많았다. 학병은 강제입대로 이뤄진 경우가 많았는데 장교 자원으로 뽑아갔고 주로 소모품 소대장으로 쓰려고 했다. 훈련 중에 낙마한 이는 강제로 으로 복무시켰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이들은 귀환하게 되는데 규모는 약 6천 명 수준이었다.

건군기에 장교 자원이었던 이들 약 90명이 군사영어학교를 거쳐 조선경비대의 장교로 임관했다. 건군기 초반에 임관한 장교가 200명을 조금 넘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의 규모는 꽤 큰 편이었으나 친일파가 밀집했고 응집력이 큰 지원병들에 비하면 규모는 작은 편이었다. 그때문에 한국군의 초기 주류 파벌은 만주국육군군관학교를 나온 만주군 군관들과 일본육군사관학교를 나온 일본군 장교들이 주축이었다.

2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