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중국 신화)

(황제(중국신화)에서 넘어옴)

黃帝

중국의 왕(삼황오제)
4대 신농5대 황제6대 소호

Yellow_Emperor.jpg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군주. 사마천의 《사기》에서도 언급되었으나 가상의 인물이다.

삼황오제(三皇五帝)에서 오제의 필두. 황보밀의 《제왕세기》에서는 삼황의 한명으로도 여겨진다. 《전국책》, 《주역》, 《예기》, 《회남자》에서는 오제의 세 번째, 나머지 기록에서는 오제의 첫번째이다.

1 설명

황제는 화하(華夏)라는 실체를 구성했다고 일컬어지는 전설상의 임금으로 사마천은 삼황오제에서 삼황 부분은 전설이라고 치부해 아예 언급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오제부터는 본기(本紀)로 저술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이 부분부터는 역사라고 생각했던 모양이다.(사실 사마천도 이 부분에서는 고민이 많았다. 사기는 본디 서주시대부터 비로소 진정한 역사시대로 간주하지만, 유교적인 정통성 계승의 관점에서 최소한 한 가지 구심점이 필요했고, 그런 이유로 오제는 예외적으로 본기를 서술, 역사시대처럼 묘사했다.)

고대의 다른 전승에 나오는 황제 헌원은 인간이 아닌, 확실히 신(神)이다. 제(帝)는 본래 인간의 군주를 가리키는 단어가 아니다. 고대 동아시아의 종교는 가문의 조상을 다른 종교의 신에 상당하는 대상으로 섬기는 구조(가부장이 제사장의 역)였는데, 이 조상신을 부르는 이름이 제(帝). 좀더 정확히는, 은나라의 가장 고귀한 가문인 상(商)씨 왕가의 조상을 신격화하여 제(帝)라고 불렀다.[1] 따라서 노란빛(黃) 제(帝)라고 불리는 존재가 본래 인간이 아님은 명백하다. 다만 처음부터 신적 존재로 섬겨졌을지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 책세상에서 펴낸 책인 만들어진 민족주의 황제신화에 나오듯이 헌원은 역사적으로 수도 없이 덧칠되었으며,《포박자》에 보면 동서남북 사방의 여러 나라의 신선들을 만나 가르침을 얻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개중에는 청구국(고대 한국)의 자부선인이란 신선도 있다. 참고로, 은나라를 엎고 개국한 주나라의 희(姬)씨는 자신들의 조상신을 천(天)으로 칭하며 하늘에 대입하고, 이것으로 제(帝)를 대체하는 프로파간다를 행하였다. 천자라는 명칭도 이에서 유래.

《사기》의 기록은 신이었던 헌원을 위대한 인간 황제로 역사화했다.《사기》에 따르면 성은 공손(公孫), 이름은 헌원(軒轅)이라 하는데, 태어나면서부터 말을 하였으며, 남들이 걸음마도 떼지 못했을 때 이미 뛰어다닐 수 있었다고 한다. 근근히 쳐들어오면 막고, 나면 먹고 안 나면 굶는 느슨한 공동체 생활을 보고 잠시 생각하더니, , 방패, 수레, , 글자, 거울, 60갑자, 팔괘 등을 만들어 문명을 크게 일으켰다고 한다. 안 만든게 없다는 인물. 심지어 그의 스승(이라 쓰고 신하라 읽는다.)들과 함께 한의학도 정리했다고 한다. 황제내경이 그것이다. 어디까지나 전설. 현실적으로 황제내경은 훨씬 뒤에 황제의 이름을 빌려 만들어진 책이라는 게 정설이다. 거기다 내용도 상당 부분이 헌원이 신하이자 스승 기백천사에게 질문하고 가르침을 받는 구조다.

그가 부족의 우두머리가 되었을 때 중국의 왕을 잡고 있다 볼 수 있는 최대세력은 농업의 아버지인 염제 신농(神農)이었으며, 노쇠한 그의 나라를 북동에서 내려온 치우(蚩尤)의 세력이 늘 노리고 있었다. 황제는 신농과의 주도권 싸움을 3차례 벌여 세 번 다 승리하고 거대한 연맹체를 구성, 치우와의 일대 결전을 벌여 결국 탁록 땅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한다. 그 뒤 황제는 1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가 자신의 죽을 날을 택하고 용을 타고 승천하였다 한다. 그 때 신하들이 같이 올라가려고 들어 용을 붙잡고 수염이 뽑혀서 떨어지는 등의 추태를 보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황제의 존재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보기 힘들다. 설령 황제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존재했다고 해도 그가 모든 것을 다 만들었다는 것은 후세 사람들의 첨삭이 있었을 것이다. 단 그의 존재가 후세에도 '이상적인 군주'로서 추앙받았다는 것을 볼 때 그런 인물이 실제 있었다기 보다는 그런 인물이 '필요'했기 때문에 황제는 존재했다고 볼 수 있겠다.

워낙 대단한 인물로 묘사되어있고 동양에서 학술적 내용의 연원을 고대에서 찾는 경향이 있어 각종 학파의 시조가 되기도 한다.

2 황제릉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옌안 시에는 황제의 무덤이 실존하고 있다. 물론 전설에서 황제는 등선했다고 전해지므로 이 무덤은 의관총이다. 이곳은 중국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전국중점문물단위로 지정되어 있다. 분류상 고묘장(古墓葬)의 1호로, 달리 천하제일릉이라고도 부른다.

3 황제 기원

황제가 처음 즉위한 해로 알려진 기원전 2697년을 원년으로 하는 황제 기원도 중국에서 더러 비공식적으로 사용되곤 한다.

일제시대 즈음해서 중국의 지식인들이 (당시에 식민지였던 조선의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당시에 아시아에서는 가장 발달한 나라였던 일본에 유학을 오곤 했다. 당시 일본은 덴노 즉위에 따른 연호를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진무 덴노가 즉위했다고 전해지는 기원전 660년을 원년으로 하는 진무덴노즉위기원(神武天皇即位紀元), 통칭 황기(皇紀)도 사용하곤 했다. 바로 이 황기를 보고 중국 지식인들이 자극받아, 중국판 황기를 창안해냈고 그게 '황제기원'이다.

4 기타

  • 사자자리레굴루스를 중국에서는 '헌원대성'이라고 부른다.
  • 테메레르 시리즈에서는 한나라 건국을 도운 최초의 셀러스티얼 '황제'가 존재하며, 황제가 쓴 병법서가 있다고 한다. 헌원씨 황제에서 모티브를 딴듯. 어쩌면 셀러스티얼 황제가 헌원씨 황제일지도 모른다.
  • 여신전생 시리즈에서는 황제라는 이름으로 영걸 혹은 영웅 종족의 악마로 등장 한다.

5 대중문화 속의 황제

6 관련 항목

  1. 사기의 은본기에서도 은 왕조의 태조인 탕왕은 시조인 설의 14대손이며, 설의 아버지는 오제 중 한 사람인 제곡, 제곡의 증조부가 황제로 기록되어 그 흔적을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