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그 엠블럼 |
|
우승을 해도 우승한 것 같지 않은 우승 |
1 개요
- 리그기간: 2002년 3월 29일 ~ 2002년 6월 15일
- 사용 맵: 네오 사일런트 볼텍스(Neo Silent Vortex), 비프로스트(The Bifrost), 포비든 존(Forbidden Zone), 네오 버티고(Neo Vertigo)
- 조 편성
- 우승: 변길섭, 준우승: 강도경, 3위: 최인규, 4위: 한웅렬
- 특이사항
- Top시드 결정전 실시.
- 최초로 조지명식 실시.
- 이 리그를 마지막으로 예선전이 사라지고 챌린지리그가 도입.
- 엄전김(엄재경, 전용준, 김태형) 트리오의 첫 방송.
- 한빛 스타즈 16강 2개조 팀킬 성사(B조 강도경-김동수, D조 정재호-손승완)
- 시드배정자 전원 8강 탈락.
- 소속팀 유니폼 첫 등장.
- 공식맵에 최초로 프로텍트 및 네오컬러, 텍스트 로고 등장.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열풍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던 비운의 시즌.
- 결승장소: 서울 장충체육관
- 우승자 상금이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상승. 준우승자 상금 1,000만 원.
- 네이트 스타리그 오프닝
- 네이트 스타리그 결승전 오프닝
- VOD 목록
2 변길섭의 우승, 하지만 월드컵과 함께 투명라인으로
불꽃테란 변길섭과 저그 대마왕 강도경의 맞대결로 화제가 될 수도 있었으나, 월드컵으로 인해 존재감이 없어진 대회.
이 대회에서 변길섭은 강도경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게 되지만, 당시 임요환, 홍진호, 김동수 조정현 등 걸출한 흥행카드들이 조기탈락한 데다가 [1] 월드컵에 빠진 사람들의 무관심, 결승 진출자 변길섭과 강도경이 같은 한빛 스타즈 소속의 팀킬 결승[2]이라는 점들이 맞물려, 결국 변길섭은 무관심한 우승자로 남았다.[3]
후에 온게임넷에서 결승전을 모아 특집으로 방영했는데 유일하게 네이트배 스타리그만 빠져있어 그를 두 번 죽이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qusrlftjq 이래저래 네이트배는 흑역사 취급인 듯. 그래서인지 결승전도 역대 스타리그 중 최저 관객이었다.[4] [5]
참고로 당시에 MBC게임은 MSL 전신인 KPGA투어 결승을 2002 월드컵 8강 스페인전 당일에 열고, 팬들과 선수들이 다 같이 결승이 열린 양재동 한전 아츠풀 센터에서 낮에 열린 스페인전 경기를 결승용 큰 스크린으로 보면서 응원 한 뒤, 축구 경기가 끝나자 바로 결승전을 여는 참신한 시도로 흥행에 꽤 성공했었다. 다만 축구 경기가 끝나자 많은 관객들이 집으로 사라졌을 뿐 이 시절 MBC게임은 결승 이전까지는 아예 MBC사옥에 있는 작은 A/B 스튜디오를 전전하며 팬들이 제대로 직관하기 어려운 구조로 리그가 진행되던 안습한 시절이었음에도 홍진호, 이윤열이라는 좋은 매치업에 결승 기획도 참신했으니,이래저래 NATE 스타리그는 여러모로 아쉬운 결승이 되었다.
더욱 안습한 것은 변길섭이 우승자 출신인 걸 모르는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 또한 강도경은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하며 콩라인 가입조건을 충족시켰음에도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이후 꾸준한 재평가가 있었지만 그래봤자 흑역사인 것은 마찬가지. 그래도 7년 반 정도 후에 같은 스폰서로 열렸던 옆 동네 대회보다는 많이 나은 편. 2015년에도 언급되는 온풍좌가 있는데 글쎄...
여러모로 다음 대회인 2002 SKY배와 비교되는 게, 네이트배에서는 위에 언급한대로 임요환, 홍진호, 김동수, 조정현, 김정민 등 걸출한 카드는 16강에서 전부 떨어지고 8강 멤버도 강도경, 최인규, 변길섭을 제외하면 네임벨류가 너무나 낮은 선수들뿐이다.[6][7] 결승 관객도 네임벨류 선수들의 광탈로 인한 무관심과 월드컵 열풍이 겹쳐져 역대 최소 관객이었다. 반면 바로 다음에 열린 2002 SKY배는 8강 라인업부터 화려했는데, 네이트배 우승자 변길섭 포함, 16강에서 탈락한 임요환, 홍진호, 김정민도 이 대회에 8강 진출, 챌린지리그 뚫고 올라온 박정석, 조용호, 베르트랑, 장진남도 네이트배 8강 멤버 따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8] 또한 최다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으니 어찌 비교 당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
- ↑ 이 네 명의 선수들은 스타리그와 왕중왕전의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하며 시드배정을 받은 선수들이었는데, 16강에서 모두 광탈하고 만다. 특히 임요환은 당시로선 믿을 수 없는 충격의 3연패 탈락이었다. 물론 다음 대회에서 잠깐의 부진을 딛고 전승준을 달성하지만.... 김동수와 조정현은 이후에도 부진하게 되어 결국 김동수는 다다음 대회를 끝으로 프로게이머를 은퇴하게 된다.
- ↑ 상단의 특이사항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한빛스타즈는 이번 대회에 무려 5명의 선수(강도경, 김동수, 변길섭, 정재호, 손승완)를 16강에 진출시켰으나, 16강의 2개조 팀킬에 이어 8강에서도 변길섭, 강도경, 손승완 등 한빛 스타즈의 3명의 선수가 A조에 속하는 등 이래저래 팀킬과 인연이 많은 대회였다.
- ↑ 변길섭이 이후로 결승진출이나 4강 진출 등 걸출한 성적을 꾸준히 냈다면 우승 경력이 크게 조명되었을지도 모르지만, 변길섭의 이후 커리어는 우승자 치곤 상당히 초라하다.
- ↑ 약 1,000명 가량으로 그리 적은 숫자는 아니지만 다른 결승들에 비교해보면 적은 편이다. 그나마 이 정도 관객을 모은 것도 강도경 덕분이었다. 더구나 결승이 치뤄진 15일 바로 전날이 바로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첫 16강 진출의 쾌거를 이룬 날이라 스타리그 결승이 더욱 관심이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 ↑ 관객도 관객이지만, 결승전 장소에 자리가 텅텅 빌 정도로 큰 곳에서 치뤄진 점도 문제였다. 한마디로 결승인데 휑한 분위기였다는 소리. 물론 아레나 MSL같은 초 흑역사급은 아니지만....
- ↑ 한웅렬, 나경보, 정재호, 손승완, 안형모. 그나마 한웅렬, 나경보는 인지도가 있기는 했지만 임요환, 홍진호에 비하면 한없이 존재감이 적었다.
- ↑ 참고로 이 대회에서 엄재경은 다른 대회 못지않게 8강에 진출한 선수들을 열심히 포장하려고 애썼다. 그런데 테테전의 강자로 밀어줬던 한웅렬이 테테전에서 큰 힘을 못쓴다거나, 재야의 고수처럼 묘사된 나경보가 8강에서 떨어지는 등 밀어준 것에 비해서 선수들의 실력이 뒷받침되지 않았다.
- ↑ 그리고 박정석이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밑바닥인 챌린지리그부터 시작해 가장 높은 곳까지 맛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