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1000

3세대 게임기
패밀리 컴퓨터SG-1000슈퍼 카세트비전재믹스
SG-3000
세가 마크 III아타리 7800아타리 XEGS
세가 마스터 시스템
width=30%
가정용
width=60%width=90%width=50%
width=30%width=30%
휴대용
width=20%width=50%
확장형
width=40%width=55%
미출시교육용
넵튠#s-3플루토#s-12width=45%

1980년대 일본 TV CF, CF 출연자는 성우 사이토 유코(斉藤祐子)

360px

전기형 SG-1000. 극초기형에서 세가 로고 부분이 현재 사용중인 로고로 바뀌었다.

360px

후기형 SG-1000 II

collection.jpg
SC-3000. SG-1000과 주변기기와 소프트웨어가 호환되는 컴퓨터였다.

1 개요

1983년 7월 15일 세가에서 출시한 게임기로 세가가 최초로 제작한 게임기이며 우연인지 노렸는지는 몰라도 닌텐도패미컴과 같은 날에 발매되었다.

SG-1000과 SC-3000 두 모델이 동시에 발매되었는데 SC-3000은 개인용 컴퓨터 용도로 제작되어서 본체가 키보드와 통합되어있고 마이카드[1] 드라이브, 기타 확장단자 등이 있는 반면, SG-1000의 본체는 게임기 형태로 간소화 되어있고 게임 컨트롤러가 동봉되어있다. 그리고 양자간에는 소프트웨어가 호환된다. 즉, SC-3000과 SG-1000의 관계는 MSX재믹스의 관계와 비슷하다. 차이라면 SC-3000/SG-1000은 처음부터 컴퓨터/게임기 양쪽을 모두 상정하고 만들어져 동시에 발매되었고 재믹스는 원래 컴퓨터로 만든 것을 시간이 지나 게임기 형태로 전용했다는 정도의 차이.

게임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매체로는 롬팩과 마이카드를 사용하는데, SC-3000에는 마이카드 슬롯이 있는데 반해 SG-1000과 SG-1000 II에는 마이카드 슬롯이 따로 없어서(...) 마이카드 어댑터 롬팩을 사용해야 했다. 이 점은 후속기인 마크 III에서 마이카드용 슬롯이 따로 생김으로서 해결되었다. 전기형은 기본 컨트롤러가 아타리 2600처럼 조이스틱이라서 조작감이 불편했지만, 후기형 SG-1000 II에서는 패미컴의 영향을 받아서 게임패드가 기본 컨트롤러로 채택되었다. 후속기인 세가 마크 III에서도 이 게임패드가 그대로 이어졌다. 참고로 SG-1000의 컨트롤러 단자는 아타리 9핀 규격을 사용하는데[2] 이게 세가의 전통(?) 같은 것이 되어 메가드라이브에까지 아타리 9핀이 사용되었다. 전용 단자를 쓰기 시작한 것은 세가 새턴 부터.
.
패미컴은 여러 서드파티를 영입하고 패미컴용 오리지널 게임 시리즈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으로 꽤 오랫동안 롱런했지만, 세가는 '아케이드 NO.1 제작사인 자사의 게임들을 가정용으로 내놨으니 성공하고도 남을 것이다.'라는 실로 오만한 사업 플랜으로 이런 걸 제 무덤 제가 판다고 한다 세가 혼자서 게임을 만들다시피 했고 서드파티의 영입은 커녕 타사 게임의 컨버전도 세가에서 직접 했다. 심지어 당시 타사에서 자발적으로 세가쪽에 소프트웨어 컨버젼과 관련된 계약을 상담하러 찾아가도 세가쪽 담당자가 시큰둥하더라는 증언이 있을 정도였다. 당연히 패미컴에 완전히 참패했고 세가는 한참 뒤에 메가드라이브가 출시된 뒤에야 가정용 콘솔 시장에서 닌텐도와 어느정도 경쟁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결정적으로 패미컴은 성능 면에서 3세대 게임기의 포문을 본격적으로 열어젖히기에 손색이 없는 고성능이었으나, SG-1000은 패미컴과 같은 날에 나온 3세대 게임기랍시고 발매한게 하드웨어 면에서는 1년 먼저 나온 2세대 게임기의 끝물인 콜레코비전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보여줬으며[3] 부드러운 화면 스크롤 구현도 힘들 정도였으니 당연히 성능면에서 패미컴에게 처참히 밀렸으니 잘 팔릴 리가 없었다. 더군다나 가격 조차도 당대 최고 성능을 갖추고도 14,800엔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발매된 패미컴 보다 성능은 낮으면서도 200엔 비싼 15,000엔에 발매되었으니 가격대 성능비도 시망이 되어버렸었다. [4]

2 트리비아

SG-1000은 MSX1과 하드웨어 구조가 몹시 유사했다. CPU, VDP는 완전히 동일했는데 누가 누구를 모방하고 했다기보단 당시에는 적절한 가격에 적절한 성능이 나오기 때문에 흔한 하드웨어 조합이었다고 한다. 어쨌거나 그덕에 MSX로의 컨버전이 쉬웠고 실제로 그래서 원래 이 게임기용으로 출시된 게임이 나중에 MSX1으로 이식된 경우가 있는데, 그냥 보면 MSX판과 SG-1000판이 완전히 똑같다. 이식된 타이틀은 걸케이브, 닌자 프린세스, 잭슨, 줌 909, 엑스리온, 플릭키, 도키도키 펭귄랜드 등 꽤 있는데 자레코가 발매한 엑스리온을 제외하면 MSX판은 대부분 포니캐년이 발매했다. 걸케이브처럼 실제로 해보면 게임에 조정이 가해져서 난이도 등에 차이가 있는 경우도 존재.

위의 MSX 이식판은 정식 이식판이었지만 역으로 재미나, 프로소프트, 크로바 소프트 등 초창기 대한민국의 게임회사들이 MSX용 팩들을 SG-1000으로 무단으로 컨버팅하여 삼성겜보이용 버전을 출시해서 돈을 벌기도 하였다. 요술나무나 서커스 등을 겜보이로 해봤던 기억이 있다면 잘못된 기억이 아니다! 하지만 램 용량[5]때문에 MSX용을 컨버팅한 팩들은 정작 SG-1000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마크 III/마스터 시스템에서만 동작한다(...)[6] 사족으로 SG-1000으로 나온 모든 게임들은 세가 마크 III/세가 마스터 시스템에서 하위호환 형태로 플레이가 가능했다. 그래서 SG-1000 자체는 한국에서 출시되지 않았지만, SG-1000용 게임들은 겜보이(세가 마스터 시스템)용 합팩 단골메뉴 게임으로 유통되었다.

츠쿠다 오리지널이라는 회사에서 자사의 오델로 게임을 위한 오델로 멀티비전이라는 호환기를 발매하기도 했다. 오델로 멀티비전은 SG-1000과 게임 소프트웨어가 100% 호환된다.
  1. 카드 형태의 얇은 게임 카트리지. 제조사(미츠비시)가 같은 MSX의 Bee 카드, PC 엔진의 Hu 카드와 거의 동일한 매체지만 내부 포맷이나 핀 배열 차이 등의 문제로 호환성은 없다. 세가 측에서 야심차게 밀었지만 소프트웨어의 대용량화로 인해 집적도의 한계에 부딪혀 GG. 집적도 문제는 PC 엔진 Hu 카드 쪽도 발목을 잡는 문제여서 R-TYPE 같은 작품은 게임을 둘로 쪼개서 발매하기도 하였다.
  2. 단, 신호 선 배치가 달라 아타리 게임기에 SG-1000의 패드를 바로 사용할 수는 없고 개조나 컨버터가 필요하다.
  3. 실제로 콜레코비전과 SG-1000이 동시에 호환되는 대만산 호환기종이 나오기도 했다.
  4. 물론 그 이전에 발매된 다른 기종들과 비교하면 SG-1000의 가격은 그럭저럭 저렴한 축에 속하는 가격이기는 했지만, 하필이면 같은 날에 나온 패미콤이 성능에 비하면 정말로 말도 안될 정도의 저렴한 가격이다보니....
  5. MSX1은 최소 8KB, SG-1000은 1KB, 마크3/마스터시스템은 8KB..
  6. 대만에서도 이렇게 MSX1 비라이센스 컨버전 팩들이 있었는데, 한국과는 달리 대만에서는 SG-1000 II가 발매되었기에 대만제 MSX1 컨버전 팩은 SG-1000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게 게임팩에 램이 추가로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