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의 장단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는 페이지.
1 개요
국악에서 '장단'이라 함은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리듬형과 일정한 길이의 단위라고 풀이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드리장단을 세 장단 연주해 주세요"라는 말을 할 때, 첫 번째 쓰인 장단은 정형화된 리듬형을 가리키며 두 번째 쓰인 장단은 그러한 리듬형으로 구현된, 일정한 양을 가진 길이 단위를 가리킨다.
장단은 국악을 다른 음악과 차별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흔히 국악의 특징으로 5음음계를 들곤 하지만, 일본이나 중국 민요는 물론이거니와 멀리는 미국이나 스코틀랜드[1]의 음악도 5음 음계를 사용한다. 반면 한국과 같이 다양한 장단을 쓰는 국가는 '인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 따라서 어떤 음악이 '국악풍'으로 들리는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2]
국악에서, 판소리를 제외한 모든 음악의 장단을 잡아 주는 악기는 장구이다. 따라서 '장구장단'이라는 말을 아주 많이 쓰며, 장단의 종류를 열거할 때도 장구 장단을 오선보나 정간보로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장단 기보법
종류 | 기호 | 구음 | 설명 | 한문표기 | 비고 | |||||
합장단 | ⓛ | 덩 | 북편과 채편을 강하게 친다. | 雙 | 북편은 ○, 채편은 |. | |||||
채편 | | | 덕 | 채편을 강하게 친다 | 鞭 | - | |||||
북편 | ○ | 쿵 | 북편을 친다 | 鼓 | - | |||||
겹채 | i | 기덕 | 채편을 강하게 한 번 굴려준다 | 鞭 | ·과 |를 합침 | |||||
굴리기 | S[3] | 더러러러 | 채편을 가볍게 네 번 굴려준다 | 搖 | ||||||
찍기 | · | 따 | 채편의 가운데를 채 끝으로 친다 | 없음 | |보다 훨씬 가볍게. | |||||
울리기 | ⊙ | 떵 | 북편과 채편을 가볍게 친다 | 響 | 북편은 ○, 채편은 ·. |
주의할 점은 '덕'과 '따'의 차이, '덩'과 '떵'의 차이. '덕'은 채편으로 장구의 나무통 부분과 가죽이 맞닿는 부분까지 치면서 소리를 크게 내지만 '따'는 채편 가운데 가죽부분만 채 끝으로 살짝 쳐 주면서 장단을 마무리해주는 역할이다. '덩'과 '떵'은 '쿵'에 '덕'이 합쳐진 것인지 '따'가 합쳐진 것인지의 차이이다.
3 종류
3.1 정악장단
정악장단은 기본적으로 쌍-편-고-요, 즉 '덩-기덕-쿵-더러러러'의 구조로 되어 있다.
1. 20박 장단: 주로 템포가 느리고 선율이 긴 악곡들. 평조회상의 상영산과 중영산, 현악 영산회상의 중영산, 보허자, 여민락2장과 3장. '덩' 여섯 박, '기덕' 네 박, '쿵' 네 박, '더러러러' 여섯 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 | i | ○ | · | s | · |
2. 갈라치는 20박 장단: 첫 박인 '덩'을 양 손을 나누어서 '기덕 쿵'으로 연주한다. 20박 장단과 유사하게 느리고 선율이 긴 악곡들에 사용된다. 20박 장단형 대신 갈라치는 20박을 사용하는 이유는 둘째 박이 강박이 되기 때문이다. 20방 장단을 사용하는 음악보다 더 늘어지는 곡들이다. 향당교주 및 수제천, 동동, 현악 영산회상의 상영산
i | ○ | i | ○ | ⊙ | s | · |
3. 10박 장단: 20박 장단의 축소판으로 박 수가 반으로 줄었다. 여민락 4~7장, 영산회상의 세영산과 가락덜이, 보허자 5~7장, 가곡의 '편'. '덩' 세 박, '기덕' 두 박, '쿵' 두 박, '더러러러' 세 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i | ○ | ⊙ | s | · | ||||||||||||
ⓛ | ⊙ | s | ○ | i | · |
4. 도드리 장단: 웃도드리, 밑도드리,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기본적으로 20박 장단의 '덩 기덕 쿵 더러러러'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중간에 '따'나 '쿵'으로 박을 짚어주기도 하며, 염불도드리의 빨라지는 부분에서는 연주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형된다.
ⓛ | i | ○ | s | · | ||||||
ⓛ | | | s | ○ | i | · | |||||
ⓛ | i | ○ | | | · |
5. 타령 장단: 역시 덩 기덕 쿵 더러러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훨씬 더 흥겨운 장단이다. 민속악에서 유입된 장단으로 보기도 한다.타령, 군악, 천년만세의 계면가락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 일승월항지곡, 금전악
ⓛ | i | · | ○ | i | · |
6. 취타 장단
ⓛ | · | ⓛ | · | ⓛ | · | ○ | ○ | ⓛ | s | · |
7. 절화 장단
ⓛ | · | ⓛ | · | ⓛ | s | · |
8. 천년만세 중 양청도드리
ⓛ | | | || |
3.2 민속악 장단
1. 진양조 장단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민속악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으로, 6박이 한 장단을 이루어 4장단이 한 '마루'가 된다. 각 장단마다 첫 네 박을 쭉 쉬어주다가 마지막 두 박을 맺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연주자와의 호흡이 중요하다.
2. 중모리 장단
ⓛ | 1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두 가지 치는 법이 있는데 주로 위의 장단을 많이 사용한다. 산조나 판소리 등 민속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장단이다.
3. 중중모리 장단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s | | |
중모리를 다소 축소시킨 장단으로 중모리보다 조금 빠르다.
4. 자진모리 장단
ⓛ | ○ | ○-| | ○ |
중중모리보다 더 빠르게 몰아 가는 장단이다. 본래 3소박 4박 구조로 덩(3박)쿵(3박)쿵-따(3박)쿵(3박)이나, 빨리 칠 때는 4박과 같은 느낌으로 치면 된다.
맺는 장단으로
|ⓛ | ○|○ | ○-| |
등으로 변형하기도 한다.
5. 휘모리 장단
ⓛ | || | ○| | ○ |
자진모리보다 훨씬 더 빨리 치는 장단으로, 빠르고 정신없이 몰아 가는 장단이다. 이것을 아주 빨리 연주하면 단모리가 된다.
6. 굿거리 장단
ⓛ | i | ○ | s | ○ | i | ○ | s |
아마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장단. 덩기덕 쿵더러러러 쿵기덕 쿵더러러러 하면 대개 알아듣는다. 주로 경기도에서 많이 쓰는 장단으로,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본래 무속음악에서 시작되었고 경기민요나 경기잡가, 지영희류 해금산조 등에서 사용된다. MBC 로고송인 '만나면 좋은 친구~'도 바로 이 장단.
- 굿거리장단에서도 3/4박자가 사용된 점으로 미워 보았을 때, 홀수 박자(특히 3/4)박 노래가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고 즉흥적인 노래로부터 자연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전 세계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은 민족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이러한 홀수 박자의 노래가 탄생했음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블루스나 스윙 등) 짝수 박은 인간 구조의 대칭성과 걷기 리듬으로부터 탄생한 장르임을 쉽게 알 수 있지만, 3/4박자의 곡은 진화론적으로 어떠한 동작이나 기제를 통해서 생겨난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펜타토닉 스케일이 대부분 문화권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과도 비슷하다.
7. 세마치 장단
ⓛ | ⓛ-| | ○| |
지역을 불문하고 거의 모든 종류의 아리랑에 사용되는 장단이나 경기도 음악에서 가장 폭넓게 사용된다. 경기민요중 '양산도'에 사용되는 관계로 북한에서는 '양산도 장단'이라고도 부른다.
8. 엇모리 장단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