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기훈련

1 개요

극기라는 말 자체가 '스스로를 이긴다.'는 의미로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하는 훈련 정도가 정확한 의미가 될 것이나 사실상 군대에서의 체력강화 훈련이 아니라면 악습이라고 봐야 된다. 인생을 사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악습.

무엇보다 일부러 사서 고생을 할 만큼 한국인의 삶은 무르지 않다.인생 자체가 극기훈련

2 설명

일본군의 영향인지 정신력 만능주의에 입각한 졸렬한 사고방식 덕택에 대한민국특이한 문화가 되었다.[1]
물론 외국의 경우에도 존재하지만 문제는 군인이 아닌 민간인에게, 그것도 비지원자까지 포함하여 이걸 강제로 시행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사실 일이 이렇게 된 원인으로는 다른 방식보다 강압적으로 찍어 누르는 방식이 상급자 입장에서는 편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인지 대학교나 기업체에서 국토대장정 같은 행사에 가산점을 주거나 필수요건으로 넣는 막장스러운 경우도 존재한다.

정말 왜 해야 하는지 이해불가이며 시간낭비, 돈낭비인 이벤트. 막상 윗놈들은 이런거 하라고 하면 안한다.드래곤볼 수련도 볼 때나 재밌지... 그리고 정신력, 고생드립 치는 인간들 중에 정말 자기 젊었을 때 심각하게 고생한 사람들 그다지 없고 인격적으로도 개차판인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자기가 고생해봐서 힘든걸 알고 인격적으로 본받을 만한 윗분들은 절대로 아랫 사람들에게 할 필요 없는 고생을 억지로 시키지 않는다.

스포츠계에선 과학적인 피지컬 트레이닝, 스포츠과학과는 담을 쌓은 듯한 무의미한 지옥훈련이 아직도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는 오히려 역효과라는게 중평.

3 군인

군인의 경우 단 시간안에 체력을 강화하거나 체력유지를 명목으로 시행한다. 유격 훈련과 지옥주[2]가 아주 좋은 예. 그런데 이 과정들은 원래 특수임무를 맡을, 극한 상황에서 끝까지 잘 버티고 잘 싸우는 병사를 뽑기 위해 지원자 중에서 기준에 못 미치는 사람을 탈락시키기 위해 만든 시험 과정이다. 선발이 아닌 훈련을 목적으로 운용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는 과정이라는 것.

정신력 운운하는 극기훈련이라기 보다는 체력강화 훈련이 더 정확하지만 이 범주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각종 민간행사가 여기에서 파생된 것이 많은 점이 한몫한다.

군인으로서 이건 정말 필요한 것으로, 혹한기 훈련의 경우 한반도의 끔찍한 겨울 추위에 그 미군조차[3] 크게 혼나는 것을 보면서 중요성을 깨닫고 시행하는 훈련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특성상 시작부터 끝까지 극기의 나날들(…)인 것은 어쩔 수 없다. 그걸 극복하고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훈련이니까. 근데 제 아무리 극기운운하는 몰지각한 작자들도 혹한기 훈련을 모방하지는 않는다. 사고위험이 크니 저들도 이건 함부로 못따라 할테니...에라이 인간들아!

유격 훈련이나 지옥주 같은 경우도 군인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체력을 강화하려는 이유에서 시행하는 것이지 정신력 운운하며 굴리는게 아니다. 그만큼 사회의 그것보다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도 철저하고 관리도 세심하다. 심지어 징병제인 특성상 환자 선별기준도 상당히 관대한 편으로 이런걸 세심하게 관리하는 군[4]과 영리만을 추구하는 민간단체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보다 더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 않는다. 더욱이 민간단체의 극기훈련이 이렇다 할 명분이 없다는 점도 더해서 말이다.

4 종류

사회에서 행해지는 악습의 경우 ☆표시

5 관련 항목

  1. 이동 일본군 항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일본육군 내에서 이런 정신력 만능주의가 만연했던 것은 당시 일본의 경제력이 장기간의 전쟁을 수행할 능력도, 서구 열강들 만큼 다량의 군사물자를 뽑아낼 능력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유사시 큰 희생을 각오하고 속전속결로 전쟁을 끝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고, 그러려다 보니 병사들한테 의지력이니 극기니 근성이니 같은걸 강조하여 사기를 높이려 했던것이 모든 일의 시초다.
  2. 이동 일주일 동안 잠을 전혀 안 재우고 실시하는 극한 훈련. 미해군 특수부대인 네이비 씰의 선발훈련에서 유래해 이후 세계 여러 나라의 수중침투 교육과정에도 전파되었다. 국내에서는 UDT해병대 수색대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3. 이동 당시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소련은 소극적이였고 그럴듯한 상대는 미군 입장에선 몇 수 아래인 중공군이였다.
  4. 이동 물론 높으신 분들 자제를 대신해 불치병 환자를 태연스럽게 현역으로 넣는 경우도 간혹 있을지도 모른다고 음모론을 주장할 수는 있다. 실제로도 들어와서는 안되는 정신이상자나 지적장애인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아아~~~그이름은 헬조선 물론 윗동네같이 막나가는 편은 아니라 다행
  5. 이동 전술훈련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으나 사실상 추위와의 싸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