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왕

(김구형에서 넘어옴)
금관국의 역대 국왕
9대 겸지왕 김겸10대 구형왕 김구해11대 말왕 김탈지(?)
[1]
왕호구형왕(仇衡王) / 구해왕(仇亥王) / 구충왕(仇衝王)
시호양왕(讓王)[2]
김(金)
구형(仇衡) / 구해(仇亥) / 구차휴(仇次休)
생몰년도? ~ ?
재위기간521년 4월 8일 ~ 532년 9월 (11년)

금관국 10대왕이자 마지막 왕[3]

1 삼국유사 가락국기

김씨이다. 정광 2년에 즉위해 42년 동안 다스렸다. 보정 2년[4] 임오 9월에 신라 24대 진흥왕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 오자 왕이 친히 군졸을 지휘했다, 그러나 저편은 군사가 많고 이편은 적어 맞싸울수가 없었다. 그래서 아우 탈지이질금(탈지잇금,脫知爾叱今)을 보내 나라에 머물게 하고, 왕자와 장손 졸지공(卒支公)등과 항복해 신라로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爾叱)의 딸 계화(桂花)인데, 아들 셋을 낳았다.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角干)이고,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무득(茂得) 각간이다. 《개황록》에는 "양나라 중대통 4년 임자[5]에 신라에 항복했다"고 했다.

사관은 논한다. 《삼국사》를 상고해보면 '구형왕이 양나라 중대통 4년에 임자를 국토로 바치고 신라에 투항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수로왕이 처음 즉위한 동한(東漢) 건무 18년인 임인부터 구형왕 말년의 임자까지 490년이나 된다. 만약 이 기록을 가지고 상고한다면 국토를 바친 것은 원위(元魏) 보정 2년 임오이니 30년을 더해 모두 520년이나 된다. 이제 두 설을 모두 기록해둔다.

2 생애

구해왕(仇亥王), 구충왕(仇衝王)이라 불리우며 김해김씨 족보에는 양왕(讓王)[6]이라고도 불리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김유신열전에는 "(중략)수로의 10세손인 구해(仇亥)에 이르렀는데 구차휴(仇次休)라고도 하며, 유신에게 증조부가 된다.(후략)"이라고 되어 있어서 구차휴라고도 불리었는듯. 부인은 분질수이질(分叱水爾叱)의 딸인 계화(桂花)이고 아들이 세명이 있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그 이름들이 다 다르게 기재되어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첫째가 노종(奴宗), 둘째가 무덕(武德), 셋째가 무력(武力)으로 나와 있으며 삼국 유사에는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이고,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무득(茂得) 각간이라고 기록 되어 있다.[7]

이시기에 굉장히 많은 혼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반로국이 가야연맹의 맹주노릇을 하고 있던 시기고 신라와 백제가 호시탐탐 노리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가야연맹의 생존을 모색하던 도중 열렸던 안라회의도 구형왕때 열리게 된것이다. 하지만 그에 대해 당시 금관국[8]이 한 일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는다.

안라회의 이후, 백제는 안라국을 쳐서 가야에 대한 세력권을 확대해나아갔고 신라는 이것에 다급해 졌다. 안라회의가 개최된지 1년후인 532년. 재위 11년째 되던 해에 법흥왕이사부에게 3천의 병력을 주어 가야를 치게 하였고 이사부는 다다라원(多多羅原, 현재 다대포)에 주둔하며 석달이나 군사시위를 하였다. 이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도 등장한다.

이로 인하여 신라는 다시 상신(上臣) 이질부례지간기(伊叱夫禮智干岐)를 보내 무리 3천을 이끌고 와서 조칙 듣기를 청했다. 게나노오미(毛野臣)는 멀리서 병장기에 둘러 싸여 있는 무리 수천을 보고 웅천(熊川)에서 임나(任那) 기질기리성(己叱己利成)에 들어갔다. 이질부례지간기가 다다라(多多羅)벌에 머무르면서 삼가 돌아가지 않고 석달을 기다리며 자주 칙명을 듣고자 청했으나, 끝내 전하지 않았다. (중략) 상신은 4촌【금관(金官),배벌(背伐),안다(安多),위타(委陀)의 네촌이다. 다른 책에서는 수나라(須那羅, 현재 김해), 화다(和多), 비지(費智, 현재 웅천 부근)의 네촌이라고 하였다.】을 약탈하고 사람들을 모두 데리고 그의 본국으로 돌아갔다.

ㅡ《일본서기》계체기 23년 4월조.

이러한 군사적 시위에도 가야와 백제, 왜가 반응이 없자 낙동강을 건너 다다라,수나라(須那羅, 현재 김해), 화다(和多), 비지(費智, 현재 웅천 부근)등 4촌을 점령하고 점령 주민들을 신라로 이주시켰다. 기록상으론 자세히 나와 있진 않지만 금관국은 저항을 했지만 곧 포기한듯 보인다. 《일본서기》 흠명기에 성왕의 말을 빌려 "남가라[9]는 작고 협소하여 갑자기 준비하지 못하고 의탁할 곳을 몰랐기 때문에 멸망 했다" 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가락국기에도 "중대통(中大通) 4년 임자에 신라 제23대 법흥왕이 군사를 일으켜 가락국을 치니 왕은 친히 군졸을 지휘했으나 저편은 군사가 많고 이편은 적어서 맞서 싸울 수 없었다."라고 기록 되어 있다.

어쨋든 이사부의 공격을 받은 금관국(남가라)는 더이상의 저항을 그만두고 항복을 선택했다.

(중략)금관국주(金官國主) 김구해(金仇亥)가 왕비 및 세아들인 맏아들 김노종(奴宗) 다음 아들 김무덕(武德), 막내아들 김무력(武力)과 함게 자기나라의 재물과 보물을 가지고 와서 항복 하였다. 왕은 예를 갖추어 대우하고 상등(上等)의 관위를 주었으며, 본래 그들 나라를 식읍으로 삼아 주었다. 아들 무력은 각간까지 이르렀다.

ㅡ《삼국사기》 신라 본기 법흥왕 19년

하지만 구형왕의 막내아들 김무력진흥왕의 한강 유역 정벌과 백제 성왕과의 전쟁에서 큰 활약을 하면서 진골 신분을 받고 신라 왕족에 편입되었고, 김무력의 손자 김유신이 신라 진지왕의 손자 김춘추와 축국을 하다가 옷고름을 밟는 바람에 김유신의 여동생인 김문희와 김춘추가 만나 불쇼 끝에 결혼하여 문무왕을 낳아서 신라 왕실에 구형왕의 혈통이 들어가게 되었으니 결과적으로는 역사의 승리자일지도 모른다.

3 멸망 시기

삼국유사》의 실수중 하나가 구형왕과 관련된 부분인데, 반파국과 헷갈려서 기록했다. 《삼국유사》 가락국기 사관은 논한다를 보면

사관은 논한다. 《삼국사》를 상고해보면 '구형왕이 양나라 중대통 4년에 임자를 국토로 바치고 신라에 투항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수로왕이 처음 즉위한 동한(東漢) 건무 18년인 임인부터 구형왕 말년의 임자까지 490년이나 된다. 만약 이 기록을 가지고 상고한다면 국토를 바친 것은 원위(元魏)[10] 보정 2년 임오이니 30년을 더해 모두 520년이나 된다. 이제 두 설을 모두 기록해둔다.

라고 적어 놨는데 562년은 반파국의 멸망시기이다(...). 일연이 기록을 하다 착각을 해서 인지, 아니면 가야국기에 금관국 말고 다른 나라 기록들도 있어서 혼재되어 있었는지 실수를 한 부분.

4 멸망후

신라에 투항한 후의 구형황의 행적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아들 무력이 왕경 6부중 하나인 사탁부 소속이라는 점을 감안해 그곳에서 거주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1] 조선 헌종 8년(1842) 편찬된 《각간선생실기(角干先生實記)》에는 구형왕이 경주 북쪽 50리 지점에 있는 기계현(杞溪縣)에 살았다고 하였다.

5 전구형왕릉


참고로 앞에 보이는 비석과 석물은 비교적 최근에 중건(?)한 것이다.

경상남도 산청군에 있는 "구형왕릉으로 전한다"라는 석조 건조물.

전구형왕릉 문서 참조.

6 관련 항목

  1. 1997년에 지정된 대한민국 표준영정이다.
  2. 김해 김씨 족보에 기록된 시호이다.
  3.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기재된 마지막 왕이다. 말왕은 김해김씨 족보에 등장하는 왕.
  4. 562년을 말한다. 반로국 멸망한 해. 위에도 언급했듯이 금관국은 532년에 이미 망했다.
  5. 532년
  6. 나라를 양보했다는 뜻. 족보의 기록은 객관성이 떨어지지만 만약 이 호칭이 실제로 당시에 불리었다면 망한 나라 왕 치고 괜찮은 평가를 받은듯 하다.
  7. 위키백과에는 차남과 삼남이 바꿔서 기록되어 있다.
  8. 안라회의 기록에는 "남가라"로 기록되어 있다.
  9. 금관국을 말한다
  10. 북위를 뜻하는게 아니라 북주 무제 때의 연호다.
  11. 권덕영, 2007, "금관가야 구형왕릉 전승과 역사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