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왕사

< 가야

1 가야 왕사

가야 왕사에 관한 기록들은 굉장히 부족한 편이다.

삼국사기》에서는 구형왕을 제외하곤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유사》는 고려 문종 때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금관지주사(金官知州事)가 썼다는 《가락국기》의 일부만 전해져 오며 그나마도 금관국과 관련된 내용만 있을 뿐 반파국, 탁순국, 안라국, 보라국, 초팔국 등의 다른 가야계 국가의 왕사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일본서기》를 통해 알 수 있는 이름들이 몇몇 전해지며,[1] 고고학적 발굴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왕도 존재한다.

1.1 가야계보

금관국안라국벽진국반파국 고사포국탁순국고령가야
천제(天帝)
1.수로 1.이진아시 1.말로1.아리사등
2.거등
3.마품 3~4.미상
4.금물
5.이본
6.질(叱) 6(?).하지
7. 7(?).미상
8.질(銍) 8~9(?).이부지리가
9. 10(?).월광 혹은 도설
10.구해11(?).

1.2 금관국의 왕사

금관국의 왕사는 다른 가야소국들에 비해 상세하다. 《삼국유사》에 실려있는 《가락국기》덕분인데 생년월일까지 확인할수가 있다. 다만 《삼국유사》에 《가락국기》의 전편이 실린 것이 아닌 일부만 실려있어서 왕호와 재위 년도만 확인할수 있고 왕의 재위 당시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해선 수로왕때를 제외하곤 자세히 알수가 없다.

삼국유사》에 확인되는 왕은 총 10명의 왕이며, 《김해김씨 족보》에 실려있는 말왕까지 포함하면 11명이다. 다만 족보는 역사적 근거가 되지 않아서[2] 말왕의 존재 여부에 대해선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김해 수로왕릉 옆 숭선전과 숭안전에 모셔진 역대왕 위패에 시호를 볼수 있다. 그러나 시호의 경우 김해 김씨 족보에만 전해지는 기록으로 학계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순서시호왕휘재위기간비고
1대시조왕김수로(首露)42-199
2대도왕 道王김거등(居登)199-259
3대성왕 成王김마품(麻品)259-291
4대덕왕 德王김거질미(居叱彌)291-346
5대명왕 明王김이시품(伊尸品)346-407
6대신왕 神王김좌지(坐知)407-421
7대혜왕 惠王김취희(吹希)421-451
8대장왕 莊王김질지(銍知)451-491
9대숙왕 肅王김겸지(鉗知)491-521
10대양왕 讓王김구형(仇衡)521-532[3]
11대(?)말왕(末王)(?)김탈지(金脫知)532[4]

1.3 반파국[5]의 왕사

금관국과 함께 가야 지역에서 가장 강성한 국력을 떨쳤던 대가야 반파국에 대한 자료는 굉장히 부족한 편이다. 시조인 이진아시왕과 관련된 자료도 조선 초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재되어있는 것이 전부. 여기에 인용된 《석순응전》,《석이정전》이 남아 있지 않아서 아쉬울 따름이다. 신라사 초기 기록에는 신라의 주변국으로서 그나마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나 많은 내용은 진위 여부가 불투명하다.

반파국의 왕은 1대 이진아시왕부터 16대 도설지 왕까지 총 16대로 알려져 있지만, 10대왕으로 추정되는 월광태자도설지왕과의 공통점들이 발견됨에 따라 10대일수도 있다는 의견들이 존재한다.

3대 혹은 4대왕으로 확인되는 금림왕의 경우엔 고분 발굴로 확인할 수가 있고, 하지왕은 《남제서》에서, 가실왕은 《삼국유사》에서, 이뇌왕은 《일본서기》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월광태자는 《석순응전》에서, 도설지왕은 《석이정전》과 "진흥왕순수비"에서 이름을 확인할수가 있는데 이들 왕들의 실존 유무와 금관국왕의 또다른 이름이라는 가설들이 있어 확실하게 반파국 왕이라고 확인된 왕은 이진아시왕과 금림왕, 이뇌왕, 도설지왕 뿐이다.

순서왕호재위기간비고
1대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42-?
2대알수없음?-?
3대금림왕(錦林王)?-?[6]
4대금림왕(錦林王)?-?
5대알수없음?-?
6대하지왕(荷知王)?-?
7대가실왕(嘉悉王)?-?[7]
8대이뇌왕(異腦王)494-?[8]
9대이뇌왕(異腦王)494-?
10대월광태자(月光太子)?-?[9]
11대알수없음?-?
12대알수없음?-?
13대알수없음?-?
14대알수없음?-?
15대알수없음?-?
16대도설지왕(道設智王)?-562[10]

1.4 안라국의 왕사

알려진 왕이 없으나 가실왕이 안라국 왕이라는 이야기가 존재한다.

1.5 고자국의 왕사

주로 알려진 이름은 소가야. 삼국지 위지 동인전에는 변진고자미동국(弁辰古資彌凍國). 하지만 xx가야라는 이름은 그때당시엔 쓰이지 않았다. 왕건이 가야지역 이름을 붙여준 것이 그 시작.

순서왕호재위기간비고
1대김말로왕42-?

1.6 벽진국[11]의 왕사

어떤 왕이 있었는지 기록에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1.7 고령가야

어떤 왕이 있었는지 기록에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사실 이 쪽은 역대 왕사는 커녕 가야연맹으로 알려진 나라들 중에서도 가장 베일에 싸인 나라로, 책에 써 있는 기록 외에 실질적인 고고학적 실체가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해당 문서 참조.

1.8 탁순국의 왕사

탁순국왕 중 유일하게 전해져 오는 이름은 아리사등 한명뿐인데 국내사서에선 등장하지 않으며 《일본서기》에서만 등장한다.

순서왕호재위기간비고
?아리사등(阿利斯等)?-538
  1. 이 때문에 역사학자들이 일본서기를 다룰 때 "독이 가득한 복어회를 손질하는 기분"이라고 말한다. 워낙 엉터리로 쓴 책이라 어떤 게 조작이고 어떤 게 사실인지 구별하기가 힘들지만, 국내 자료가 워낙 부족하니 일단 옛날에 쓰여진 책임은 확실한 이쪽 자료라도 가리고 가려내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2. 후대에 조작및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역사적 사료로써 족보는 쓰이지 않는다.
  3. 셋째 아들 김무력신라장군으로소 활약하여 백제 성왕과의 관산성 전투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김무력의 손자가 김유신. 즉 김유신은 옛 가야의 왕 구형왕의 증손자다.
  4. 가락국기에는 남아 있지 않고, 김해김씨 족보에만 그 이름이 전해진다. 존재유무가 불학실한 왕.
  5. 흔히 대가야로 알려져 있다.
  6. 3대 혹은 4대라고 함
  7. 대가야로 여기는 게 보통이나 아라가야의 왕이라는 설도 있는 등, 엄밀히 말해선 어느 가야의 왕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8. 8대왕인지 9대왕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9. 16대 왕인 도설지왕과 동일인물 이라고 보는 의견이 존재한다.
  10. 월광태자와 동일인물 이라고 보는 의견이 존재한다.
  11. 알려진 이름은 성산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