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르마

Nacirema

1 본문

북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나시르마(Nacirema) 족은 놋니소(Notgnihsaw) 마을을 중심으로 널리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육체가 아름답지 못하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으며, 인간의 몸이 쇠약해지고 병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인간의 의례와 의식을 통한 강력한 효험을 얻어 노화와 질병을 막고 궁극적으로는 불로장생하고자 하는 소망을 품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정결하게 준비된 비밀스러운 장소에서 의례를 행한다. 나시르마 족의 의술사들은 물질적인 선물을 받고 나서 고대의 언어로 적힌 약의 처방을 적어 준다. 나시르마 족 원주민들은 이걸 들고 약술사에게 가서 다시 물질적 선물을 내고 처방에 적힌 약과 교환한다. 나시르마 족 남성들에게는 유별난 피학적 성향이 있는데, 매일 아침마다 이들은 날카로운 쇠붙이로 자신의 얼굴 피부를 긁어 벗겨내는 의식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이들은 유독 구강에 대한 의례를 중시하는데, 이 의례를 행하지 않으면 치아가 삭고, 잇몸에서 피가 나며, 턱이 찌그러지고, 친구와 연인이 떠나 버릴 것이라고 믿는다. 이들은 1년에 한두 번씩은 "신령한 입의 사나이" 라고 불리는 주술사를 찾아가, 입 속에 살고 있는 악마를 쫓아내는 의례를 행한다. 뚱뚱한 사람은 단식의 의례를 행하고, 마른 사람은 뚱뚱해지려고 진수성찬을 먹는 의식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여성의 유방이 크면 작아지게 만드는 의례, 작으면 커지게 만드는 의례도 있다. 이들의 배설 행위는 극도로 사적이고 비밀스럽게 격식화된 것이어서 외부인이 쉽게 관찰할 수 없다. 나시르마 족에게 성교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심각한 결례가 된다.

풀버전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여기까지 읽으면서 이들의 문화에 대해 어떤 생각이나 느낌이 들었는지?
이제 이들의 정체를 알기 위해 이 링크를 확인해 보라.

2 설명

이 글은 미시건 대학교 인류학자 호러스 마이너(Horace M. Miner)가 1956년에 발표한 《나시르마 부족의 몸 의례》라는 글로, 1950년대 미국인의 삶을 마치 "나시르마 족"이라고 이름붙인 한 원시 부족 집단을 관찰하는 듯한 느낌으로 일부러 이질감이 들게끔 묘사한 것이다. 이는 학계에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했던, 인류 보편적이라고 여겼던 생활 양식들이 사실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우리가 원시 부족을 보며 미개하다고 여기는 것처럼, 그들도 우리를 바라보며 미개하다고 여길 수 있다" 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신선한 충격을 받은 위키러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학계 학자들도 마찬가지여서(…) 엄청난 호응과 재판(再版) 요청이 빗발쳤다고 한다.

물론 소위 말하는 "과학적이냐, 비과학적이냐" 같은 차이를 들어서 위의 글이 잘못됐다고 반박할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는 위 글의 문제의식에서 크게 벗어난 반론이다. 위 글은 미국인들의 일상이 결국에는 원시 주술이나 의례 등의 (비과학적이어서 소위 "진지하게 취급해 줄 가치가 없는") 문화적 소산과 다를 바가 없다는 요지가 아니다. 즉, 과학기술의 진보가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는 글이 아니다. 위 글이 제기하는 문제는 내 자신이 가진 문화를 "내가 그 문화 속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당연히 보편적이고 표준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통념을 깨자는 것이다. 이는 낯선 곳의 낯선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하는 거울로서의 인류학의 활동방향을 정확히 가리키고 있다.

국내에는 한국문화인류학회가 펴낸 책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의 서두에서 인용되면서 알려졌다.

3 대응되는 묘사

  1. 물론 이 표현은 국내 한정이고, 서구에서는 BWH measurement 라고 한다.
  2. 영어권 현대 의학 용어의 거의 전부가 이 두 언어 어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3. 미국인들에게 비만은 심각한 사회적 질병이 되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