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랄라시아의 군대 | ||||||
오스트레일리아군 | 뉴질랜드군 |
New Zealand Defence Force.
1 개요
뉴질랜드의 군대. GDP 대비 국방비는 1.9% 수준으로 남태평양에 자리한 소국인 사모아의 국방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 2012년 기준으로 현역의 숫자는 8,617명이며 예비군은 2,377명 정도이다. 육해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주를 제외하면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군대이다. ANZAC이란 이름으로 호주와 군을 편성하여 제1차 세계대전이나 제2차 세계대전에 영국을 도와 참전한 바 있다.
그리고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기술군이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자체 제작한 중형전차를 소유하기도 했고 단, 그 유명한 치하보다 더 폐급이라는 건 함정 현대에도 특수부대의 장비는 후덜덜한 첨단 장비들을 사용한다. 어찌 보면 소수정예?
(Bob Semple Tank. 일명 트랙터 전차)
2016년 뉴질랜드군의 세계 군사력 순위(GFP)는 101위다.
2 수뇌부
2.1 문민
통수권자[1] | 국방장관 |
제리 매터페러 총독[2] | 조너선 콜맨[3] |
2.2 주요 선임장교
국방참모총장[4] | 국방참모차장[5] | 사무총감[6] | 해군총장[7] |
티모시 키팅 육군 중장 | 케빈 쇼트 공군 소장 | 윌 피트 | 잭 스티어 해군 소장 |
육군총장[8] | 공군총장[9] | 합동사령관[10] | 재무총감[11] |
- | |||
데이브 건 육군 소장 | 마크 야들리 공군 소장 | 팀 갈 육군 소장 | 조 디바인 |
2.3 주임원사단
국방주임원사[12] | 육군주임원사[13] | 해군주임원사[14] | 공군주임원사[15] |
대니 브러턴 육군 1등준위 | 마크 모티보이 육군 1등준위 | 스티븐 버크 해군 준위 | 마크 하우드 공군 준위 |
3 역사
1845년부터 1886년까진 민병대가 존재했다. 자치권이 제대로 생기기 전이었고 정부 기능이 제대로 자리 잡히지 않을 시절이었다. 그 와중이었던 1863년에 뉴질랜드 정부 측에서 방위군을 만들었고 500명의 군을 편성하려고 했지만 실제론 150명만 왔다고 한다. 지휘관은 갤러웨이 소장. 150명을 지휘하는 소장 그러던 것이 뉴질랜드가 기틀을 잡아가면서 지원병제를 도입해 군을 제대로 만들게 된다.
4 지휘체계
- 국방참모총장(Chief of Defence Force): 중장
- 국방참모차장(Vice Chief of Defence Force): 소장
- 뉴질랜드합동사령관(Commander Joint Forces New Zealand): 소장
- 해군참모총장(Chief of Navy): 소장
- 육군참모총장(Chief of Army): 소장
- 공군참모총장(Chief of Air Force): 소장
- 해군구성군사령관(Maritime Component Commander): 준장
- 육군구성군사령관(Land Component Commander): 준장
- 공군구성군사령관(Air Component Commander): 준장
- 해군참모차장(Deputy Chief of Navy): 준장
- 육군참모차장(Deputy Chief of Army): 준장
- 공군참모차장(Deputy Chief of Air Force): 준장
5 군종
5.1 육군
New Zealand Army. 4,500명의 상근현역과 2천명의 예비역, 5백명의 군무원/민간인으로 구성된다. 참전경력은 꽤 상당하다. 보어전쟁부터 이라크 전쟁까지 참전했다.
구성은 아래와 같다.
- 보병연대(Royal New Zealand Infantry Regiment)
- 기갑대(Royal New Zealand Armoured Corps)
- 포병연대(Royal Regiment of New Zealand Artillery)
- 정비대(Corps of Royal New Zealand Engineers)
- 통신대(Royal New Zealand Corps of Signals)
- 보급연대(Royal New Zealand Army Logistic Regiment)
- 의무대(Royal New Zealand Army Medical Corps)
- 간호대(Royal New Zealand Army Nursing Corps)
- 치의대(Royal New Zealand Army Dental Corps)
- 헌병대(Corps of Royal New Zealand Military Police)
- 정보대(New Zealand Intelligence Corps)
- 법무실(New Zealand Army Legal Services)
5.2 해군
Royal New Zealand Navy. 현역 인원은 2,166명이며 예비군 333명, 군무원/민간인 215명이 근무한다. 자세한 부분은 뉴질랜드 해군을 참고할 것.
보유 장비 | |
수송선 | 1척 |
호위함 | 2척 |
초계정 | 6척 |
잠수지원선 | 1척 |
급유선 | 1척 |
헬기 | 5기 |
호위함 테 마나호. 뒤에 보이는 항공모함은 미 해군의 에이브러햄 링컨호이다.
림팩 훈련에서 대한민국 해군 최영함과 훈련하는 뉴질랜드 해군.
5.3 공군
Royal New Zealand Air Force. 인원은 현역 2,300명의 부사관/병과 640명의 장교, 357명의 군무원/민간인으로 구성된다. 1937년 4월 1일에 독립한 군종으로 웬만한 선진국의 공군보다 창설일이 빠르다. 미국의 육군 항공대가 공군이 된 것은 1948년에 이르러서였다.
국적 마크는 키위다. 키위는 날지 못하잖아? 과녁보단 낫잖아
장교후보생들의 근무복 복장은 이렇다. 한국 공군과 유사한 편이다.
6 기타
우스갯소리로, 호주에 살고있는 뉴질랜드 상비군만 모아도 뉴질랜드를 침공 할수 있다는 말도 한다. 그만큼 호주에 살고있는 뉴질랜드인이 많다는 소리지만.- ↑ 딱히 의미는 없다. 그냥 영국 국왕을 대리하는 수준이며 영국 국왕이라고 딱히 실제 통수권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다만 제리 매터페러의 경우엔 뉴질랜드군 중장 출신이긴 하다.
- ↑ 뉴질랜드 마오리족 태생으로 마오리족으론 두 번째로 총독이 되었다. 뉴질랜드 육군 출신으로 중장을 지냈으며 국방참모총장을 지내기도 했다. 한국에서 총독이 갖는 어감과 달리 영연방의 총독은 해당 국가의 자국민이 임명된다.
- ↑ 오른쪽의 인물이다.
- ↑ Chief of Defence Force
- ↑ Vice Chief of Defence Force
- ↑ 민간인이 임명된다. 명칭은 회사에서 쓰는 최고운영책임자 Chief Operating Officer랑 같다.
- ↑ Chief of Navy
- ↑ Chief of Army
- ↑ Chief of Air Force
- ↑ Commander Joint Forces New Zealand
- ↑ Chief Financial Officer. COO와 마찬가지로 민간인이 임명된다.
- ↑ Warrant Officer of the Defence Force
- ↑ Sergeant Major of the Army
- ↑ Warrant Officer of the Navy
- ↑ Warrant Officer of Air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