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군 주임원사 | ||||
합참주임원사 | 육군주임원사 | 해군주임원사 | 공군주임원사 | 해병대주임원사 |
미군에 있는 주임원사 | ||||
해안경비대주임원사 | 주방위군주임원사 |
해군본부의 주임원사로 해군 사병 가운데 최선임이 된다.
1 한국군
▲해군의 주임원사 휘장.[1]
미군과 달리 계급장으로 일반 원사와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휘장을 패용한다.
대한민국 해군 사병들의 최선임이다. 해군본부에서 해군참모총장을 보좌한다. 일반 참모들과는 달리 이취임식도 해참총장이 챙겨준다. 미 해군과 달리 계급장은 일반 원사와 동일하나, 휘장을 패용하는 것은 미 해군과 같다. 관련 블로그
1.1 역대 해군주임원사
- 12대 원사 유영근(兪英根) : 해군부후15기. 2001년 9월 20일에 취임하였고 2005년 12월 1일에 이임하였다. 왼쪽의 인물이며 가운데는 해군참모총장이었던 장정길 대장이다.
- 13대 원사 문영호 : 해군부후24기. 2005년 12월 1일에 취임하였다.
- 16대 원사 한일호 : 2013년 11월 27일에 이임하였다.
- 17대 원사 김천용 : 해군부후84기. 1983년 임관했다. 음탐부사관으로 잠수함에서 근무했다. 아버지인 김병옥 옹은 육군 소속으로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2013년 11월 27일에 취임하였다.
2 미군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Navy. 미합중국 해군의 최선임사병으로 해군작전사령관을 보좌한다. 의전 및 각종 대우는 해군 중장에 준한다. 되도록 해군총장의 병과와는 다른 하위 직별 출신을 보임해 다양한 목소리가 담기도록 하려는 편이다.
미 해군의 해군주임원사 직책은 1967년 4월 28일에 생겼으며, 처음 명칭은 해군선임사병자문관(Senior Enlisted Advisor of the Navy)이었다.
원사 계급의 부사관에서 선발하며, 다른 일반 부대의 주임원사들과는 달리 계급장도 원사에 별 하나가 더 붙는 것을 다는 등 별도의 계급으로 간주된다. 또한, 계급장에서 직별 표지가 사라지고 대신 별이 들어간다.
2.1 역대 해군주임원사
대수 | 사진 | 성명 | 재임기간 |
1 | 델버트 블랙(Delbert Black)[2] | 1967-1971 | |
2 | 존 휘팃(John "Jack" Whittet) | 1971-1975 | |
3 | 로버트 워커(Robert Walker) | 1975-1979 | |
4 | 토머스 크로(Thomas S. Crow) | 1979-1982 | |
5 | 빌리 샌더스(Billy C. Sanders) | 1982-1985 | |
6 | 윌리엄 플래킷(William H. Plackett) | 1985-1988 | |
7 | 두에인 부시(Duane R. Bushey) | 1988-1992 | |
8 | 존 헤이건(John Hagan)[3] | 1992-1998 | |
9 | 제임스 허트(James L. Herdt) | 1998-2002 | |
10 | 테리 스콧(Terry D. Scott) | 2002-2006 | |
11 | 존 캠퍼(Joe R. Campa) | 2006-2008 | |
12 | 릭 웨스트(Rick D. West) | 2008-2012 | |
13 | 마이클 스티븐스(Michael D. Stevens) | 2012-2016 | |
14 | 스티븐 지오다노(Steven S. Giordano) | 2016- |
3 영국군
준사관과 부사관이 연결되는 계급 체계인 영국 해군의 특성상 해군주임준위(Warrant Officer of the Naval Service)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이전에는 제2해군위원주임준위(Second Sea Lord's Command Warrant Officer)[4]가 비슷한 역할을 맡았으나 2010년에 해군주임준위가 신설되었다.
2010년에 신설된 터라 2013년부터 2대째인 스티브 캐스(Steve Cass) 1등준위가 맡고 있다.
4 호주 해군
Warrant Officer of the Navy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2016년부터 게리 와이트(Gary Wight) 준위가 역할을 맡고 있다. 호주 해군 페이지
5 자위대
선임오장(先任伍長)이라고 한다. 육자대나 공자대의 주임원사가 준위인 것과 달리 이쪽은 진짜 우리의 해군원사에 상당하는 계급인 해조장(海曹長)이 해당 직책을 맡는다. 이는 해상자위대의 특성 탓이다. 준사관이 부사관의 연장선[5]으로 왜 계급을 두고 있는지 이해가 안 간단 평가를 받는 육자대나 공자대와 달리 해자대는 함정 내에서 부사관 내부의 구분도 확실하고 준사관이 정말 장교에 준하단 얘기를 듣고 있기 때문에 육자나 공자보다 경계가 확실하기 때문이다.[6]
2003년에 사가 이쿠오(佐賀幾雄) 조장이 1대 선임오장으로 취임했다가 준해위로 진급했다. 2006년에 시작된 육자나 공자, 2012년에 시작된 통막보다 더 빠르다. 현직인 세키 히데유키(関秀之) 조장은 5대이다.
해상자위대선임오장의 장식.
5.1 역대 선임오장
- 1대 선임오장 사가 이쿠오(佐賀幾雄): 2003년 4월 1일에 취임하였고 자위대에선 최초의 군 본부급 선임오장이다. 2006년 6월 29일에 이임했다가 준해위로 진급했다.
- 2대 선임오장 하타나카 가즈야스(畑中一泰): 2006년 6월 30일에 취임하여 2010년 12월 21일까지 근무했다가 준해위로 진급했다. 해군 부사관 리더십에 관한 인터뷰
파일:Attachment/pettyofficernatsume.png
- 3대 선임오장 나쓰메 슈(夏目修): 2010년 12월 22일에 취임하였고 2013년 6월 27일에 이임했다가 준해위로 진급했다. 사진은 주일미군 해군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촬영한 것이다. 출처
- 4대 선임오장 미야마 도시아키(宮前稔明): 2013년 6월 28일에 취임하였고 2015년 6월 29일에 이임하였고 2015년 9월 17일에 해조장에서 준해위로 진급하고 최선임하사관으로 임명되었다.
- 5대 선임오장 세키 히데유키(関秀之): 2015년 6월 29일에 취임하였다.
- ↑ 부대의 규모에 따라 위쪽의 계급장이 달라진다. 사진은 전대/1급함주임원사 휘장. 해군주임원사 휘장은 위쪽에 별 네개가 있다.
- ↑ 진주만 공습에서 살아남은 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였고, 사후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에 이름이 붙었다.
- ↑ 제러미 마이클 보더가 자살했을 당시에 해군주임원사였던 탓에 그의 장례식에서 추도문을 낭독하기도 했다.
- ↑ 제1해군위원이 해군참모총장이다. 제2해군위원(중장)은 해군참모차장이라 생각하면 될듯.
- ↑ Warrant Officer가 부사관의 확장인 영연방 군대와 비슷하다.
- ↑ 나중에는 준해위 진급 및 준해위로 진급하고 최선임하사관으로 임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