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참모총장

國防參謀總長. Chief of the Defence Staff.

1 개요

삼군 병립 체제가 아닌 통합군을 바탕으로 한 국방참모본부의 장을 말한다. 다만 통합군이 아니더라도 이런 표현을 쓰기도 한다. 국군을 가리키는 표현이 국방군일 경우에.

2 합참의장과의 비교

합동참모본부와 비슷한데 한국군에서도 국방참모총장이란 표현을 쓰려고 했지만 헌법에서 이미 합동참모의장이라고 제복군인의 최선임을 정해놔버려서 이 용어는 쓰이지 않았다. 다만 꼭 통합군이 아니더라도 이 용어를 쓰는 곳들도 꽤 있다. 주로 유럽군의 제복군인 최선임을 가리킬 때 국방참모총장으로 자주 번역한다. 독일군이나 영국군, 프랑스군이 이에 해당한다.

그에 비해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라고 각 군 참모총장이나 사령관[1](Commandant)이 참석하는 합참을 설정해둔 미국은 합참의장이라고 번역한다. 자위대에선 통합막료감부(統合幕僚監部)라고 표현한다.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엔 미군의 영향을 많이 받아 구조적으로 비슷하기 때문이다.

2.1 영국군

2016년부터 공군대장 스튜어트 피치 장군이 맡았다. 1959년부터 해당 보직이 생겼는데 23대인 스튜어트 피치까지 영국 육군이 9명, 영국 해군이 6명, 영국 공군이 8명으로 비교적 균등하게 맡고 있다. 다만 원수급이 보임되던 1990년대를 지나 대장이 보임된 뒤부터는 육군이 강세이다.

2.1.1 역대 국방참모총장 목록

2.2 캐나다군

1958년에 탄생했다. 캐나다 육군이 8명[2], 캐나다 공군이 7명, 캐나다 해군이 2명이다.

150px-New_Task_Force_Kandahar_Commander_Optimistic_About_Upcoming_Year_100909-A-%2B%2B%2B%2B%2B-071.jpg
현임인 18대 총장은 육군대장 조나단 밴스 장군으로, 2012년부터 재직 중이다.

2.3 프랑스군

Chef d'État-Major des Armées라고 한다. 1953년에 해당 직책을 만들었다. 육군대장(Général d'armée), 공군대장(Général d'armée aérienne), 해군대장(Amiral)이 번갈아 맡는데 현임인 제22대 국방참모총장 육군대장 피에르 드빌리에 장군까지 프랑스 육군에서 15명, 프랑스 해군에서 2명, 프랑스 공군에서 5명이 나왔다.

예전의 이름을 합치면 52대이다. 그전에도 육군 초강세긴 했다. 국가헌병대는 아직까지 한 명도 배출 못했다.

2.4 독일군

220px-Flagge_Generalinspekteur_Bundeswehr.svg.png
연방군참모총장(Chief of Federal Armed Forces Staff)이나 연방군총감(General Inspector of the Bundeswehr)이라고도 한다. 독일어로는 Generalinspekteur der Bundeswehr.

1957년에 1대 육군대장 아돌프 호이징거(Adolf Heusinger, 1897-1982) 장군이 취임하며 시작됐다. 호이징거는 2차대전 말기에 육군참모총장 대리를 지낸 바 있는 구 독일 국방군 육군 출신으로, 일본군 출신들이 자위대에 일부 돌아온 것처럼 국방군에서 독일군으로 편입하였다. 2014년에 그가 국방군과 무장친위대 출신들이 1949년에 결성한 불법 준군사조직 겸 반공단체 Schnez-Truppe의 회원일 수도 있었다는 증언이 나와 문제가 되고 있다.

현 15대 육군대장 볼커 위커(Volker Wieker) 장군까지 독일 육군 출신이 11명, 독일 해군이 2명, 독일 공군이 각각 2명씩 배출했다.
  1. 해병대와 전시의 해안경비대
  2. 회수로는 8번인데 존 드 채스털레인(John de Chastelain)이 1989년부터 1993년,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나눠서 맡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