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군 주임원사 | ||||
합참주임원사 | 육군주임원사 | 해군주임원사 | 공군주임원사 | 해병대주임원사 |
미군에 있는 주임원사 | ||||
해안경비대주임원사 | 주방위군주임원사 |
공군본부 소속의 참모로 공군참모총장을 보좌한다. 공군 내에서 최선임 사병이 된다. 육군이나 해군, 해병대가 전통적으로 단위부대나 군함에 주임원사를 둔 것과 달리, 공군은 초창기 육군 항공대로 육군에 예속되어 창군이 늦었던 탓에 육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조심해야 할 점은 공군본부 소속 주임원사와 "공군" 주임원사가 다르다는 점이다.
1 한국군
파일:Attachment/KafAdc.gif
공군의 주임원사 휘장. 부대에 따라 위의 별의 개수가 달라진다. 위 이미지는 비행단급 부대의 주임원사 휘장.
육군이나 해군과 달리 공군은 40대 주임원사가 취임하는 일이 많다. 그래서 솔직히 사병 최선임이라 보기는 어렵다. 타군대비 젊은 주임원사는 대한민국 공군만의 독특한 일인데, 원사 계급 위의 준사관으로 진출하며 임기를 마치기 때문이다. 또한 역대 공군주임원사를 보면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졸업생이 거의 없고 부사관후보생(부사후) 출신이 많다. 이는 상급 부대에 근무를 하는 총무 같은 후방 주특기에서 주임원사가 많이 나와서이다. 항과고 졸업생들은 전원이 빠른 진급의 힘들어서 제대를 많이하는 기술병과를 부여받기 때문에 단~사령부급 주임원사직에 오르기도 전, 준위가 되어버린다. 또한 전방주특기 특성상 상급제대에서 근무할 일이 없이 말단 정비대대에서 근무하다보니 상급보직으로 올라갈 일이 거의 없어서이다. 대대주임원사 보직이수를 하고 진급점수를 채우면 준위가 되어버린다. 따라서 일선 대대에서 주임원사를 깔 수 있는게 감독관들이다. 대대급 주임원사들은 병사의 날에 치킨 배달이나 시키는 아저씨들이다
공군주임원사가 각 군 주임원사 중에 가장 짬찌일 때가 많은 것처럼 공군참모총장도 대장 중에 가장 짬찌일 때가 많다[2]
부사관 사기 제고 차원에서, 2014년(항공고 42기 졸업/임관식)부터 부사관후보생이 임관할 때 준장급 훈격으로 주임원사 교육우등상이 추가로 수여된다. 기존에는 참모총장상, 교육사령관상, 기본군사훈련단장상, 공군인터넷동문회장상이 수여됐다.
1.1 역대 공군주임원사
- 16대 원사 김주성[3]: 부사후 89기이다. 2001년 9월 7일에 취임하였다. 관련기사
- 17대 원사 송한실(宋漢實): 부사후 92기이다.
- 18대 원사 변준섭: 부사후 106기이다. 2005년 8월 4일에 취임했다.
- 19대 원사 김영필: 부사후 128기. 2007년 7월 3일에 42세에 공군주임원사가 됐다. 전임자인 변준섭 원사와 22기수 차이이고 23대 이용화 원사는 3기수 선배다.
- 20대 원사 김재환: 부사후 126기. 2009년 4월 28일에 취임하였고 2011년 8월에 이임하였다.
- 21대 원사 배해도: 부사후 131기. 2011년 8월 4일에 취임하였다. 진급이 잘 안 되는 총무특기 부사관으로 주임원사를 지냈다.
- 22대 원사 이정열: 부사후 134기.
- 23대 원사 이용화: 부사후 125기. 2014년 6월 19일에 취임하였다. 특기는 유선통신체계정비(정보통신)이다. 타군 주임원사에 비해 짬이 낮다고 생각했는지 좀 기수가 올라갔다.
- 24대 원사 유태열: 부사후 149기. 2016년 6월 16일 취임.
2 미군
Chief Master Sergeant of the Air Force. 미합중국 공군의 최선임 사병이다. 1967년 4월 3일에 처음 보직이 생겼다. 공군주임원사의 월급 기본급은 7,609달러이다.
2.1 역대 공군주임원사
대수 | 사진 | 이름 | 재임기간 |
1 | 폴 에어리(Paul W. Airey) | 1967-1969 | |
2 | 도널드 할로(Donald L. Harlow) | 1969-1971 | |
3 | 리처드 키슬링(Richard D. Kisling) | 1971-1973 | |
4 | 토머스 반스(Thomas N. Barnes) | 1973-1977 | |
5 | 로버트 게일러(Robert D. Gaylor) | 1977-1979 | |
6 | 제임스 매코이(James M. McCoy) | 1979-1981 | |
7 | 아서 앤드루스(Arthur L. Andrews) | 1981-1983 | |
8 | 샘 패리시(Sam E. Parish) | 1983-1986 | |
9 | 제임스 비니커(James C. Binnicker) | 1986-1990 | |
10 | 게리 핑스턴(Gary R. Pfingston) | 1990-1994 | |
11 | 데이비드 캠퍼네일(David J. Campanale) | 1994-1996 | |
12 | 에릭 벵컨(Eric W. Benken) | 1996-1999 | |
13 | 프레더릭 핀치(Frederick J. Finch) | 1999-2002 | |
14 | 제럴드 머리(Gerald R. Murray) | 2002-2006 | |
15 | 로드니 매킨리(Rodney J. McKinley) | 2006-2009 | |
16 | 제임스 로이(James A. Roy) | 2009-2013 | |
17 | 제임스 코디(James A. Cody) | 2013- |
3 영국군
영국 공군의 경우 준위가 부사관에서 승진[4]하는 구조라서 주임준위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명칭은 공군주임준위(Chief of the Air Staff's Warrant Officer)이며 1998년에 해당 보직이 생겼다.
2014년부터 6대 공군주임준위인 클라이브 마틀랜드(Clive Martland)가 해당 역할을 맡고 있다.
4 호주 공군
Warrant Officer of the Air Force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2015년부터 로버트 스완윅(Robert Swanwick) 준위가 역할을 맡고 있다. 호주 공군 페이지
5 자위대
항공자위대 항공막료감부 소속의 참모로 준위가 임명된다. 명칭은 준조사선임(准曹士先任)이다. 2006년 4월 1일에 시카마타 류이치(鹿股龍一) 준위가 1대 준조사선임으로 취임했다.
5.1 역대 준조사선임
파일:Attachment/wrtoffshikamata.png
- 1대 준위 시카마타 류이치(鹿股龍一): 2006년 4월 1일에 취임하여 2008년 8월 31일에 이임하였다.
- 2대 준위 사쿠야마 이쿠오(作山委久夫): 1957년에 태어나 대학을 다니다 중퇴하고 항공자위대에 입대했다. 항공막료감부 광보실(한국의 공보실에 상당)과 항공연구소제1연구부, 제5고사군제16고사대, 항공자위대간부학교계획과 등에서 근무했다. 2008년 9월 1일에 준조사선임으로 취임했고 2011년 1월 19일에 이임하였다. 인터뷰 영상
- 3대 준위 혼다 히사노리(本田久範): 1977년에 입대했다. 항공자위대보급본부 제3보급처[5]와 제6항공단, 중부항공방면대 인사과 등에서 근무했으며 중부항공방면대 준조사선임을 지낸 뒤에 2011년 1월 20일에 취임했고 2013년 1월 20일에 이임하였다.
- 4대 준위 아라이 다케시(新井岳志): 1981년에 신대원199기로 입대하였다. 2013년 1월 21일에 항공막료감부 준조사선임으로 취임했고 2015년 9월에 이임하였다.
- 5대 준위 야마자키 가쓰미(山崎勝巳): 1982년에 신대원209기로 입대하였다. 2015년 9월에 항공막료감부 준조사선임으로 취임하였다.
- ↑ 하지만 가끔 일선 정비대대에서도 준위 진급을 "안"하거나 못한 짬원사 앞에서는 후배 준위들은 계급과 출신을 떠나 칼같이 고참대우를 하는게 공군 문화다. 심지어 준사관 동기생 간에도 상호 경례를 한다. 타군 처럼 준사관과 부사관이 기수서열 꼬여서 따로 노는 분위기는 없고, 무조건 부사관 기수로만 따지며, 공군으로 전군된 육군출신(방공포병) 등 일부 특수한 경우라도 자신이 임관한 시기 근처에 있는 부사후 기수에 편입해서 따진다. 다만, 방공무기통제준사관, 통번역준사관(감독관과는 다르다! 감독관과는)이 생기면서 약간은 서열이 꼬일 수도 있긴 하지만, 뭐 어차피 일년에 몇명 뽑지도 않고 일선 부대에서는 볼일도 없으니...
- ↑ 2015년 기준 현직 참모총장인 정경두 대장은 첫 60년대생 대장이다. 국군은 물론이고 인접한 중국군, 자위대에도 아직 60년생 대장은 없다. 사관학교 기수를 건너뛰어 임명된 탓에 육군의 군사령관보다도 후배격.
- ↑ 공군 주임원사를 마친 후에 준사관후보생에 지원하여 최종계급은 준위이다.
- ↑ 한국의 기술행정준사관도 그렇지 않냐고 물을 수 있겠지만 영연방의 준위는 신분 전환이 없다. 한국의 준사관은 신분 전환을 겪고 군번도 바뀐다.
- ↑ 한국 공군의 창급 부대에 상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