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5호선 | |||||
방화 방면 마 장 | ← 1.0 km | 답십리 (542) | → 1.2 km | 상일동, 마천 방면 장한평 |
踏十里驛 / Dapsimni Station
답십리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Dapsimni |
한자 | 踏十里 |
중국어 | 踏十里 |
일본어 | タプシムニ |
역번 | |
서울 지하철 5호선 | 542 |
300px 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지하 300 (舊 용답동 99)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5호선 개업일 | 1995년 11월 15일 |
1 개요
서울 지하철 5호선 542번. 서울특별시 성동구 용답동 99번지.
주소를 보면 알겠지만 동대문구 답십리1동이 아니라 성동구 용답동 관할/소재지/목적지이다. 다만 두 동네의 경계선에 걸쳐 있으며(천호대로 자체가 동대문구와 성동구의 경계선이다.), 용답동 자체도 원래는 용두동/답십리동이었다가 1975년 천호대로 이남을 성동구로 넘겨주면서 용답동이라는 법정동으로 신설된 것이다.
2 역 정보
답십리역은 완공초기부터 역사 중앙에 커다란 새장이 있고 관상용 새들이 있어서 구경하려고 오는 사람도 종종 있었다. 2010년 경 없어졌는데 아이들이 소리 치거나 조그마한 물건을 던져서 괴롭히는 경우가 많아 스트레스에 시달린 탓인 듯. 공식답변으로는 2008년 조류독감 때문이었다.
원래는 반대편 승강장으로 갈아탈 수 있었지만 공사로 인하여 갈아타지 못하게 구조가 변경되었다.
2.1 승강장
마장 ↑ | |||
하 | ㅣ | ㅣ | 상 |
↓ 장한평 |
상 | 서울 지하철 5호선 | 광화문·신길·우장산·방화 방면 | 찍을 문의 위치 1-1번 문 |
하 | 서울 지하철 5호선 | 장한평·군자·천호·상일동·마천 방면 | 찍을 문의 위치 8-4번 문 |
3 역 주변 정보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답역과는 약 500m 정도 떨어져 있으나 환승되지 않으며, 답십리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용답역 쪽 주민들은 안습이 된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구간에 있는 용답역보다 오히려 이 답십리역을 많이 이용할 정도. 성수지선 구간은 배차간격이 10분인데다가 어차피 어느 방향으로 가든 갈아타야 한다. 이럴바에는 이 역을 이용하는게 낫다.
답십리역과 장한평역 사이에 자동차의 용산 전자상가라 불리는 자동차부품상가와 골동품 및 미술 상가가 있어서 이 두역은 이용객이 많다. 참고로 서울도시철도공사 본사도 답십리역과 장한평역 사이에 있다.
4번 출구에서 나오면 오전에 서울시립대학교 셔틀버스를 탈 수 있다. 셔틀버스로는 약 7분이 소요된다. 3번출구로 나와서 서울 버스 동대문05를 타면 서울시립대학교까지 약 13분 소요.
2011년 10월 7일에 5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완공되었다.
145번은 한천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타 간선노선과는 달리 가변차로에 정차한다.
전농답십리뉴타운으로 주변지구가 상당히 빠르게 재개발되고 있다. 이에 이용객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가, 2013년과 2015년 사이에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전농답십리뉴타운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5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5,795명 | 14,904명 | 15,876명 | 16,128명 | 17,028명 | 15,048명 | 16,975명 | 16,684명 | 16,878명 | 16,461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5,264명 | 17,388명 | 16,254명 | 16,008명 | 15,225명 | 15,147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