代理聽政
1 개요
섭정과 비슷한 개념으로 왕세자(혹은 왕세손)이 왕을 대신하여 국무를 맡는것을 말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는 왕의 건강이 위중해서 업무를 볼 수 없는 경우한다. 이 때 대리를 하는 세자(세손)을 소조(小朝), 왕은 대조(大朝)라 칭하여 구분했다.
원칙적으로는 왕의 건강이 위중할때 국가운영을 위해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는 왕이 후계자를 교육하고, 왕위승계의 정당성을 주기위해서 하는것이 원칙이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왕이 후계자의 역량 확인 또는 정치국면 전환의 방법 등으로도 자주써먹었다. 그 때 부터 대리를 하는 후계자에 있어서는 긴장의 연속이었다. 이 때문인지 조선의 경우 재대로 된 대리청정은 문종이나 정조, 효명세자처럼 정말 드물었고[1] 사실상 후계자 교육과 왕위승계까지 제대로 이루어진 경우는 문종 하나말고는 없었다.[2]
때문에 대리청정을 지시하면 대개 신하들은(이게 진짜 승계목적인지 충성심 시험인지 알 수 없으니) 땅바닥에 엎드려 울부짖고 차라리 날 죽여라!고 저항하며 명령을 받들려하지 않았다. 세종 때도 거의 완벽한 정통 후계자 문종에게 대리청정을 명하자[3] 신하들이 지독하게 반대하여 세종이 "지금 내가 내 몸 건사하기 급급하다 이놈들아! 날 죽일셈이냐?"황희:"네? 뭐라고요?"라고 거의 애원어린 일갈을 하고 나서야 겨우 관철되었고 영조가 사도세자와 정조에게 대리청정을 명했을 때도 당파(노론, 소론, 남인, 북인)를 초월해서 신하들은 비를 맞으며 돌바닥을 머리로 두드려 피를 철철 흘리며 반대했지만 영조가 "이러면 그냥 선위하겠다."고 협박하여 겨우 물러났다.
그런데 숙종이 경종에게 대리청정 시킬 때는 친 세자파였던 소론은 반대하고, 친 연잉군파이던 노론은 쌍수들어 환영했다. 경종에게 대리청정을 시킨 것이 숙종의 건강이 워낙 안좋아진 것도 있지만 장희빈 아들에다가 몸이 약한 경종을 숙종이 마음에 들지 않아하여 노론과 의논하여 트집잡아 페세자시키려는 의도였다는 해석이 강하다.[4] 또 훗날 효명세자에게 순조가 대리청정을 명하자 신하들이 "종사의 무궁한 복입니다." 라고 쌍수들어 환영했다. 이건 홍인한, 정후겸이 대리청정 반대하다가 끔살당해서 생긴 학습효과라는 해석이 있다. 아님 지들 눈에도 순조가 너무 무기력해보였거나[5]
어쨌거나 제대로 된 대리청정의 예를 살펴보면 대리청정이 성공하기 위해선 군주가 확실히 세자에게 전권에 기꺼이 내줄 마음이 있어야 하며 서로간 사이가 매우 좋아야 하고 후계자의 정치력이 성숙한 상태여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제왕정에서 왕의 권력을 나누어주기 위해선 그만한 신뢰가 필요하단 이야기일 것이다. 사도세자: 네? 뭐라구요? 내가 제일 오래했는데???
2 사례
괄호 안의 연도는 대리청정을 한 기간
세종 - 문종(8년)
선조 - 광해군(6개월)[6]
인조 - 소현세자(3개월)[7]
숙종 - 경종(3년)
영조 - 사도세자(14년)[8]
영조 - 정조(3개월)
- ↑ 경종의 경우 하긴 했는데 복지부동으로 임해서 잘한것도 못한것도 없다.
- ↑ 정조의 경우 3개월만 했다. 대리청정후 석달 후에 영조가 승하했기 때문
- ↑ 적장자-원자-세자루트를 다 밟았고 세자수업도 착실히 잘 받아 흠 잡을게 하나도 없다!
- ↑ 실제로 숙종과 이이명이 독대를 했는데 그래서 더 의심을 산다.
- ↑ 하지만 당시 순조의 건강이 좋지 않은건 사실이었으니 어른의 사정이해+홍인한과 정후겸이 대리청정 막다가 어떻게 되었더라? 가 작용한듯 하다.
- ↑ 임진왜란으로 인해 분조(조정의 일부)를 이끌고 활동
- ↑ 정묘호란으로 인해 분조(조정의 일부)를 이끌고 활동
- ↑ 실질적으로 대리를 한 기간은 훨씬 짧다. 세자가 병을 이유로 정무를 기피한 시간이 많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영조는 사도세자를 세워놓고 자신이 다 해먹었으니 아무런 의미도 없는 대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