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도루묵씨을(를) 찾아오셨나요?
1 개요
한류성 어종으로 한국 동해, 일본 북서해, 러시아의 오호츠크 해 근처에 주로 서식한다(명태 등과 서식지가 같다고 보면 된다). 수심 200~400m 내의 모래펄 바닥에 주로 서식하며 한류성 어족답게 산란 시기는 11월에서 12월 사이. 몸길이는 13에서 17cm 내외로 꽤 큰 편이다.
한국에서는 보통 강원도 전역에서 산란철에 잘 잡히며[1] 도루묵이 잡히는 강원도의 시군에서는 산란철마다 도루묵 축제를 열기도 한다. 보통 구이나 알탕으로 주로 먹는다.
예전에는 군대에서 짬밥으로나 소비될 정도로 인기없는 값싼 생선이었는데, 일본에 대량 수출하게 되자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덩달아 대중적 인기도 올라갔다. 남획으로 1990년대 이후 어획량이 급감했으나, 2000년대 이뤄진 자원회복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2009년부터 어획량이 회복 되고 있다.
2015년에는 해변에 밀려온 도루묵 알이 썩어서 곤란을 겪을 정도로 늘어났다.
2 이름의 유래
피난길에 어떤 왕이 묵어(혹은 목어)를 먹고 맛이 좋아 이름을 은어라고 바꿨다가 나중에 이 생선을 다시 먹은 뒤 맛이 예전만 못하자 '도로 묵어'('도로 목')라고 하라고 했는데, 이것이 도루묵의 유래이다.
실제 어원에 대해선 이렇다 할 결론이 있지는 않다. 그래도 많이 추정되는 가설이 두 가지 있는데, 원래 '목'이라는 생선(혹은 묵. 한자로는 음차로 目으로 적힘)에다 돌(돌배 할 때 그 돌)이 붙은 돌+목이 변한 것이라는 설과, 함경도 방언에서 착안해 도루[虎班;호랑이무늬]+ 메기[棘魚]가 줄어든 것이라는 설이 그것이다. 참고 참고2
2.1 고려의 왕 설
도루묵의 어원은 조선 영조·정조 때의 문신 이의봉(李義鳳 : 1733~1801)이 여러 나라의 어휘를 모아 편찬한 사전인 “고금석림(古今釋林)”에 나온다.
원래 이름은 '목어(木魚)'[2]였는데, 동해로 피난을 갔던 고려의 한 왕이 피난처에서 이 생선을 먹고 마음에 들어해서 은어(銀魚)라고 부르도록 명령했다. 이후 환궁하여 왕이 그 '은어'[3]가 먹고 싶어져서 진상을 명령했으나 피난길에 먹었던 것만 못해 이에 기분이 나빠져서 '도로 목이라고 해라'고 명령한 것이 와전되어 도루묵이 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다.[4] 출처 이 어원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말짱 도루묵"이라는 표현도 있다. 말 그대로 애쓰던 일이 헛일이 되었을 때 쓰는 말.
2.2 조선의 선조, 인조 설
세간에서는 선조나 인조를 많이 거론한다. 조선의 왕중 피난을 갔던 왕들이 얼마안되는데 선조는 임진왜란을 인조는 병자호란과 이괄의 난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종실록지리지에 이미 은어라는 말이 나오기 때문에 논리에 맞지 않는다. [5]
2.3 조선의 태조 설
2016년 김양섭 전북대 무형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이 발표한 논문[6]에 의하면 "이성계가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라는 정황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그에 의하면, 도루묵을 설명하는 문헌들중 허균의 글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도루묵의 생태적 특성과 역사적 사실을 살피지 않았기 때문에 고려왕이나 선조, 인조가 설화의 왕이 될 수 없다고 했다. 반면에 태조는 정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갔던 적이 있는데, 함흥은 도루묵이 많이 나고 함경도 안에서 유일하게 은어라고 부른다. 또한 허균의 '도문대작'에서 도루묵 설화에 대해서 '전 왕조의 왕'이라고 했는데, 감히 태조라는 묘호를 거명할 수 없어서 쓴 다른 표현이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서 설화의 주인공이 태조 이성계라고 논증하고 있다. #기사
3 맛
맛이 꽤 좋다고 알려져있지만, 사실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다른 바다 생선과 달리 맛이 밋밋해서 무맛이라고도 한다. 비리지는 않지만 특유의 향이 있어 싫어하는 사람도 있고. 거기다 보통 산란철에 잡히다 보니 살에 기름기가 별로 없고 푸석하기까지 하다.
도루묵을 영어로 Sandfish라고 하는데 여기서 그 맛을 상상해 볼 수 있다. 알이 워낙 굵고 탄력이 있어 모래알 또는 고무알 같은 데다가, 점액질이 상당히 많은데 굽거나 끓여도 그대로이다. 몸통에 비해 알집이 굉장히 커서 도루묵은 알을 주로 먹게 되는데, 그 떼글떼글한 알갱이와 미끌미끌한 점액질과 비릿한 냄새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좋아하는 사람은 알집만 떼어 국을 끓여먹기도 하고, 그 점액질의 맛조차 좋아하여 심지어 회로 먹기도 하지만, 싫어하는 사람은 도로 묵이라 하라고 말한 뒤 두 번 다시 쳐다보지도 않게 된다.
강원도 현지인들은 산란기에 잡은 도루묵을 먹는 것은 바보라고 하면서 현지인들은 아무도 안 먹는다고 말한다. 알을 배지 않은 산란기 전이라야 진정한 도루묵의 맛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알도 완전히 성숙해서 딱딱한 11월 도루묵보다 성숙이 덜 된 10월 도루묵의 알이 더 맛있게 여기는 사람이 많다. 사실 원래 알을 배는 암컷 생선은 알이 성숙하면 몸이 마르고 지방이 줄어들어서 맛이 떨어지는 편이다.
아무튼 현지인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여러 가지로 갈리는 모양이니 판단은 직접 먹어보고 각자 알아서 하자.
만화 미스터 초밥왕에서 대결의 주제로 미지의 생선, 참 도루묵이 나오기도 했다. 작중에서는 아무 향이 없는 생선으로 묘사되며 심사위원이 먼저 만든 초밥을 먹고, 그것을 똑같이 재현하는 대결을 하게 된다. 향이 없다는 특징때문에 초밥의 원료인 쌀과 물을 고르는 것이 더 어려운 문제로 나온다. 반대로 말하면 실제로도 특별히 매력이 없는 맛일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현지인들은 가끔 해안가로 가서 파도에 휩쓸려 온 도루묵알을 건져먹기도 하는데, 이런 알들은 쫄깃하다 못해 고무처럼 질길 정도고[7] 점액질도 없으며 바닷물 특유의 짭짤함까지 배어서 나름 괜찮은 식재료가 된다. 다만 모래알도 묻어있고 지나치게 짜기 때문에 그대로 먹을 수는 없다. 다소 귀찮은 손질과정을 거쳐서 찌개로 끓여먹으면 별도로 소금간을 하지 않아도 짭짤한 찌개가 만들어진다고 한다. 2015년 12월 17일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초도리 해안에 해변을 뒤덮을 정도로 도루묵알이 밀려나오는 현상이 벌어졌다.- ↑ 명태의 씨가 말라버린 바다를 도루묵이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 ↑ 일부 판본에선 '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일부 판본에서는 충미어(忠美漁)라고 부르기도 했다.
- ↑ 맹꽁이 서당에서도 그랬고 종종 이 임금이 조선시대 선조라고 알려진 경우가 있으나, 선조의 피난로는 서울에서 의주까지 가는 길이었으므로 서해안을 따라갔을 텐데 서해에는 도루묵이 살지 않으므로 잘못된 정보로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이미 은어로 기록되어 있다. #기사
애초에 본문에 고려의 왕이라고 딱 나와있다. - ↑ #기사
- ↑ '민속학연구' 제38호의 '임연수어·도루묵·명태의 한자 표기와 설화에 대한 논증'
- ↑ 염장되면서 수분이 빠져나가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