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고등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학교 전경
대구광역시 달서구 고등학교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경원고등학교경화여자고등학교구남보건고등학교대건고등학교
대곡고등학교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외국어고등학교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대진고등학교도원고등학교상서고등학교상인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성서고등학교송현여자고등학교영남고등학교와룡고등학교
원화여자고등학교호산고등학교효성여자고등학교
photo_symbol01.jpg
교명도원고등학교
개교2003
유형일반계고등학교, 과학중점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공립
소재지대구광역시 달서구 미리샘길 52 (도원동 1453))
홈페이지

1 개요

도원고등학교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미리샘길 52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중점고등학교이다.

2 역사

  • 2001년 12월 1일 : 도원고등학교 설립 인가(일반학급 36, 특수학급 3)
  • 2002년 5월 1일 : 도원고등학교 교사 착공(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1453번지)
  • 2003년 3월 1일 : 초대 곽태현 교장 취임
  • 2003년 3월 4일 : 제1회 입학식 (일반학급 15학급, 특수학급 1 학급)
  • 2003년 3월 20일 : 교훈 제정, 교표(디자인:임종필)․교목(은행나무)․교화(장미) 선정
  • 2004년 2월 1일 : 교가 제정(작사:손병현, 작곡:석진환)
  • 2007년 12월 24일 : 『2007 학교평가』우수학교(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
  • 2009년 10월 27일 : 제10회 영자신문콘테스트 금상
  • 2009년 12월 30일 : 교과교실제 과학ㆍ수학 특성화 2010. 3. 1.~2013. 2. 28.(3년) / 자율학교 신규 선정 : 2010. 3. 1~2015. 2. 28(5년)
  • 2010년 12월 9일 : 『2010 대구광역시교육감배 학교스포츠클럽대회』배드민턴 여고부 우승
  • 2010년 12월 31일 : 『2010 전국 교과교실제 및 과학중점학교 운영성과 평가』전국 최우수학교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
  • 2011년 7월 8일 : 2012 대한민국 좋은 학교 선정
  • 2012년 10월 17일 : 제93회 전국체육대회 볼링 남자 고등부 개인전 1위(금메달)
  • 2013년 2월 7일 : 제8회 졸업식(439명)
  • 2013년 3월 4일 : 제11회 입학식(일반학급 8학급, 과학중점반 2학급, 특수학급 3학급 계305명)
  • 2014년 2월 6일 : 제9회 졸업식(졸업생 371명, 남198명, 여173명)
  • 2014년 3월 3일 : 제12회 입학식(남179명, 여167명, 계346명)

3 상징

3.1 교표

photo_symbol01.jpg
전체적인 형태는 우주의 무한한 공간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청구(靑丘)라 하였는데, 청색은 희망이요 발전을 지님과 동시에이지(理智)와 냉청(冷徹)의 의미이다. 그런데 대구에 청구고가 있잖아?

파란색 D는 Dowon High School의 첫 문자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학교를 상징한다.

D 안의 작은 점은 도원고등학교로부터 사방으로 퍼져가는 동일한 힘, 에너지, 빛의 상징이다.
이는 열린 공간으로부터 역동적으로 세계를 향하여 바르게 나아가고자 하는 도원인(桃源人)의 표상(表象)이다

3.2 교훈

바르게 행하자.

짧고 굵다

3.3 교가

photo_symbol05.jpg
페르마타를 동반한 고음과 독특한 멜로디 덕에 부르기 어려워 하는 학생들도 종종 보인다.

3.4 교목

photo_symbol03.jpg
은행나무로, 교사 뒤편 산책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3.5 교화

photo_symbol04.jpg
장미로, 학교 화단과 교사 뒤편 산책로에서 볼 수 있다.

4 특징

4.1 과학중점고등학교

도원고는 2010년 과학중점고등학교로 지정되어 현재 한 학년당 두개의 과학중점반을 운영하고 있다.
과학중점고등학교인만큼 과학과 관련한 행사가 많은데 매년 교내그룹연구대회,야자 빼먹기에 최적화된 대회 마우스 트랩카 경주대회, 과학경시대회, 과학UCC 경연대회, 발명품 경진대회 등이 개최된다.
또 2015년 현재 6개의 과학동아리가 활동하고 있다. 작년까지는 지구과학동아리가 존재하였으나 올해엔 없다.본인들이 신입생을 안받고 문닫았다 카더라 그러나 2016년 현재 지구과학동아리인 폴라리스가 기존 지구과학동아리인 루나를 계승하여 다시 활동하고 있다.
그 외 과학중점고등학교의 특징은 항목참조.

4.2 인문, 사회 관련 활동

과학 행사 못지않게 다양한 인문, 사회 행사들도 열린다. 정확히는 이쪽이 메인이다. 온갖대회가 다 열리는데 몇가지 예를 들어보자면 공부 실패사례 수기 공모전(수상한 작품들을 모아 책으로 낸다) 낙서 경연대회(수상한 작품들을 모아 낙서장불입이라는 낙서책을 만들었다) , 웃는 얼굴 그리기 대회, 우리 동네 맛집 소개 대회, 학교 발전 아이디어 공모전, 인문학 UCC 공모전, 화폐 디자인 대회, 독서 PPT발표대회, 경제 TED대회 등이 있다.
또한 활동으로는
[1]
말하는 공부방이 있다. 매주 하루 야자시간에 말하는 공부방에서 친구와 짝을 이뤄 논쟁하며 공부하는 것으로 유대인들의 문화인 하브루타를 차용한 것이다.

4.3 도원고의 사계

저수지(도원지)와 산(삼필봉)에 접해있다보니 일년내내 다양한 자연현상과 그 변화를 목격 할 수 있다. 특히 모든 교실에서 보이는 저수지 제방은 사계절의 지표로그리고 수업에 지친 도원고 학생들의 이상향으로쓰인다. 여담으로 인근에 월광수변공원이 있다.

4.3.1

4월 말쯤, 제방에 싹이 트기 시작하는데 그 즈음까지는 황량한 편이다. 병충해 방재를 위해 제방 잔디를 모두 태우기도 한다. 불지옥
750px
인근의 토지주택공사부터 도원고 정문까지 100m가량의 벚꽃길이 조성되어 있어 매년 봄 장관을 이룬다. 꽃이 만개했을 즈음엔 하루나 이틀정도 점심시간에 교문을 개방해주는데 이때 사진을 찍거나 꽃을 구경하러 나온 아이들로 군항제수준의 인구밀도를 맛 볼 수 있다.
늦봄에는 교사 뒷편 산책로의 오디가 익기 시작하는데, 점심시간에 종종 오디를 따먹는 아이들을 목격 할 수 있다.

4.3.2 여름

11698899_811332125651045_6833031249268112953_o.jpg흔한 고등학교 교실 창밖풍경.jpg
벚꽃과 함께하는 봄도 아름답지만, 도원고 최고의 풍경은 여름에 있다.
이따금씩 비가 온뒤에 산등성이를 타고 올라가는 구름도 멋진볼거리이다.
또 학교 옆 공원의 살구가 익는 시기도 이때이다. [1]
여름방학 시즌쯤 제방의 풀들을 제초하는데 상당히 시끄럽다.

4.3.3 가을

단풍으로 물든 창밖을 보다보면 어느새 야자시간.

4.3.4 겨울

산밑이다보니 야외활동은 비추.
눈이 온 다음날 제방에서 썰매를 타는 학생들을 볼 수도 있다.

5 학교 시설

학교 부지가 넓은 편이 아닌지라 학교 건물이 전체적으로 굵직굵직하다. 두 교실이 하나의 복도를 사이에 두는 중복도구간도 존재한다. 학교를 지을 당시 교과교실제를 염두에 두고 지었는지 모든 시설들이 학교 중앙의 홈베이스로부터 가지를 뻗어나가듯이 위치해 있다. 2002년 완공되어 지어진지 그리 오래된 학교는 아니지만 학교 주위가 산과 저수지이다 보니 이런저런 오염원들이 많아 구석진 천장이나 숲쪽으로 뚫려있는 창이 지저분해 보이기도 한다.

5.1 본관

5.1.1 홈베이스

교과교실제에서 강조되는 홈베이스가 각 층마다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도원고등학교는 전면적 교과교실제가 아닌 부분적 교과교실제를 시행하고 있어 홈베이스가 완전한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되고 있지는 못하다. 다만 사물함과 벤치, 전면거울 등이 설치되어 있어 쉬는 시간 학생들의 활동 터전이나 자습장소, 축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준비 장소로 쓰이고 있다. 2층의 경우 그 절반을 수학교과실에 내어 주었고, 4층은 3학년들의 자습실로 쓰이고 있다.

5.1.2 교실

5.1.3 도원도서관

5.1.4 과학교과실

과학 중점 학교로 과학실 시설이 매우 잘 갖춰져 있다.

5.1.5 시청각실

5.1.6 급식실

급식실이 좁아 3학년들은 교실에서 급식을 먹는다.매점만 안가면 4층에서 모든것을 해결할 수 있다.
2013년까지는 인근 학교 학생들이 몰래 먹으러 올 정도로 급식이 맛있었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예전의 명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5.2 테라스

야외공간이 부족한 대신 2층높이의 테라스가 세 개 있다. 하지만 청소나 축제때가 아니면 잘 개방해 주지 않는다.

5.3 강당

6 학교 생활

6.1 학생회

대부분의 초,중,고의 학생회가 그렇듯 별 역할이 없다.
현재 도담제의 레이아웃은 2014년 학생회장이었던 모 선배가 혼자 기획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내려온다.

6.2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교내합창대회 " 2006년도까지 있었으나 2007년부터 개최하지 않는다. 1~3학년이 반 별로 강당에 모여서 하는 교내합창대회. 원래는 학기 별 한 번 씩 일 년에 총 두 번 개최되었으나 2006년, 학업에 무리가 간다는 이유로 1학기에만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 1회 개최되었다. 그나마도 2007년부터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어 이젠 나무위키에만 남게 되었다. (06년 발령오신 교장선생님의 의견이 컸다고 카더라 최산림 ㅂㄷㅂㄷ)

합창대회 직전에는 음악시간을 통째로 합창연습에 할애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악보를 들고 파트를 연습하며 복도를 거닐거나 교실에서 함께 화음을 맞추는 학생들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참고로 마지막 교내합창대회인 06년도 대상 수상팀은 당시 2학년 모 여자반으로, 검정치마에 흰저고리를 직접 제작해 입고 나왔었다.

개최 달 추가 부탁
"교내체육대회 "
"도담제: 겨울방학식 전 개최되는 학교 축제로 영상제, 가요제, 동아리별, 반별 부스체험등이 열린다. 2013년에는 양일간 진행했으나 2014년에는 하루로 줄었다. 재미가 종범.이걸보는 후배님들은 야자째고 영남고 축제가는걸 추천한다.꾸준히 열리는 행사로는 예로부터 날개반들이 준비하는 귀신의 집, 왠지 화학동아리에서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물리동아리에서 선보이는 불쇼 등이 있다.

"서원식 ": 수능 치기 몇일 전에 강당에서 수험생들의 기를 북돋워 주는 행사. 대게 훈화말씀과 함께 선생님들의 응원 메세지가 담긴 영상을 틀어준다.환호소리가 작은 선생님 지못미.2015년에는 수험생들을 가운데에 두고 1,2학년들이 양쪽에서 종이비행기를 투척하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

입학식, 졸업식,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만해 미친놈아

7 교통 수단

8 출신 인물

  • 이영훈 - 도전 골든벨에 참가하여 최후의 1인으로 아쉽게 탈락
  • 홍다영 - 도전 골든벨에 참가하여 최후의 1인으로 2007년 준왕중왕

9 트리비아

  • 도원중학교에서 이 학교 운동장이 훤히 보인다. 그래서 도원고에서 축구 경기 등을 진행할때 도원중 학생들이 구경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근처에 대곡고등학교와 묘한 라이벌의식기믹이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연대, 고대 같은 경쟁관계랄까?(물론 연고대만큼 치열하거나 하진 않지만 몇몇 교직원들, 학부모들까지 어느정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2]
  • 학교 중·장기 발전계획으로 2013년에 기숙사를 착공해 2014년에 완공, 2015년에 운영할 예정이라고 하나 2015년 현재 감감 무소식이다.아니 애초에 지을만한 부지가 있나?[2]
  • 도원중학교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입학하므로 도원고에는 도원중 출신이 많다. 2014년 부터 대곡중 학생들의 유입도 장려 중.
  1. 여름에 저렇게 문을 열어 놓으면, 특히 야간자율학습 때, 파브르곤충기를 볼 수 있다. 주로 나방이나 하루살이같은 불에 반응하는 곤충류, 아무래도 매우 근접한 거리에 도원지와 삼필봉이 있어서 그렇다
  2. 그래봤자 3학년 때 상위권대학에 어느 고등학교가 많이 보냈냐정도이고 이건 인문계고등학교에서 흔히 있는 구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