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49번 | |||||
기점 | 대구 달서구 도원동 (대곡주공8단지) | 종점 | 경북 경산시 압량면 금구리 (압량교 북단)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2분 | 주말배차 | 14분 | ||
운수사명 | 경상버스, 우창여객 | 인가대수 | 22대[1] | ||
노선 (주요경유지) | 대곡지구 - 상인역 - 서부정류장 - 영대병원 - 반월당 - 범어역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정평역 - 금구리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대곡주공8단지(6)에서 수성구 범어2동 범어역(4)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금구리(9)[2]까지 운행하는 경상버스, 우창여객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 노선 역사
1998년 개편 전에는 1996년 개편 때 신설되었으며 배차 간격이 11분 정도였던 좌석버스 301번이었다. 당시에는 송현주공아파트~서부정류장~영대병원~한일극장~대구고속버스터미널~남부정류장~경산시장~영남대학교~금구리 구간을 운행했다. 유사 노선으로는 일반버스 1번이 있었는데 이 노선은 1998년 개편 때 909번으로 변경되어 도심 이서 구간이 짤리고 신남네거리에서 회차하는 걸로 단축되었다. 참고로 좌석버스 301번 시절에는 2006년 개편 후 909번과 거의 동일했다. 1998년 5월 개편으로 301번은 649번으로 변경되고 송현주공아파트에서 대곡지구까지 연장되었는데 당시 노선은 대곡지구~서부정류장~안지랑네거리~남부경찰서~영대병원역~봉덕시장~중동교~정화여고~두산오거리~대구지방경찰청~동아백화점수성점~지산삼거리~경북고등학교~국립대구박물관~남부정류장~시지~옥산네거리~경산역~경산시장~경산오거리~경산시청~영남대학교~금구리였다. 영대병원역에서 범물동까지의 구간이 2006년 개편 후의 604번과 비슷하고 정평동 경유가 아닌 경산시장과 경산시청을 경유[3]했다는 점이 이채롭다. 그러나 649번은 지나친 공기수송으로 1달만에 현 운행 구간인 달구벌대로 구간으로 변경되었으며 1999년 309번이 정평동 경유에서 경산시장 경유로 바뀌자 그걸 대체하기 위해 경산시장 구간이 정평동으로 직선화되어 엄청난 수요를 끌기 시작했다.
4 노선 특징
영남이공대학교, 영대병원, 영남대학교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다.
영남대학교가 종점이거나 경유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들이 거의 대부분 경산역과 경산시장을 경유해 굴곡이 있었고 시간도 꽤나 소요되었으나, 449번과 649번은 정평동을 경유해서 직진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절약되었다. 거기에 2006년 10월 이전에는 일반버스에 한해 시계외 구간 4km 초과 구간은 구간요금이 있었는데 대구 일반버스 449번, 경산 일반버스 99-1번[4]은 정평동으로 직진하는 관계로 4km을 넘지 않아 시계외요금이 발생하지 않았고 좌석버스였던 649번은 아예 시계외요금이 없었다.[5]
2009년 4월 29일 세운버스의 653번 1대가 감차되어 649번 증차에 투입되었다.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개통 이전까지 수요는 엄청나게 많았으며[6] 그 때문에 신차 비중이 높았다. 특히 일부 구간 수요가 매우 많았는데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사월역까지 다니던 시절에 양 쪽 기종점에서 가까운 지하철역 구간[7]까지는 가축수송 구간이었는데 해당 구간을 직선으로 연결해 주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금구리~사월역 구간 수요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영남대역으로 연장되어 수요가 꽤나 도시철도로 옮겨졌다.
우창여객은 2008년 말 창성여객과 618번 지분을 트레이드하여 공동배차에 참가했다. 2012년 6월 16일 개편 때 대구의 대표적 과밀 노선인 726번의 증차를 위해 대명교통 소속 차량이 2대가 감차된 대신 세운버스에서 달성1번에서 감차한 2대를 투입해서 맞트레이드했다. 따라서 전체 운행 댓수는 유지하는 듯 했으나, 수요가 도시철도 2호선 연장 개통 전에 비하면 많이 감소했기 때문에 10월 20일 개편으로 다시 726번의 증차를 위해 대명교통 소속 차량 2대가 또다시 감차되면서 결과적으로 2대가 감차되었다. 2008년부터 저상버스가 투입되기도 했지만 창성여객은 지분이 바뀌었으며 창성여객과 618번을 맞바꾸었던 우창여객은 모두 980번으로 보내 버렸고 대명교통도 649번에 신차를 투입하면서 기존에 운행하던 2009년식 저상버스 1대를 650번에 트레이드하여 한때 저상버스가 없었다가, 2015년 3월 우창여객에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를 다시 투입한다.
대곡지구 막차 이후에는 월곡네거리 막차가 1대 있다. 금구리 막차 이후에는 사월역 막차가 대곡지구에서 출발하며 그 다음 막차는 대곡지구를 출발하여 남부정류장(만촌역)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금구리 종점에서 5분 대기 후 출발하는 것으로 다이어가 짜여 있다. 따라서 남도버스차고지에서 장기정차한다.
2015년 개편 이후 706번이 상인장미아파트를 경유하게 되면서 월곡네거리에서 바로 좌회전 하는 노선이 649번만 남게됐는데, 이 때문에 수요가 살짝 늘어난 감이 있다. 다만, 일각에서 주장하는 이 수요로 인해 노선 운행애 지장이 갈 정도로 수요가 많은 건 아니므로 다수의 동호인들은 649는 가차없이 날리고 이 구간을 대신할 다른 노선을 1개 정도만 빼면 된다고 주장 하고 있다. 사실상 어딜가도 649를 수요 많다고 존치해야 한다는 의견은 설득력이 낮아서 불판도 오래 못가더라
4.1 문제점
노선의 81%가 도시철도와 중복되어 있다. 그리고 교통 동호인들의 노선 정리 대상 영구 1위[8]
2009년 1월 개편으로 달구벌대로에서 명덕로(대백프라자, 궁전아파트)로 노선을 변경한 509번 이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지하철과 중복되는 구간이 가장 많다는 점이 이 노선의 특징으로 도합 25개 역, 전체 구간의 대략 81% 정도가 도시철도와 중복된다.[9] 즉, 장거리에 속하는 상인역~반월당역~영대역 구간이 도시철도와 완전히 중복된다.
그래서 한 때 나왔던 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 기본계획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연장개통 후 449번과 649번 2개 노선을 폐선한다고 한다. 정확히는 449번의 대일리-만촌네거리 구간과 649번의 만촌네거리-대곡지구 구간을 통합하여 대일리-대곡지구 간 노선을 새로 신설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러나 449번, 649번 모두 구간 수요가 꽤나 되기 때문에 아직까지 노선 개편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버스 동호인들은 449번 대신 991번과 통합하자는 의견도 있는데 이는 두 노선이 반월당역~영남대학교 구간이 완전히 겹치기 때문이다.[10] 가능성이 낮아 보이지만 만약 통합된다면 지하철 중복 구간을 조정하고 대곡지구~대구한의대학교 노선이 될 듯 하다. 사실 대구버스조합에서는 양보하고 449번+649번 통합 노선이 생기면 449번과 649번에서 빠진 여유분으로 남부정류장~대구미래대학(또는 대구한의대) 노선으로 협상했으나, 이마저 거절당했다. 2014년 3월 3일 경산 109번이 신설되었는데 경산버스 측에서는 이런 목소리를 차단하고자 만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제 649번이 경산 991번과 통합하거나 한의대로 들어갈 명분은 사라진 상태다. 그래서 초반에는 649번이 한의대로 들어가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점차 요원해지자 641번으로 바꾸고 범어역에서 상대적으로 버스편이 적은 봉무동으로 가는 노선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불로삼거리 헬게이트는?
이렇듯, 한 개의 지하철 노선도 아니고 두 개의 지하철 노선을 미친듯한 비율로 중복되면서 대구시도 마침내 칼을 빼들어 2015년 8월 개편으로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이번에도 경산버스와의 협의가 되지 않았는지 살아남았다. 도시철도 중복이라는 이유로 날아가버린 건 고작해야 경산 유출입 노선이 아닌라서 만만하게 보였던 305번뿐이다. 704번의 경우 중복도가 그리 높지 않음에도 날아가 버리고 정작 급행3번이 살아남았다. 운영 업체도 변경되는데 대명교통과 세운버스가 빠지고 경상버스가 참여한다. 심지어 공차 거리마저 망했어요. 그냥 나두는게 나았을텐데.... 대곡에서 자인까지 신나게 달려보자~ 야! 신난다
그리고 2016년 2월 13일 정기 개편에서도 변동없었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상인역, 월촌역, 송현역, 성당못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영대병원역, 교대역, 명덕역, 반월당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역, 경대병원역, 대구은행역,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담티역, 연호역, 대공원역,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 ↑ 경상버스가 15대, 우창여객이 7대를 배차한다.
- ↑ 금구리 종점으로 원래는 현재 종점보다 2배 정도 넓었으나, 2006년 개편 때 반으로 줄어들고 줄어든 면적은 밭으로 변했다. 그런데 금구리 종점에서 시내버스에 탑승하려던 승객이 사망하는 등 좁은 종점 때문에 문제가 가끔 있다.
- ↑ 임당역(임당네거리)~남매네거리~시청네거리 사이에 있는 남매로를 경유했었다. 현재 이 구간을 경유하는 대구 시내버스는 하나도 없으며 경산 109번, 경산 압량1번, 경산2(-1)번이 다니고 있다.
- ↑ 현재 991번
- ↑ 현재 사월역에서 영남대역까지 역간 거리가 3.3km이다. 이마트경산점 교차로부터가 시경계다.
- ↑ 2009년 경산시 유출입노선 감차 때 449번, 939번과 더불어 감차되지 않은 노선이기도 하다.
- ↑ 대곡지구~상인역, 금구리~사월역
- ↑ 존치하자는 의견은 어쩌다가 한 번 나올까 말까한 빈도를 보이고, 정리 하자는 내용도 조정이 아닌 걍 날려버리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대곡지구~1호선 환승 기능 역시 타 노선이 얼마든지 이관이 가능하기 때문.
- ↑ 중복되지 않는 구간은 대곡지구~상인남네거리, 조영동(삼천리버스)~금구리 구간뿐이다.
- ↑ 실제로 2012년 10월 개편 때 이런 움직임이 있었고 경산시 압량면 신대부적지구 주민들도 991번 대신 이 노선 운행을 원했으며 당시 991번 버스 기사도 649번과 991번이 통합해서 대구한의대학교까지 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 경산버스조합의 반발로 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