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그

(드랙퀸에서 넘어옴)

Drag. 끌다라는 뜻의 영단어다. 과학에서는 움직임에 저항하는 힘으로 쓰기도한다.

1 마우스 드래그

마우스클릭한채 옆으로 옮기는 행위. 터치스크린에서도 비슷하다. 드래그한 무언가를 놓는것을 드롭이라고 한다.

2 크로스드레싱 문화

이 문단은 드래그 퀸 · 드래그 킹 · 드래그킹 · 드래그퀸(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주의. 성(性)적 내용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성(性)적인 요소에 대해 직간접적인 언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읽는 이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기 바라며 원치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성소수자(Sexual minority)
성전환(性轉換)쉬메일 · 히피메일 · 성전환증 · 성 정체성 장애 · 성전환 치료(성전환 수술 · 안면 여성화 수술 · 호르몬 대체 요법) · 성별 이행 · 패싱
성소수자인권 관련 문서퀴어학 · 성소수자 인권단체 · 커밍아웃 · 아웃팅 · 탈동성애 운동 · 교정강간 · DADT
성소수자문화성소수자/은어 · 게이바 · 레즈비언바 · 트랜스젠더바 · 여장 클럽 · 프라이드 플래그 · 프라이드 퍼레이드 · 퀴어문화축제 · 퀴어 영화 · 팬픽이반 · 크로스드레싱(드래그)

드래그(Drag)는 사회적으로 고정된 성 역할에 따라 정해진 옷과 행동거지 등을 다른 성에 맞춰 바꾸는 것을 일컫는다. 흔히 과장된 여장이나 남장을 말하게 된다. 이런 뜻의 드래그란 단어는 최소 187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당시 극장계에서 사용되던 은어가 퍼진 것으로 원래는 긴 치마나 망토 등으로 옷이 무대 바닥을 휠쓸면서 지나가는 것을 표현한 뜻이다.

인쇄된 단어로서 드래그 퀸은 1941년에 등장하였다. 후일에는 Drag를 'dressed as girl'의 약자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생겨났고, 남자처럼 옷을 입는건 'dressed as boy' 즉 Drab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1 역사

일단 드래그의 역사는 매우 긴 편이다. 특히 연극과 오페라에서 그러한데, 셰익스피어 시대만 생각해봐도 바로 답이 나온다. 당시에 여성은 무대에 오르는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여성 역할도 모두 남성 연기자가 했어야 하므로 여장을 해야만 했다. 오페라의 경우엔 카스트라토 참조.

단지 극장에서 뿐만 아니라, 유럽 왕족과 귀족계에선 어린 소년들을 소녀 옷을 입혀 생활하게 하고 이를 그림으로 그려 남긴 경우도 매우 많다. 바로크시대를 넘어가며 성인남성이 궁중에서 여장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다만 아무레도 근세 이전까지 여장남자에 대해선 직업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용인하는 것은 있었어도, 남장여자는 굉장히 타부시 되었다. 중세시대엔 여자가 바지를 입는 것만으로 마녀라고 화형하던 시대였으니.. 하지만 이후 성 혁명을 지나며 남장여자가 사회에서 용인되는 것으로 바뀌었고 거꾸로 마초이즘으로 인해 여장남자가 터부시되는 근대사회로 접어들게 된다.

영화TV가 발전함에 따라 이런 미디어에서도 당연히 여장남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대부분은 코미디 요소로 전락한 부분이 크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여장남자를 스테레오 타입, 조롱적으로 취급하던 행위는 서구권에서 블랙페이스와 같은 취급을 받는 모멸적 행동으로 자제되는 분위기이나, 아직 이런 부분에 대해 무지한 동유럽이나 아시아권에서는 툭하면 코미디 쇼에 튀어나오고 있다.

2.2 드래그 퀸

드랙 퀸이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여성으로 드래그한 경우를 말한다. 다만 단순한 여장남자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독특한 여성적 페르소나의 설정과 그에 맞춘 행동거지와 자세 등을 연기하는 좀 더 복잡한 문화적 행위예술에 가깝다. 즉 '연극적 여장남자'가 가장 정확한 표현이다. 과장된 화장과 의상,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킹키부츠가 대표적.[1]

드래그 퀸을 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다. 단순히 페티쉬일 수도 있고 다른 성 역할을 행함에 따라 얻는 자신감 또는 반발감, 자기 정체성 발현 등등 여러가지 사유가 있다. 드래그 퀸이 종종 게이 문화에 포함되지만 모든 드래그 퀸이 꼭 게이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드래그 퀸은 트렌스젠더와는 다르다! 드래그 퀸을 연기하는 남성들은 평소엔 자신을 남성이라고 지칭하며 드래그 퀸을 연기할 때는 여성이라고 스스로를 부른다.[2]

드래그 퀸들이 문화 공연을 하는 걸 드래그 쇼라고 부른다. 아무레도 드래그의 핵심적 요소가 대중에게 보여주기 요소가 강하다보니 드래그 쇼와는 땔 수가 없는 것. 춤과 노래, 커버송 립싱크, 패션쇼, 연기, 스탠드업 코미디 등을 망라하며 아무레도 성 역할에 대한 풍자가 강하게 드러난다. 드래그 쇼는 서구권에서 매우 큰 규모의 서브 컬쳐이며 이들의 의상과 문화적 요소가 대중 문화에도 대단히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한국에도 어느정도 알려져있는 유명한 드래그 퀸으로는 루폴이나 콘치타 부르스트가 있다.

드래그 퀸들은 스톤월 항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당시 성소수자들을 탄압하던 경찰과 정부 입장에선 여장을 하고 있는 남성을 물증으로 잡아내기가 가장 쉬웠기 때문에 당연히 주요 타깃이 되었기 때문. 스톤월 인을 급습한 경찰에게 항의할 때도 신고 있던 하이힐을 집어 던지기도 했다.

드랙 퀸은 패션계에 모델이나 뷰티쪽으로 굉장히 많은 인정과 활동을 나타내고 있는 퀴어 중 하나이다. 화장과 의상, 악세사리에 상당한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진보적인 패션 디자이너들의 (패션계엔 퀴어인 디자이너, 모델, 스텝들이 패션 역사적으로도 상당히 많아 왔다. 대표적인 하이패션 브랜드 샤넬의 거장 칼 라거펠드도 게이이다.) 뮤즈로써 활동하는 드랙퀸들도 상당수 많다. 그중 한국계 드랙퀸도 많이 있다.

2.3 드래그 킹

여성이 남성으로 드래그한 경우를 말한다. 이 쪽도 드래그 퀸과 마찬가지로 춤, 연기, 스탠드업 코미디, 노래 등을 망라하며 남성적 의상과 수염, 과장적인 남성주의를 표출하며 이를 풍자적으로 패러디한다. 특히 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클 잭슨이 단골 커버 소재. 드래그 킹은 1900년대 초부터 문화 공연에 포함되기 시작하였으며, 좀더 대중에 알려진 것은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 부터이다. 그러나 아무래도 드래그 퀸보다는 규모가 적다보니..

드래그 킹은 레즈비언 문화 뿐만 아니라 트랜스남성도 어느정도 참여하는 문화적 고리이다.
  1. 다만 많인 착각하는 경우가, 드래그 퀸을 한다고 모든 남성적 요소를 제거하고 모두 여성적 요소로 꾸미는 것은 아니다. 수염을 남기거나 가짜 가슴을 안달거나 하는 식으로 부분 드래그 퀸 분장도 흔하다. 어짜피 목젖도 어찌 못하는데
  2. 물론 트렌스여성이 드래그 퀸을 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