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冕相, 일제강점기/북한의 작곡가.
1908.4.8~1989.6.25
1 생애
니면상
라면상이 아니다
함경남도 함주군에서 태어났고, 고향에서 2년제 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원산의 제1보통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음악을 독학하기 시작했다. 이후 전라남도로 근무지를 옮겼는데, 1929년에 있었던 광주학생항일운동 때 인근 벌교에서 열린 노동조합 총회에서 반일 관련 사상을 유포했다는 이유로 해직당했다.
1931년에는 일본으로 유학해 도쿄음악학교 고등사범부에서 2년 동안 배웠고, 이 시기에 사회주의 계열의 음악 단체인 일본무산계급음악동맹 회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일본 폴리도르 레코드의 조선 지사에서 '청춘을 찾아서'등의 유행가와 '울산아가씨'[1]등의 신민요를 작곡해 취입하면서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기 동안에는 적극적이지는 않았지만 나름대로 조선인임을 자각하고 민족 의식을 고취시키는 노래를 작곡했는데, 중일전쟁이 터지고 나서는 점차 맛이 가기 시작해 친일파로 전향하게 되었다. 1937년에는 일본 빅터 레코드 조선 지사 전속 작곡가가 되었고, 같은 해 '전장의 가을', '정의의 스승이여', '종군간호부의 노래'등의 친일가요를 작곡하면서 본격적인 일빠 인증을 했다. 1941년에는 조선총독부가 조선 음악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만든 관제 단체인 조선음악가협회에 들어가 국민가요(=친일가요) 작곡가로 활동했고, 같은 해 발표한 '진주라 천리길'이라는 유행가가 큰 인기를 얻었다.
태평양 전쟁이 일본의 패배로 끝난 뒤에는 다시 고향인 함경남도의 중심지인 함흥으로 돌아갔고, 함경남도 음악건설동맹 위원장으로 시작해 이듬해인 1946년에는 북조선음악건설동맹 위원장 겸 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이라는 북한 문예계의 요직을 차지했다. 그리고 이 시기 부터 '산업건국의 노래'와 '빛나는 조국'등 북한 체제 선전용 가요를 발표해 두각을 나타냈고, 비슷하게 친일 경력이 있던 극작가 조령출의 대본으로 춘향전 원작의 가극(오페라)을 작곡하고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초대 단장을 역임하는 등 초기 북한 음악계의 형성에 큰 몫을 차지했다.
한국전쟁 중에는 조선음악가동맹과 조선작곡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고, '내 고향의 정든 집', '문경고개'같은 전시가요를 작곡했다. 휴전 후에도 계속 요직에 있으면서 김일성 우상화와 항일투쟁 미화 작업의 일환으로 '영광의 땅 보천보', '눈이 내린다', '우리 자랑 이만저만 아니라오', '어머니 당이여', '조국보위의 노래'등의 가요를 발표했다. 1957년에는 평양음악대학 총장 자리에도 올랐고, 1986년까지 북한의 국회인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직도 기수 별로 계속 역임했다.
1960~70년대에는 갓 정치계에 들어온 김정일의 움직임에 호응해 가극이나 무용극 등의 집단 창작(문화어로는 집체 창작)에 동참하면서 창작 지도를 맡기도 했으며, 덕분에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이어지는 세습 기간 동안 이루어진 문화예술계 숙청을 피할 수 있었다. 1980년대에 들어선 뒤에는 창작 활동 보다는 기존 작품의 편곡이나 음악계 정치 활동 등에 주력했고, 1989년에 평양에서 사망했다. 유해는 애국렬사릉에 묻혀 있다.
2 주요 수상 경력
- 북한 공훈예술가 (1955)
- 인민상 (1959. 가극 '밀림아 이야기하라'로 수상)
- 북한 인민예술가 (1961)
- 김일성상 (1985)
3 북한의 평가
친일 행적이 있었음에도 성공한 예술인들 중 한 사람이었는데, 같은 친일 부역자라도 최승희처럼 김일성에게 안좋게 찍혀서 숙청된 이들과 달리 별 탈 없이 잘먹고 잘산 인물이라 사후에도 계속 평가가 매우 후한 편이다.
지금도 북한에서는 해방 후 작곡된 가요 대부분이 계속 애창되고 있고, 기악곡을 기존 노래로 2차 창작 하도록 의무화된 북한 음악계의 특성상 이런저런 노래들이 관현악이나 실내악, 무용음악 등으로 계속 리메이크되고 있다. 물론 친일 관련 행적은 철저히 입막음 또는 은폐되어 있다.
덕분에 자식들도 그 빽을 입어 소설가, 사회안전부 관료, 피아니스트 등이 되어 잘 살고 있다고 한다. 김순남이 남로당계라는 이유로 숙청된 뒤 그 여파로 결핵을 앓다가 죽었고, 그와 동료였던 이건우도 김순남 만큼은 아니었지만 월북 후에 존재감이 희미했다가 말년에 가서야 개인 작곡집이 나오는 등의 혜택을 입은 것에 비하면 훨씬 나은 삶을 살았던 셈이다.
4 남한의 평가
당연히 별로 안좋다. 물론 친일파로 변절하기 전의 신민요나 유행가는 지금도 종종 리바이벌되고 있지만, 이후 작곡한 친일가요와 해방 후 월북해 지은 노래 대부분은 완벽한 빨갱이 인증으로 간주되어 친일파+빨갱이하이브리드라는 이유로 엄청나게 까인다. 물론 그의 지인이나 친족들 중에는 어떻게든 힘들었다는 초기의 개인사와 원만하고 올곧았다(고 하)는 성격 등을 내세우며 실드를 쳐주려고 하는 이들도 있지만, 원체 업적이 화려한 탓에 별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