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비스마르크와 비오 9세 사이의 다툼에 관한 독일 언론의 풍자화[2] |
1 개요
근대 이후 성립된 세속 국가들이 정교분리를 내세우면서 교회, 특히 가톨릭의 영향력을 배제시키기 위해 일어난 정치적 알력을 일컫는 단어이다. 넓게 보자면 문화 투쟁은 프랑스 혁명 당시 프랑스 제1공화국이 가톨릭을 금지시키고 사제들을 추방한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20세기 초반[3]까지 약 150년 동안 전 유럽에 걸쳐 일어난 현상이지만 일반적으로 '문화 투쟁'이라고 하면 독일 제국 시기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이끄는 프로이센과 교황 비오 9세 사이의 다툼을 의미한다.
2 내용
2.1 배경
보불전쟁 이후 프로이센 왕국은 자신들의 주도 하에 독일 제국을 건설하는데 성공했지만, 독자적인 역사가 길었던 바이에른 왕국과 라인란트를 비롯한 가톨릭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여전히 프로이센 위주의 독일 통일에 대해서 마뜩찮아 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이용해서 가톨릭 중앙당이 라이히스탁에서 세를 불려나갔고, 이들은 국가가 교회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는 교회를 국가의 통제 밑에 놓으려고 했던 비스마르크의 정국 구상과는 정반대되는 상황이었기에 비스마르크와 중앙당 사이의 갈등은 깊어져갔다.[4] 이러한 와중에 비스마르크의 정치적 지지층인 프로이센의 왕실과 융커 사이에서도 가톨릭에게 온건한 접근을 주장하는 세력보다는 '이 참에 가톨릭 세력에게 본 때를 한 번 보여줘야 한다.'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으면서 상황은 두 세력 간의 치킨 게임 양상으로 흘러가기 시작한다.
2.2 전개
먼저 선전포고를 한 측은 가톨릭이었다. 교황 비오 9세가 '진보, 자유주의, 근대 문명과의 타협을 거부할 것'을 신자들에게 지시했던 것. 이에 비스마르크는 1871년 7월 프로이센 왕국 내 문화청의 가톨릭 부서를 철폐시켜버리는 것으로 응답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신부들에 대한 정부의 관리를 강화할 것을 명시한 법안[5]이 라이히스탁에서 통과됐다. 이듬해인 1872년에는 가톨릭 수도회 중에서도 가장 보수적이었던 예수회의 독일 내 활동을 금지시켜버린데 이어, 1873년에는 악명높은 5월법(Mai Gesetz)를 통과시켜버린다. 5월법으로 인해 독일 내에서 신부가 되기 위해서는 독일 정부가 주관하는 역사, 철학, 문학 시험[6]을 통과해야 했으며, 이를 어길 경우 징역형과 고액의 벌금이 부과되어 정부의 교회 통제가 한층 강화됐다. 비스마르크의 강공은 그칠 줄을 몰랐다. 1874년 공교육 기관에서 종교 교육이 오로지 국가에 의해서만 실시될 수 있도록 규정됐고, 세례성사, 견진성사, 혼례성사, 병자성사 등의 관혼상제 행사들을 교회가 주관하는 것까지도 막아버린다. 가톨릭 탄압이 절정에 이르렀던 1875년이 되면 독일 내 모든 수도원을 강제로 폐지[7]시켜버린데 이어 교황령에 거주하던 독일제국 외교관까지도 철수시켜버리면서 독일 제국과 교황령이 단교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해진다.
비스마르크의 이러한 정책에 대해서 독일 내 가톨릭 세력은 격렬히 반발했고, 그 덕에 1870년대 후반이 되면 대다수의 주교들이 추방되어서 독일내 총 교구 중에서 주교가 존속한 교구가 주교가 추방된 교구보다 적을 지경이었다(..)[8] 가톨릭 세력은 모진 탄압에도 교황을 중심으로 굳건히 단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중앙당의 세는 문화 투쟁이 시작되기전보다 오히려 커져갔고, 급기야 공석이 된 주교 자리를 정부가 임의로 임명하려고 시도하자[9] 그 동안 정부와 가톨릭 사이의 다툼을 물건너 불구경 관망하고만 있던 프로테스탄트들까지도 거세게 반발하면서 비스마르크를 당황시키기 시작했다.
2.3 해소
비스마르크는 겉으로는 여전히 배짱을 부렸지만[10], 안으로는 교회와 적당한 선에서 화해를 하기 위한 접점을 찾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했다. 비스마르크가 5월법을 주도한 교육부 장관을 해임시켜버리면서 화해의 제스쳐를 취하자 중앙당 역시 화해의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한편 교황이 강경한 원칙주의자였던 비오 9세에서 외교적이고 타협주의자였던 레오 13세로 바뀐 것도 두 세력 간의 화해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뮌헨과 빈에서 비스마르크와 레오 13세는 두 차례 회담을 가졌고, 독일 제국이 점차적으로 반 가톨릭 법안을 폐지하기 시작하면서 문화 투쟁도 마침내 끝을 보게 된다.- ↑ 이것이 고유명사화 되어 아예 영어나 프랑스어등 다른 유럽어에서도 자국어로 번역하기보다 이 단어를 그대로 차용해서 쓰는 편이다.
- ↑ 번역하자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 베를린과 로마 사이(Zwischen Berlin und Rom). 교황: 방금 수는 언짢지만, 아직 게임은 안끝났네. 아직 나에게는 묘수가 있지. 비스마르크: 그것도 마지막이 될 걸세. 어차피 몇 수 안에, 적어도 독일에서는, 자네는 외통수 상태가 될 테니.
- ↑ 특히나 스페인의 경우 가톨릭 세력의 뿌리가 워낙 깊었어서 1930년대의 스페인 내전 당시에도 가톨릭 신부들이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많은 수의 신부들이 학살당하거나 학살에 개입했다.
- ↑ 이는 단순히 정교분리 뿐만이 아니라, 중앙당이 친노동자 성향을 띄었던 점도 큰 몫을 했다. 가톨릭 교회는 산업혁명 시기에
농노제'전통'을 고수하면서 자본주의를 비판해왔는데 중앙당도 이러한 입장을 따라서 자본가를 비판하는 한편,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을 개선시킬 것을 지속적으로 주장했던 것. - ↑ 이 법에는 사제들이 정치적으로 불온한 언동을 할 경우 처벌을 가할 수 있는 것까지 명시됐다.
- ↑ 정부측에서는 이를 문화시함(Kulturexamen)이라고 명명했다.
- ↑ 유일한 예외가 바로 병원의 역할을 맡던 수도원.
- ↑ 정확히는 총 교구 중에서 삼분의 일 정도 되는 수의 교구만 살아남을 수 있었다.
- ↑ 주교직은 교황의 권한으로 임명되는 것이다. 바티칸 입장에서는 충공깽이 따로없는 짓.
- ↑ 이 때 비스마르크가 라이히스탁에서 했던 연설이 카노사에는 절대 가지 않을 겁니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