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 요리의 지역 계통적 분류 | ||||||||
4대 요리 | 광동 요리 · 산동 요리 · 사천 요리 · 강소 요리 | |||||||
8대 요리 | 안휘 요리 · 복건 요리 · 절강 요리 · 호남 요리 | |||||||
그 외 | 베이징 · 상하이 · 호북 · 운남 · 타이완 · 청진 | |||||||
해외의 중화요리 | 한국식 · 미국식 · 일본식 |
1 개요
미국에서 현지화가 이루어진 중화 요리. 따라서 본토 중국요리와 상당히 다르다.
대략적인 이미지는 이렇다. 미드나 영화를 보면 종이박스에 담겨져 나오는 중국음식들이 바로 미국식 중화요리다.[1]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체인은 2014년 4분기에 국내 체인점이 들어서기도 한 팬더 익스프레스. 그러나 여기서는 종이박스가 아니라 일반 스티로폼 박스를 쓴다. 국내에도 이런 미국식 중화요리를 하는 집이 몇군데 있으며,[2] 한국 중국집을 초월하는 MSG돋는 맛이 나니 주의. MSG를 과잉 섭취해서 일어난다는 '중국요리 증후군'[3]도 이런 미국식 중화요리 때문에 나온 말인 것 같다. 하지만 대륙의 기상과 신대륙의 기상이 만난 탓인지 그런건 아무래도 상관없어! 라는 것이 식당과 손님의 입장.[4]
2 역사
19세기 미국의 철로공사에 투입된 중국인 노동자들에게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미국에 도착한 중국인들은 중국요리를 현지재료를 쓰면서 현지입맛에 맞게 고쳐나갔다.[5] 더불어 미국으로 이민온 중국인들에게는 언어문제와 인종차별 때문에 세탁소와 식당이 주요 일자리였기 때문에 미국에서 중국요리는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3 본토 중국요리와 차이점
일단 주요 재료면에서보면 미국식 중화요리는 중국요리보다 채소가 적고 고기가 더 많다. 사용하는 야채나 고기 종류도 본토에 비하면 훨씬 적은편. 그리고 중국에서 다양한 향신료를 쓰는것과 다르게 조미료를 주로 사용한다. 예전엔 MSG의 사용빈도도 많아서 중국음식 신드롬이 생겨나기도 했다. 아무튼 이 때문에 향이나 맛이 본토의 중국요리보다 덜하다.[6]
주류가 되는 조리법의 경우 미국에서는 튀기고 팬에 굽고 기름에 볶는 방식이 더 많다. 광동식이라기보단 베이징이나 허난식이라 보는 것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상대적으로 삶거나 찌는 방식의 조리는 찾아보기 드물다.[7]
4 중화음식 신드롬
대략 이야기 하자면 아무런 문제없이 건강한 남성이 미국식 중화요리를 좋아해 그것만 먹고 지내는 사람이 있는데 어느날 이사람이 이유도 없이 의식을 잃어버리는 것, 그리고 잠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신을 차린다, 대량의 MSG을 지속적으로 섭취한다던가 할경우 생기는 일이라고 하는데 유독 통계상으론 미국식 중화요리에서 통계가 높아 중화음식 신드롬 이라고 이름이 붙었고, 맥도날드등의 햄버거보다도 높은 수치로 알려져서 더더욱 이름이 굳어있다. 훗날 MSG는 이 증상과 아무 관련이 없다는 것이 드러났지만 비판하는 쪽에서는 그딴거 모르쇠로 일관한다. 현재 MSG는 하루 권장 섭취량도 딱히 없으며 그나마 예전에 나온 권장섭취량만큼 소금을 먹으면 죽는다.
5 주요 메뉴들
- 찹 수이
- 제너럴 쏘 치킨
- 차오멘
- 세서미 치킨
- 철판요리 - 보통 고추기름과 칵테일 새우, 계란, 돼지고기 등을 이용해 볶아준다.
- 크랩 랭군
- 페퍼 스테이크 - 고추잡채와 거의 같은데 고기가 크고 많이 들어간다.
- 쿵파오 치킨
- 오렌지 치킨
- 포춘 쿠키[8]
- 몽골리안 비프 - 페퍼 스테이크와 비슷하지만 양파, 버섯 그리고 소고기를 히바치 소스란 것으로 볶아내 만든 덮밥 비슷한 요리.
- ↑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에도 종이박스를 쓰는 업체가 몇번 생겼으나 국물음식을 선호하는 관계로 대부분 망해없어졌다.
- ↑ 대구에 '상하이그릴', 서울에는 '기린아'나 '홀리차우'. 오산시와 용산구 미군기지에는 '만주옥'이 입점해 있다.
- ↑ 다만 이 중국요리 증후군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나중에 밝혀졌다.
- ↑ 물론 신경쓰는 사람도 많다. 문제는 안쓴다고 해놓고 야금야금 쓰는 식당이 문제.
원조 대륙의 기상 어디 안간다. - ↑ 그 때문에 한국의 중국집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중국요리도 중국에는 전혀 없는 메뉴가 있다. 사실 전혀 없다기 보다는 심하게 현지화가 됐기 때문에 중국인들이 알아먹질 못하는 것. 한국의 중화요리 또한 현지화가 심하게 된 편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미국 또한 마찬가지다.
- ↑ 이건 한국식 중화요리도 마찬가지다. 자극적인 맛을 살리는 것이 널리 퍼지기 좋기 때문. 사실 수천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요리인 만큼 중국요리의 한 갈래로서 받아들이는 것이 나은 접근 방식일 수 있다.
- ↑ 물론 있긴 있다. 문제는 이러한 방식으로 조리해낸 요리는 상대적으로 안팔린다라는 것.
- ↑ 이쪽은 엄밀히 말해서 정규 메뉴는 아니지만 미국식 중화요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거라 여기에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