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크어

바스크어 : Euskara
에스파냐어 : Idioma vasco, Euskara[1]
영어 : Basque language

1 개요

397px-Basque_Country_Location_Map.svg.png
바스크어 사용지역. 스페인프랑스에 걸쳐있다.

바스크인이 쓰는 언어로 화자수는 2006년 기준 70만 명이 조금 안 된다. 바스크 지방 인구의 4분의 1이 이 언어를 쓴다.

2 언어학적 기원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이 유럽에 들어오기 이전에 유럽에서 쓰이던 언어의 후손으로 생각된다. 바스크어로 연장, 도구들을 가리키는 말이 '돌'을 의미하는 단어인 (h)aitz와 연관이 있다. 이를테면 도끼는(h)aizkora, 괭이, 창, 부젓가락은 모두 (h)aitzur 칼은 aizto라고 하는데, 모두 어근이 '돌'과 연관있는 점을 보아 돌로 도구를 만들던 석기시대부터 비롯된 파생어휘들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는것으로 추측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매우 오래된 언어일것이라는 가설을 세워볼 수 있다.

계통을 알 수 없는 고립어로 분류된다. 과거 프랑스 남서부 이퀴타니아 지방에서 사용되던 언어인 이퀴타니아어가 같은 계통의 언어였으나 사멸했다. 어휘적으로 고대 이베리아어와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베리아어에 대한 연구결과 역시 아직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섣불리 결단내리기는 힘들다. 그 외에도 캅카스조지아어체첸어 등과 관련있다는 설도 있으나 어디까지나 가설일 뿐이다.
대항해시대 바스크인 출신 선교사가 남미 원주민들과 큰 어려움 없이 소통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이와 관련해 자세한 사항이 밝혀진 바도 없다.

'그것뿐이다'라는 표현이 Kori bakarrik da라고 하는데, 일본어의 こればかりだ(고레바카리다 : 이것뿐이다)와 발음이 비슷하여, 일본어와의 연관성이 떡밥으로 제기되기도 하는데 당연히 말도 안되는 이야기고 연관된 건 Kori bakarrik da 하나뿐이다. 어쩌다보니 비슷한걸 발견한 것 뿐. 진짜로 바스크어와 일본어의 연관점은 고레바카리다.

3 미치광이 난이도

솔로몬이라고 쓰고 네부카드네자르라고 읽는 언어[2]

난이도가 매우 괴악하게 높기로 악명높다.서양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첫번째 링크 마지막 9번째에 한국어가 있다! 분명 우리는 한국어가 배우기 쉽단 말을 듣고 자랐을 것이다 [3]

단, 이 바스크의 전설적인 난이도는 바스크가 인도유럽어족의 상식을 따르지 않고, 서양인들이 언어에 대해 갖고 있는 일반적인 개념들을 따라 주지 않기 때문이다. 주격-목적격 체계인 기타 유럽어와 달리 능격-절대격 체계를 따르며, 핀란드어헝가리어와 유사한 교착어 체계로 격의 수가 많다는 점이 한몫한다. 또 비록 다수의 외래어를 빌려 쓰고 있다고는 하나 바스크 고유어와 기타 유럽어들은 사이에는 어휘의 유사성이 없다는 점도 바스크의 난이도에 악명을 추가하는 요인.

이 언어의 피진[4]으로 바스크족 선원들이 쓰던 바스크-아이슬란드어(...)가 있었다. 유럽 최강의 난어가 모였다!

4 발음

24가지 자음과 5가지 모음(일부 방언에는 6개)이 있다. 문자체계는 스페인어와 비슷하나 c, q 대신 k가 쓰이고, s-z, ts-tz처럼 구분하기 곤란한 발음들이 있다. tx는 영어 ch와 비슷한 발음이고, ts는 일본어 つ의 ㅊ 발음과 비슷한 발음이며, tz는 ts와 비슷하지만 영어 th를 발음할 때처럼(다만 th와는 다른 발음이다.) 혀가 조금 앞으로 나간다.

5 문법

헬게이트.

양화사와 한정사라는 품사가 있다. 가령 예를 들자면 'exte'(집)에 이런 품사들을 붙여가지고 extea(집), exteak(집들), exte hau(이 집) 이런 식으로 뜻이 변한다. 그 외에 이 12개나 있다(…) 그 어렵다는 라틴어도 명사 격은 꼴랑 6개밖에 없다.

동사도 만만치 않다. 자동사냐 타동사냐에 따라, 인칭에 따라, 시제에 따라 변하며 1, 2인칭일 때와 3인칭일 때에도 동사가 다르게 변화하며 이외에도 매우 변화무쌍하게 동사가 변화한다.

이 언어의 어순은 다른 유럽언어들의 어순과 다르며 오히려 한국어 어순과 비슷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5]

(영어) 위키피디아의 바스크어 문법도 참조하자.

6 기타

6.1 바스크어 진흥 캠페인 Poziktibity

바스크 정부에서 최근 바스크어 진흥 캠페은 Poziktivity를 개최했으며, 아틀레틱 클럽의 아리츠 아두리스와 레알 소시에다드의 아기레체 두 선수를 캠페인의 홍보대사로 뽑았다. 바스크 정부 문화부 장관과 바스크 지방 방송국[6]의 국장도 참석한 자리이다. 출처는 여기
Poziktibity 는 바스크어 Pozik(Positivity)와 Activity의 합성어라고 한다. 바스크인들의 자국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최근 바스크 인구의 56%가 사용할 수 있는데, 30년전에는 불과 35%에 불과했다고 한다. [7]
이 캠페인 홍보영상은 두 선수가 서로 바스크어로 대화할 수 있는 것을 알고 서로 바스크어로만 대화하자는 훈훈(?)한 내용으로 끝나는 것이다.

2014년도부터 도메인을 바스크식으로 표기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도메인은 .eus 이다. 이미 카탈루냐어는 .cat 도메인 [8]으로 움직임이 있고 [9] 이에 대한 비슷한 형식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곳이 EiTB [10]

6.2 한국에서의 바스크어

한국에서도 바스크어를 쓰는 사람을 찾는다고 한다!
아마 외국어부분에서 클릭의 실수로 추정.

  1. 에스파냐 내에선 바스크어 표기에 대한 존중의 취지로 후자가 더욱 대세인 편이다.
  2. 스페인 남부 지방인 안달루시아에서 바스크어를 일컫는 속담이라고 한다.
  3. 한국어는 글을 읽고 쓰는건 쉽지만 말의 문법은 어렵다. 저기서 서술하는것도 한국어 문법의 난이도이다.
  4. 두 언어가 접촉하면서 섞여서 생겨나는 언어의 한 형태. 자세한 내용은 크레올어 항목 참고.
  5. 대부분의 유럽언어들은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주로 쓴다. 이렇게 기본 어순이 다른 경우, 기본 어순이 같은 언어를 배울 때에 비해서 배우기가 어려워지는 측면이 있다. 물론 바스크어는 그것과 상관없이 그냥 존나 어렵다(...)
  6. EITB (Euskal Irrati Telebista)
  7. 기사에 따르면 아틀레틱 클럽에 새로 합류한 팀 닥터는 에이전트에게 Egun on(good morning), Gabon(good night)와 Arratsalde on(good evening)같은 인사말을 노트에 정리해달라고 한다. 외국인도 동참하는 바스크어 지키기!
  8. 대표적인 곳이 http://www.tv3.cat
  9. 심지어, 차량 번호판도 스페인은 E로 하는데 비해, CAT로 달고 다니는 사람도 바르셀로나에서는 쉽게 볼 수 있다
  10. http://www.eitb.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