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슬란드어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동스칸디나비아어군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노르웨이어 · 아이슬란드어 · 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북해 게르만어군앵글어군스코트어 · 영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코니아어군네덜란드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중부 독일어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상부 독일어오스트로바이에른어(오스트리아·바이에른 독일어) · 알레만어(스위스 독일어)
이디시어 · 롬바르디아어
동게르만어군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Ingvaeonic languages(북해 게르만어군), Istvaeonic languages(저지 프랑코니아어군), Irminonic languages(고지 독일어)는 타키투스의 저서 게르마니아에 소개된 게르만족 부족 명칭인 Ingaevones, Istvaeones, Irminones 로 부터 각각 유래되었다.
Namúwiki, þekkingartré sem vaxið af ykkur.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Íslenska
아이슬란드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아이슬란드
원어민약 3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
아이슬란드어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IS
주요 사용 지역

아이슬란드어Íslenska
스웨덴어Isländska
핀란드어Islannin kieli
덴마크어Islandsk
영어Icelandic language
프랑스어Islandais
독일어Isländische Sprache
러시아어Исландский язык
중국어冰岛语/冰島語
일본어アイスランド語
라틴어Lingua Islandica
에스페란토Islanda lingvo

인도유럽어족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아이슬란드공용어.

1 개요

아이슬란드어는 순혈인 것으로 유명하다. 노르웨이 바이킹이 들어온 후, 아이슬란드어는 외부 언어와 접촉없이 옛 노르드어의 형태를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1]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들(스웨덴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과는 의사소통이 전혀 안되며, 현대 아이슬란드인들은 북유럽 전설을 담은 고전인 사가를 그대로 읽을 수 있다.

전기(한국어)
Rafmagn(아이슬란드어)
Elektricitet(덴마크어)
Elektricitet(스웨덴어)
Elektrisitet(노르웨이어)
Elektrizität(독일어)

외래어는 철저히 고유어단어로 바꿔서 수용한다. 그래서 아이슬란드어에서는 C는 알파벳 취급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기(電氣)라는 뜻의 단어를 다른 스칸디나비아어에서는 우리 한자어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ήλεκτρον에서 온 영어 Electricity를 철자만 자국식으로 바꾼 것으로 쓰지만, 아이슬란드는 아예 '호박의 힘'이라고 뜻풀이한 Rafmagn를 쓰고 있으며, 대부분의 전문용어도 이런 식으로 철저히 자국식으로 만들기 때문에중국어?, 아이슬란드어는 배우기 더럽게 힘들다는 평이며# 실제로 배우기 힘든 언어하면 아이슬란드어도 자주 거론된다. 반면 언어순혈주의자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이기도 하다. 사실 이런게 가능한 이유에는 새로운 단어 형성에 있어서 고유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 한국어와는 달리 독일어보다도 더 활발하게 고유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또 복잡한 어미변화와 이에 따른 불규칙 활용이 많은 언어 구조의 특성상 외래어를 그대로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그걸 일상생활에서 활용하여 사용하기 애매하니 차라리 자국식 단어로 순화하는게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2] 그리고 지리적 특성상 근대에까지 외래 문물을 접하기 어려웠다는 점도 외래어의 직접 차용이 드물었던 이유 중의 하나다.

다만 원소 명칭은 다른 대륙 게르만어파 언어들이 그렇듯 독일어와 거의 비슷하다. 이를테면 포타슘은 Kalín이라 쓴다.

사용 인구는 적지만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방언이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고, 현대의 대중매체와 교육의 영향으로 표준어화가 상당부분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의 발음 및 어휘 차이는 외국인이 들어도 알 수 있을 정도로 현저하다.[3] 이 글을 보면, 아퀴레이리식 액센트의 경우 레이캬비크와 달리 유기음이 단어 중간에 끼어도 무기음이 되지 않는듯 하다.

페로 제도페로어와 비슷하다고 하며 글로 쓰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능하다고 하나 말은 통하지 않는다.

이 언어의 피진[4]으로 바스크족 선원들이 쓰던 바스크-아이슬란드어가 있었다. 유럽 최강의 난어가 모였다! 다행(?)히도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다.

요일 표기가 일관적이지 않다. sunnudagur(일요일)-mánudagur(월요일)-þriðjudagur(셋째날)-miðvikudagur(가운뎃날)[5]-fimmtudagur(다섯째날)-föstudagur(금식일)[6]-laugardagur(토요일) 이런식으로 요일을 부른다. 유럽권에서는 사실상 한 주의 첫날을 일요일로 인식하는 유일한 동네인 셈이다.

2 알파벳

아이슬란드어는 총 32개의 알파벳을 사용한다.

철자이름읽기빈도
Aaa/a/10.11%
Ááá/au̯/1.8%
Bb/pjɛ/1.04%
Dd/tjɛ/1.58%
Ðð/ɛð̠/4.39%
Eee/ɛ/6.42%
Ééé/jɛ/0.65%
Ffeff/ɛfː/3.01%
Gg/cɛ/4.24%
Hh/hau̯/1.87%
Iii/ɪ/7.58%
Ííí/i/1.57%
Jjjoð/jɔð̠/1.14%
Kk/kʰau̯/3.31%
Llell/ɛtl̥/4.53%
Mmemm/ɛmː/4.04%
Nnenn/ɛnː/7.71%
Ooo/ɔ/2.17%
Óóó/ou̯/0.99%
Pp/pʰjɛ/0.79%
Rrerr/ɛr/8.58%
Ssess/ɛs/5.63%
Tt/tʰjɛ/4.95%
Uuu/ʏ/4.56%
Úúú/u/0.61%
Vvvaff/vafː/2.44%
Xxex/ɛxs/0.05%
Yyypsilon y/ʏfsɪlɔn ɪ/0.9%
Ýýypsilon ý/ʏfsɪlɔn i/0.23%
Þþþorn/θ̼ɔrtn̥/1.45%
Æææ/ai̯/0.87%
Ööö/œ/0.78%

아래는 없어진 알파벳이다.[7]

철자이름읽기
Zzseta/sɛta/

3 발음법

양순음순치음치음치조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p pʰt̪ t̪ʰc cʰk kʰ
치찰음s
마찰음f vθ ðçx ɣh
비음m̥ mn̥ nɲ̊ ɲŋ̊ ŋ
전동음r̥ r
접근음j
설측접근음l̥ l
전설 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u
근고모음ɪ ʏ
중저모음ɛœɔ
저모음a
  • 30여 개의 자음과 8개의 모음이 있지만 표기법이 철자와 미묘하게 빗나가 있다.
  • 덴마크어와 함께 파열음이 유무기 대립을 보이는 몇 안되는 유럽 언어다.
  • 무성 비음과 무성 전동음, 무성 설측 접근음이 음성으로 실현된다. n̥이 음소인지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있으나, 만일 음소인 경우 미얀마어와 더불어 무성 비음이 음소로서 기능하는 전세계 몇 안되는 언어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한국어의 ㄷ와 ㅌ에 각각 해당하는 / t̪/와 /t̪ʰ/는 사실 조음위치가 한국어 보다 다소 앞에 있어 치조음이 아닌 치음으로 분류된다.
  • 모음은 장단이 존재하며 보통 강세가 있거나 pr, tr, kr, sr 등의 앞에서 모음이 길게 발음된다.

3.1 모음

ang, nk 앞에서는 /au/로 발음하고, gi, gj 앞에서는 /ai/라고 발음하지만 그 외에는 /a/라고 발음한다.
á/au/로 발음한다.
æ/ai/라고 발음한다. 절대로 ㅐ가 아니다!
au/øɪ/로 발음된다.
e일반적으로 한국어 ㅐ 발음인 ɛ로 발음되나[8] ng, nk, gi, gj 앞에서는 /ei/로 발음된다.
ei, ey/ei/라고 발음된다.
é/jɛ/로 발음된다.
i, y보통 /ɪ/라고 발음되지만 ng, nk, gi, gj 앞에서는 /i/라고 발음된다. 두 발음 모두 한국어로는 'ㅣ'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는 약간 차이가 있다.
í, ý/i/라고 발음된다.
o/ɔ/라고 발음된다. 영어 all의 a 발음.
ó/ou/라고 발음된다. 영어 hello의 o 발음.
ö일반적으로 /œ/로 발음되나 ng, nk, gi, gj 앞에서는 /øɪ/로 발음된다. 두 발음 모두 한국어로는 'ㅚ'라고 표기되지만 실제로는 약간 차이가 있다.
u일반적으로 /ʏ/라고 발음되지만 gi, gj 앞에서는 /ʏi:/라고 발음되며, 단어가 -unum으로 끝날 땐 이 unum을 /ɔnʏm/처럼 읽는다. ng, nk 앞에서는 /u/라고 발음된다.
ú/u/라고 발음되며 gi, gj 앞에서는 길게 발음한다.

3.2 자음

b/p/로 발음한다. 한국어 '병'의 'ㅂ'.
d/t/로 발음한다. 한국어 '담'의 'ㄷ'. l, n 과 g, n, l, k, s 사이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ð영어 the의 th 발음인 /ð/로 발음한다. 어말이나 무성음 앞에서는 우리가 흔히 아는 번데기 발음 /θ/로 발음된다. r과 n 사이 혹은 g와 s 사이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f보통 /f/로 발음되나 'gaflar'처럼 l, n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땐 /p/로 발음되고, 모음 뒤에 올 경우엔 /v/로 발음된다. ó와 모음 사이에 올 때는 묵음이 된다.
fnd/mt/로 발음한다.
fnt/m̥t/[9]로 발음한다.
g보통 한국어 'ㄱ'인 /k/로 발음되나[10] e, i, í, y, ý, æ, j 앞에서는 경구개음 /c/[11]로 발음되고, 'saga'처럼 모음의 뒤에 있을 땐 /ɣ/[12]로 발음되며, lagi나 segja처럼 모음과 i, j의 사이에 있을 땐 /j/[13] 발음이 나며 모음과 s, t 사이엔 /x/[14]로 발음되고, á, ó, ú,와 a, u 사이에 끼어 있을 때에는 묵음이 된다[15]. 다만 최근에는 경구개화가 사라지는 추세다.
gj (어두)/c/로 발음한다.
h보통 /h/ 발음이 나며 j 앞에선 /ç/ 발음이 난다는 것까진 한국어와 같으나 v 앞에서는 /kʰ/ 발음이 된다. 따라서 hver는 '흐베르'가 아니라 '크베르'가 맞는 표기.
j영어 y 발음인 /j/ 발음. 일부 자음의 소리를 바꾼다.
k보통 한국어 ㅋ 발음인 /kʰ/로 발음되며 e, i, í, y, ý, æ, j 앞에선 /cʰ/로 발음되고, 모음의 뒤나 s의 뒤에선 발음을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g처럼 /k/나 /c/로 발음된다. 다만 k, t, n 앞에서는 /hk/ 발음이 나고[16] s, t 앞에서는 /x/ 발음이 난다.
l/l/ 발음.
ll/tl/ 발음. 다만 외래어의 경우 그냥 l과 비슷하게 읽는다.
m/m/ 발음.
n/n/ 발음.
nn강세가 들어가는 모음이나 이중 모음 뒤에서는 (사실상 대부분의 경우) /tn/ 발음, 이외에는 (보통은 관사 -inn) /n/ 발음이 난다. 예를 들어 steinn은 '스테이튼'으로 읽지만, 관사가 붙어 steinninn이 되면 '스테이트닌'으로 읽는다.
ng/ŋk/ 발음이지만 l, s, t 앞에서는 그냥 /ŋ/처럼 읽고, i와 j 앞에서는 /ɲc/로 구개음화된다.
nkng와 동일하지만 ng와 달리 k 발음이 없어지지 않는다.
p보통 /pʰ/라 읽으나 모음과 s 뒤에선 /p/라 읽는다. l, n, p 앞에선 /hp/라 읽고 k, s, t 앞에선 /f/처럼 읽는다.
r/r/ 발음.
rl/rtl/ 발음. 따라서 hákarl은 하우카르틀이 된다.
rn/rtn/ 발음.
s/s/ 발음.
sl/stl/ 발음. 그냥 /sl/이라 읽어도 된다.
sn/stn/ 발음. 그냥 /sn/이라 읽어도 된다.
t보통 /tʰ/ 발음이나 모음이나 s 뒤에선 /t/로 읽고 l, n, t 앞에서는 /ht/ 발음이 된다.
v/v/라고 발음된다.
x영어 x와 비슷하게 발음되며 /xs/처럼 발음될 때도 있다.
z/s/ 발음.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þ그 유명한 번데기 발음(/θ/)이 난다. 자세한 건 위의 'ð'를 보자.

4 문법

아이슬란드어의 문법은 독일어와 비슷한 구석이 많다. 명사 격의 개수와, 강변화와 약변화 명사가 있는 것까지도 비슷하다. 명사는 격과 수와 성에 따라 굴절하고 형용사는 격, 수 성과 강변화(불규칙)·약변화(규칙) 여부에 따라 굴절한다.

관사는 정관사만이 존재한다. 단독으로 나올 때도 있지만 보통은 다른 북게르만어군 언어와 같이 명사의 굴절로 나타난다. 동사시제, 서법, 화자, 수와 태[17]에 따라 변화한다. 태에는 능동, 수동, 중동(medial)이 있다. 시제는 기본적으로 현재와 과거 딱 두 개만이 있지만, 기본 시제가 적은 만큼 온갖 보조 구문들이 딸려온다. 등가교환

여기에서 소개하는 문법은 그야말로 수박 겉핥기이다. 자세한 건 직접 찾아보도록 하자. 절대로 모르거나 귀찮아서 설명 안 한다는 게 아니다

어쩐지 변명 같아 보이는 것 기분 탓이다. 애초에 나무위키는 단편적인 지식을 공유하는 곳이 아닌가. 그나마 (일정 주기로 개정되는)백과사전보다 최신 정보라는 점과 의외의 능덕들이 찾아온다는 게 장점

4.1 명사

아이슬란드어에는 주격, 대격(직접 목적격), 여격(간접 목적격), 속격의 네 이 존재한다. 은 남성, 여성, 중성으로 나뉘고 수는 단수와 복수로 나뉜다.[18] 굴절의 종류는 크게 강변화와 약변화로 나뉘고, 이 안에서도 여럿으로 나뉜다. 이들에 따라 명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는 아래 표를 보자.

남성여성중성
단수주격hatturborgglasgler
대격hattborgglasgler
여격hattiborgglasigleri
속격hattsborgarglassglers
복수주격hattarborgirglösgler
대격hattaborgirglösgler
여격höttumborgumglösumglerjum
속격hattaborgaglasaglerja

명사의 성은 낱말의 끝을 보면 어느 정도 때려 맞힐 수 있다.

  • 남성: 주로 -ur, -i, -ll, -nn으로 끝난다.
  • 여성: 주로 -a, -ing, -un으로 끝난다.
  • 중성: 위 두 경우가 아닐 때.

4.2 관사

아이슬란드어에는 부정관사가 없다! 명사의 기본형이 그대로 부정형이다. 정관사는 명사의 굴절로 나타난다. 아래는 세 성에 따른 관사를 정리한 표다. 물론 여느 언어와 마찬가지로 예외가 있으니 유의할 것.

부정형(indefinite)한정형(definite)
남성여성중성남성여성중성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ur-ar--ir---urinn-arnir-in-irnar-ið-in
-i-inn
-ll-a-ur-llinn-an-urnar
-nn-nninn

예시:

  • 남성: hvalur ('a' 고래) → hvalurinn ('the' 고래)
  • 여성: klukka ('a' 시계) → klukkan ('the' 시계)
  • 중성: heimilisfang ('a' 주소) → heimilisfang ('the' 주소)

영어의 'the'와 같이 독립적으로 쓰이는 관사에는 'hinn'이 있다. 다만 시적 허용과 같이 주로 시 같은 데 혹은 어딘가에 포인트를 줄 때 쓰이는 편.

4.3 대명사

4.3.1 인칭대명사

일인칭이인칭삼인칭
남성여성중성
단수주격égþúhannhúnþað
대격migþighannhanaþað
여격mérþérhonumhenniþví
속격mínþínhanshennarþess
복수주격viðþiðþeirþærþau
대격okkurykkurþáþærþau
여격okkurykkurþeim
속격okkarykkarþeirra

아이슬란드어는 영어로 치면 'they'에 해당하는 낱말이 성에 따라 따로 있다. 독일어와는 달리 혼성 집단[19]일 경우에는 중성이 쓰인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대명사는 동사 앞에 온다.

Ég heiti Anna: 내 이름은 안나다.[20]

굴절하는 언어답게 어순을 바꾸어도 말이 된다.

Anna heiti ég: 안나가 내 이름이다. (어순 그대로 쓰자면 “안나다, 내 이름은.”)

4.3.2 재귀대명사

아이슬란드어에는 독일어의 'sich'와 같은 재귀대명사가 존재한다. 재귀대명사의 주격은 없다.

대격sig
여격sér
속격sín

재귀대명사는 다행히도 성과 수를 구분하지 않는다.

4.3.3 소유대명사

일인칭이인칭삼인칭
단수주격minnmínmittþinnþínþittsinnsínsitt
대격minnmínamittþinnþínaþittsinnsínasitt
여격mínumminnimínuþínumþinniþínusínumsinnisínu
속격mínsminnarmínsþínsþinnarþínssínssinnarsíns
복수주격mínirmínarmínþínirþínarþínsínirsínarsín
대격mínamínarmínþínaþínarþínsínasínarsín
여격mínumþínumsínum
속격minnaþinnasinna

4.3.4 지시대명사

thisthatthe other
단수주격þessiþessiþettaþaðhinnhinhitt
대격þennanþessaþettaþannþáþaðhinnhinahitt
여격þessumþessariþessuþeimþeirriþvíhinumhinnihinu
속격þessaþessararþessaþessþeirrarþesshinshinnarhins
복수주격þessirþessarþessiþeirþærþauhinirhinarhin
대격þessaþessarþessiþáþærþauhinahinarhin
여격þessumþeimhinum
속격þessaraþeirrahinna

4.3.5 부정대명사

열몇 개가 있으나 대충 변화 형태를 보기 위해 'enginn'(영어의 'nobody')을 예로 들자.

enginn남성여성중성
단수주격enginnenginekkert
대격enganengaekkert
여격engumengriengu
속격einskisengrareinskis
복수주격engirengarengin
대격engaengarengin
여격engum
속격engra

4.4 수사

1에서 4까지의 수는 격과 성에 따라 굴절한다. 물론 한국어에서처럼 수사 자체가 주어로 쓰이는 일은 없다

1남성여성중성2남성여성중성
주격einneineitt주격tveirtværtvö
대격einneinaeitt대격tvotværtvö
여격einumeinnieinu여격tveimur
속격einseinnareins속격tveggja
3남성여성중성4남성여성중성
주격þrírþrjárþrjú주격fjórirfjórarfjögur
대격þrjáþrjárþrjú대격fjórafjórarfjögur
여격þremur여격fjórum
속격þriggja속격fjögurra

나머지는 굴절하지 않는다. 다만 명사로 쓰일 때는 굴절한다.

5fimm20tuttugu
6sex[21]21tuttugu og einn 20 + 1
7sjö30þrjátíu
8átta40fjörutíu
9níu50fimmtíu
10tíu60sextíu
11ellefu70sjötíu
12tólf80áttatíu
13þrettán90níutíu
14fjórtán100(eitt) hundrað
15fimmtán1,000(eitt) þúsund
16sextán1,000,000(ein) milljón[22]
17sautján1,000,000,000(einn) milljarður[23]
18átján1,000,000,000,000(ein) billjón[24]
19nítján0núll[25]

hundrað, þúsund, núll은 중성, milljón 시리즈(milljón, billjón, trilljón, …)는 여성, milljarður는 남성이다.

보다시피 영어를 제외한 다른 유럽 쪽 언어와 같이 billion = million × million이다. trillion은 million × billion.

4.5 형용사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를 따라가야 한다. 거기에다 강변화·약변화도 맞춰야 한다. 하여간 까다롭다 'rauður'(붉은)로 형용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자.

강변화남성여성중성남성여성중성
단수주격rauðurrauðrautt복수rauðirrauðarrauð
대격rauðanrauðarauttrauðarauðarrauð
여격rauðumrauðrirauðurauðumrauðumrauðum
속격rauðsrauðrarrauðsrauðrarauðrarauðra
약변화남성여성중성모든 성
단수주격rauðirauðarauða복수rauðu
대·여·속격rauðarauðu

비교급과 최상급도 다뤄보자. 비교급은 명사의 격과 강·약변화를 따지지 않는다. 하지만 최상급은 또 따진다(...).

비교급남·여성중성모든 성
단수모든 격rauðarirauðara복수rauðari

최상급은 어근(여기서는 rauð-) 뒤에 ast/ust가 낑겨있는 형태다.

강변화남성여성중성남성여성중성
단수주격rauðasturrauðustrauðast복수rauðastirrauðastarrauðust
대격rauðastanrauðastarauðastrauðastarauðastarrauðust
여격rauðustumrauðastrirauðusturauðustumrauðustumrauðustum
속격rauðastsrauðastrarrauðastsrauðastrarauðastrarauðastra
약변화남성여성중성모든 성
단수주격rauðastirauðastarauðasta복수rauðustu
대·여·속격rauðastarauðustu

4.6 동사

동사의 화법에는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가정법의 네 가지가 있다. 다른 굴절어처럼 동사는 뒤따라오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를 결정한다.

예시:

  • 'safna(모으다)' 뒤에는 여격이 온다.
아) Ég er að safna peningum til þess að geta keypt jólagjöf handa mömmu.
영) I am saving money to be able to buy a Christmas gift for Mum.
한) 나는 어머니의 성탄절 선물을 살 돈을 모으고 있다. (peningum은 peningur의 여격 복수형이다)
  • 'sakna(그리워하다)' 뒤에는 속격이 온다.
아) Ég sakna þín
영) I miss you/thee

동사의 원형 대부분은 a로 끝난다. 예외로는 slá, flá와 같이 á로 끝나는 것이 있고, 조동사 munu와 skulu, þvo, ske가 있다. 이 조동사 두 개가 중요한데, 앞서 썼듯 기본 시제가 빈약하기 때문에 이들을 이곳저곳에 써먹는다. 약변화 동사에는 크게 삼인칭 단수 현재형으로 변화하였을때의 어미에서 딴 -ar, -ir, -ur의 세 모임이 있다. 강변화 동사와 불규칙 동사(조동사, ri- 동사, 'valda')는 이와는 관계가 없다. 그냥 아이슬란드어 사전을 보자 예시로는 tala(말하다), vera, 약변화 동사 몇 개를 살펴보자.

단수복수
인칭ég
I
þú
you
hann·hún·það
he·she·it
við
we
þið
you
þeir·þær·þau
they
talatalatalartalartölumtaltala

vera(영어의 'to be'. 강변화 동사이면서 불규칙 동사이다)의 동사변화와 비교해보자.

veraer
am
ert
are
er
is
erum
are
eruð
are
eru
are

-i 동사 Læra(배우다)와도 비교해보자.

læralærilærirlærirlærumlærlæra

-ur 동사 velja(선택하다)와 비교해보자.

veljavelvelurvelurveljumveljvelja

굵은 글씨에서 보듯 단수형은 다 다르지만 복수형은 같다! 동사의 변화형은 원형만 봐서는 맞힐 수 없으니 어느 동사가 어느 모임에 속하는지 외우는 수밖에 없다. 자세한 건 아이슬란드어 사전을 찾아보자. 여기에다 길게 써 봐야 의미도 없고…

4.6.1 시제

엄밀히 말해 아이슬란드어의 시제는 단순 현재단순 과거 딱 두 가지뿐이다. 다른 시제는 조동사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현재진행형은 다음과 같이 만든다.

vera + að + 동사 원형
아) Ég er að læra
영) I am learning

다만 이러한 구성은 추상적인 것을 나타내는 데에만 쓰이고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낼 때에는 쓰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 앉는다'를 쓸 때에는 'ég sit'과 같이 단순 현재형을 쓴다.

이렇게 나타낼 수 있는 시제는 다음과 같다.

  • 조건
  • 미래
  • 과거
    • 과거 진행
    • 과거 완료
    • 과거 가정
  • 현재
    • 현재 진행
    • 현재 완료
    • 현재 가정

5 들어보기

아이슬란드어의 기본적인 인삿말

아이슬란드 밴드 Sugarcubes의 birthday 아이슬란드어판

아이슬란드의 록밴드 Trúbrot의 Rain.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아이슬란드어 더빙판〈Ástin er opnar dyr〉. 도저히 유럽어 계열로 들리지 않는다.

2013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아이슬란드 출전곡 〈Ég Á Líf〉.

6 외부 링크

7 참고 자료

  1. 단어나 문법은 옛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지만 말소리는 다른 언어들처럼 원래 노르드어에서 상당히 많이 변했다. 아이슬란드어 철자법이 상당히 꼬여 있는 이유가 바로 노르드어 시기 이후에 일어난 발음의 변화 때문이다.
  2.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법 그대로 받아들여서 조사를 붙이거나 '하다'를 붙여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외래어를 받아들이기 쉽다.
  3. 참고로 방언 발달은 인구의 규모보다는 지형적 고립성에 더 기인한다. 파푸아 뉴기니나 아마존 지역이 대표적인 경우
  4. 두 언어가 접촉하면서 섞여서 생겨나는 언어의 한 형태. 자세한 내용은 크레올어 항목 참고.
  5. 독일어 Mittwoch와 동족어
  6. 종교개혁 이전 금요일에는 고기와 우유 등을 금했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7. 1973년 정서법을 개정하면서 없앴다.
  8. ɛ는 'ㅐ'와 같은 발음이나 어쩐지 표기할 때는 태국어베트남어 정도를 제외하면 보통 'ㅔ'라고 쓴다. 가령 air는 애어가 더 원어에 가까우나 에어라고 표기된다.
  9. /mt/의 무성음 버전
  10. 정확히는 'ㄲ'처럼 소리내야 한다. '가스'를 어떻게 소리내는지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 일
  11. 한국어에서는 동남 방언이나 충청도 방언등에서 볼 수 있는 발음. 레이캬비크도 과거에는 거의 레이비크 처럼 소리났었다. 다만 젊은 세대들은 그냥 /kj/처럼 발음한다.
  12. 한국어엔 없는 발음이다. 연구개음 참조.
  13. 영어의 y.
  14. 한국어 '흐름'의 'ㅎ'. 러시아어의 kh도 여기에 들어간다.
  15. 예를 들어 fljúga는 '플류아' 비슷하게 읽는다.
  16. 거의 'ㅎㄲ'정도로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17. 수동태나 능동태 따위
  18. 고 노르드어 시절에는 단수와 복수에 양수(兩數)까지도 있었다.
  19. 사람, 사물 전부 포함. 문법적 성을 의미하는 것임.
  20. 'heiti'는 'heita'의 일인칭 단수형이다. 사족으로 'heiti'라는 명사는 이름을 뜻한다.
  21. /sɛks/로 읽어도 되고 /sɛxs/로 읽어도 된다
  22. /ˈmɪl.jouːn/으로 읽는다. 이들 입장에서는 외래어
  23. /ˈmɪl.jar.ðʏr/로 읽는다.
  24. /ˈpɪl.jouːn/으로 읽는다.
  25. /nulː/로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