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의 솔리테어 플레이를 표현하는 은어.
'벽 보고 하는 듀얼'의 줄임말로, 혼자서 벽보면서 게임하듯이 상대방이 뭘하든 상관없이 자기 할 것만 하는 듀얼을 말한다.
2 상세
유희왕 OCG는 기본적으로 대전 게임이긴 하지만 타 TCG에 비해 디자인이 독특한 카드가 많고 자원 개념이 없기 때문에 한 명의 플레이어가 혼자 카드를 전개시켜 게임을 끝내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는 특히 필드와 패를 다 쓸어버리고 공격한다거나, 심지어 턴을 플레이할 기회조차 안 주는 경우도 있다. 이런 효과에 한번 당하게 되면 그 듀얼은 당장 지는 것이 아니라도 끝날 때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카드 간의 연계를 영구적 혹은 반영구적으로 활용하거나 아드 싸움에서 엄청난 우위를 점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 때 당하는 사람은 패나 필드가 쓸리지 않더라도 상대방의 플레이를 한참 동안이나 지켜봐야 한다. 물론 이런 플레이를 할 경우 당하는 사람이 이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나마 고문덱이나 종언의 카운트 다운덱 처럼 철저하게 공격을 틀어막고 승리하는데 어느정도 텀이 있는 덱 같은 경우는 상대도 그 락을 풀기위해 필사적으로 싸우면 어떻게든 할 수 있다.
문제는 무한 루프의 경우에는 루프를 끊을 키 카드가 본인에게 있지 않는 이상 그대로 게임에서 손을 놓아버려야 한다는 거지만.
이런 벽 듀얼, 솔리테어 플레이는 플레이하는 본인에겐 재미있지만 당하는 상대방 입장에서는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1] 기피되는 편. 무슨 덱을 쓰는 건 자기 마음이지만 이런 덱을 사용하면 상대방 입장에서 재미가 없으니 친구끼리 하더라도 우정파괴 게임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편이 좋다.
코나미는 게임 디자인상 이러한 루프를 금지 제한을 통해 막기 때문에 무한 루프가 발견되어도 다음 금지 제한에서 가차없이 사용을 막아버린다. 물론 다음에 안 먹고 몇 분기 후에 먹히는 경우가 훨씬 많지만.
3 벽듀얼이 가능한 경우
이하의 경우는 필드를 전개하는 데[2] 오래 걸려 벽듀얼이라고 하는 경우. 실제 벽듀얼의 정의에는 조금 맞지 않는다.
- 령수
- 인페르니티
- 슈팅 퀘이사 드래곤/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를 채용한 정크도플
-
초기 EMEm제재 이후로는 불가능해졌다.그래도 몇분기동안이나 우승을 쓸어담았다 - DD: 이건 위쪽에도 해당된다.
4 다른 게임에는 없는가?
있다. TCG의 원조인 매직 더 개더링에도 이렇게 혼자놀기를 시전하면서 굉장히 강력한 덱이 존재했고, 역시 금제의 철퇴를 먹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살아남아 탑 티어에 군림하는 일도 종종 있다.
일단 매직 역사상 가장 유명했던 벽듀덱은 다름아닌 톨라리아 아카데미 덱이 있었는데, 이 덱의 위명이 어느 정도였냐 하면 그 당시 듀얼의 과정은
- 가위바위보로 선공을 정한다
- 첫 패를 본다
- 게임 종료
거짓말 안 보태고 이 수준이었다고 한다(...). 그 후계라 할 수 있는 High Tide 덱은 레가시에서 생존했는데, 역시 상대하는 입장에선 할게 없는 벽듀형 덱이다(...). 단 상대 손에 최강의 카운터 Force of Will을 들고있지 않다면 말이다. 이 덕분에 역으로 레가시에 범람하는 수많은 벽듀형 콤보덱들은 Do you have Force of Will?이란 밈급 표현이 필수요소화 되어있다.
그 외 모던 포맷에서 최악명을 떨쳤던 희대의 벽듀덱으로 Egg 덱이 존재했다. 세계구 대회 결승중계를 순식간에 노잼으로 만들어버린[3] 굉장한 전적을 가진 덱이며, 결국 금제로 망했다(...).
배틀 스피리츠/TCG의 경우에도 예전 대천사 미카팔 덱이 솔리테어 플레이를 할 수 있었다. 지금은 미카팔이 금지 카드로 지정되어 불가능.
하스스톤에도 있다. 상대가 뭘 하던 내 패만 잘 풀리면 그대로 게임이 끝나는 주문도적, 냉기 마법사, 이제는 고인이 된 손놈 전사,드루이드의 천공의 교감 덱 등이 그 예. 다행스럽게도 하스스톤에서는 본사 입장에서 이런 벽듀얼덱을 꽤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에 키 카드들이 대부분 너프당하거나 대항할 수 있는 카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장의사, 전쟁노래 사령관 너프나 리노 잭슨 추가 등이 그 좋은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