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보

(본인방에서 넘어옴)

本因坊[1]. 일본바둑가문. 현대에는 일본의 프로바둑대회로 변모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혼인과는 관계없다. 혼인보 가문은 결혼과 출산을 통한 세습을 하지 않았으니 정말 관계없다

1 세습 바둑가문 혼인보

전근대 일본의 4대 바둑가문 중 하나. 시조는 센고쿠 시대 말의 스님이자 바둑 명인이었던 닛카이(日海)인데, '혼인보'는 그가 수행하던 작은 절간의 이름이다. 바둑팬이었던 오다 노부나가가 그의 명성을 듣고 초빙하여 5점 접바둑을 두는데도 이기지 못하자 그를 '명인'으로 인정한 것이 명인이라는 호칭의 시초라고도 한다.[2] 그는 노부나가의 죽음과도 간접적 연관이 있다고 한다. 혼노지에 머물던 노부나가가 닛카이와 다른 바둑 고수[3]를 초청하여 바둑을 두게 했는데 그 바둑에서 '3패'라는 진기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를 관전하던 노부나가는 이들을 후하게 대접했고, 이들이 혼노지를 떠난 그날 밤 아케치 미츠히데가 반란을 일으켜 노부나가는 자살하고 말았다.[4]

노부나가의 사후에도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바둑 스승을 한 닛카이는, 1603년 막부가 있는 에도로 이주하여 본격적으로 혼인보 가문을 개창하고 혼인보 산사가 되었다. 다만 스님이었던 산사는 종파의 계율에 따라 결혼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제자 중 특히 뛰어난 사람을 양자로 삼는 식으로 가문을 이어나갔고 이는 이후 혼인보 가문의 전통이 된다.

에도로 이주한 이후 산사는 고도코로(碁所)에 임명됐고 이는 명인으로 인정되는 사람만이 오를 수 있는, 에도 막부 시기 바둑계 최고의 권위를 가진 자리였다.[5] 고도코로에 임명되기 위해 혼인보, 이노우에(井上), 야스이(安井), 하야시(林) 네 가문이 300여 년간 치열한 정쟁경쟁을 벌인 것이 그대로 일본 바둑의 역사가 되었다. 최초의 명인이자 고도코로인 산사는 1623년 65세로 세상을 떠났다.

초대 혼인보인 산사가 세운 전통은 가문의 마지막까지 계속 이어져서, 가문의 당주는 혈연이 아닌 가장 뛰어난 실력자에게 계승되었다. 후계자로 지명된 사람은 아토메(跡目)로 불렸는데, 아토메로 지명된 사람 중 일찍 죽는 등의 이유로 실제 혼인보를 계승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당주는 자신의 이름에 가문명과 함께 도(道), 하쿠(伯), 슈(秀) 등의 글자를 붙이는 관습이 있었다.

마지막 당주는 21세 혼인보 슈사이(秀哉, 1874-1940)이다.[6] 그는 1914년 명인의 칭호를 얻었는데 정부가 고도코로를 폐지했고, 1924년에는 재벌 오쿠라 기시지로의 주도로 일본기원이 설립되며 현대적 프로바둑이 시작되었는데 그는 이를 지지하고 뒤에서 지원했다. 그는 현대 프로바둑이 성립된 후, '혼인보'라는 이름을 당대 최고수에게 주어야 한다고 천명하며 혼인보를 바둑가문에서 일본기원이 개최하는 바둑대회로 개편하도록 했다. 이로써 혼인보 가문은 그 역사를 끝마치고, 혼인보센(本因坊戰, 본인방전)이라는 최초의 현대기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7]

전국시대를 다룬 태합입지전5에 혼인보 산사가 등장한다. 다른 능력치는 바닥인데 바둑 명인인 것을 반영한듯한 지모80과 군학3, 산술4, 예법3의 능력치가 인상적. 변설도 1이라도 있기 때문에 산술4와 맞물려 군자금셔틀로 유용하다. 군학이 3이지만 통솔이 또 16으로 바닥이기 때문에 전장에 내보내는 건 조금 무리가 따른다.

고스트 바둑왕후지와라노 사이에게 대리바둑을 시킨 혼인보 슈사쿠가 14세 혼인보였다. 작중에 혼인보 타이틀을 쥔 사람이 구와바라인데, 슈사쿠의 원래 성도 구와바라였다. 오마주인 셈.

2 프로바둑대회 혼인보

일본기원 홈페이지의 대회 소개
혼인보 슈사이의 결단에 따라 1939년 출범한 최초의 현대적 프로기전. 이전에도 프로바둑계는 존재했지만 주로 일회성 대회나 두 기사간의 치수고치기 대결 등이 주된 이벤트였고, 자본의 후원하에 주기적으로 개최되는 프로바둑대회는 혼인보가 사실상 최초다. 1941년 세키야마 리이치(關山利一) 六단이 첫 우승자로 등극한 이후 2016년 현재 71기 대회를 끝마쳤다. 현 타이틀 보유자는 이야마 유타 九단.

조치훈 九단이 1989~1998년 10연패한 것으로도 유명.[8] 이후 5연패 이상을 한 기사에게는 세습가문 시절과 비슷하게 00세 혼인보 XX라는 칭호를 수여하게 되었다. 본명 대신 도(道), 하쿠(伯), 슈(秀) 등을 붙이는 관습도 그대로. 여기에 해당하는 기사로는 22세 혼인보 슈가쿠(秀格), 23세 혼인보 에이쥬(栄寿), 24세 혼인보 슈호(秀芳), 25세 혼인보 치쿤(治勲)[9]이 있다.

2016년 이야마 유타 九단이 5연패에 성공하면서, 조치훈 九단 이후 18년만에 26세 혼인보가 탄생했다. 혼인보 칭호는 몬유(文裕)로, 文은 문수보살(文殊菩薩), 裕는 이름 유타(裕太)에서 따온 것이다.
  1. 한국에서는 한국식 한자표기로 본인방, 본인방전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2. 노부나가보다 훨씬 어리다 - 1559년에 태어나서 1582년20대였다. 게다가 노부나가를 처음 만났을 때는 10대.
  3. 이름은 카기오 리겐(鹿鹽利賢). 참고로 히카루의 바둑 외전인 '혼노사 불타오르다'에서 신도우 히카루가 맡았다.
  4. 실제로 이 때의 기보라는 게 남아있긴 한데, 여기서는 3패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서 전설이 거짓인지 기보가 거짓인지는 알 수 없다. 연구가 계속 되면서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기보가 위작이라는 설이 우세하다.
  5. 각 가문의 후계자 결정이나 기사의 단위(段位) 결정, 중요 대국의 기획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6. 그가 혼인보 가문에 들어가는 데 큰 역할을 한 인물이 다름아닌 김옥균으로, 실제 슈사이는 훗날 오가사와라 제도에 유배된 김옥균을 배를 타고 직접 찾아가기도 했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7. 이후 1960년대가 되면 명인 또한 현대기전의 이름으로 다시 태어난다. 명인전 참조.
  8. 조치훈 외에 본인방전을 우승한 한국계 기사로는 1999년 조치훈을 꺾고 우승한 조선진 九단이 있다.
  9. 조치훈 九단은 예외적으로 본명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