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死海
The Dead Sea
- البحر الميت
יָם הַמֶּלַח
이스라엘과 요르단,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지구 사이에 있는 소금물 호수, 즉 염호(鹽湖). 바다가 아니다. 구글지도
주변 지형에 비해 상당히 해발 고도가 낮은 편(해발고도가 2016년 4월 기준 -430.02m, 마른 땅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곳이다!)이라 주위의 물이 여기에 흘러들어가면 증발 이외에는 나갈 길이 없어 절로 호수가 생성되었다. 물은 증발로 나가더라도 물 속에 든 광물질은 증발할 수 없기 때문에, 남은 광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엄청난 양의 염분을 포함하게 되었다.
사해의 물 속에 든 염분 함량은 무려 20%. 이게 어느정도냐 하면 바닷물의 평균 염분 함유량이 3.5%이고, 20%면 사람이 부력으로 둥둥 떠다닐 정도다[2] 그래서 몸에 상처가 있거나 혹은 염증이 있는 사람은 사해 입수를 엄격하게 금한다.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거랑 매한가지인지라. 그리고 혹시나 여기서 물장구라도 치다가 그 물이 눈에 튀기라도 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 그래서 절대 빠져죽을 일은 없을 것 같은 이 호수변의 리조트에도 안전요원들이 상주하며, 이들은 튜브 대신 손에 생수통을 하나씩 들고 있다가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달려가서 눈을 씻어준다.
죽음의 바다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서 몸 담그고 사는 수중생물은 없다. 당연하겠지만 염분이 너무 높아서 요단강에서 흘러들어간 물고기 따위는 즉사해버린다. 말 그대로 요단강 익스프레스하지만 역시 일부 미생물은 이런 험악한 환경에서도 살아간다. 그리고 이 미생물을 먹고 사는 특이한 파리[4]가 있다. 2011년에는 한 연구팀이 스쿠버 다이빙으로 호수 깊은 곳 까지 조사한 결과 민물 지하수가 뿜어져 나오는 구멍을 발견했으며, 이 주변의 염도 낮은 물에는 더욱 다양한 미생물 생태계가 만들어져 있었다고 한다.
이런 성질 때문에, '가질 줄만 알고 베풀 줄 모르는 사람'이라는 비유적 표현으로도 쓰인다. 참고로 사해에서 요단강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성경에도 잘 나오는 갈릴래아 호수가 나온다. 이곳은 강물이 들어가는 동시에 나오는 곳이어서 민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당연히 물고기를 비롯한 생물들이 많이 살고 있다. 때문에 두 호수를 비교해서 '사해처럼 베풀지 않는 사람은 결국 파멸한다'는 교훈을 만들기도 한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이 호수의 미네랄 성분이 각광받아 머드팩같은 상품산업으로 돈을 벌고 있다고. 유대 격언 : "돈은 구두쇠가 만든다" 물가가 비싼 이스라엘 쪽으로 사해 관광을 하게 되면 엄청나게 비싸기 때문에 훨씬 저렴한 요르단을 통해 가는 해외관광객들도 많다. 다만 요르단 쪽 물가에서 너무 멀리 가다 멋모르고 국경을 넘었다가 이스라엘군에게 총맞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물론 요르단 쪽도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국경 근처에 배치한 군인들이 너무 멀리 나가는 관광객들에게 경고를 하도록 한다).
관련기사
20세기 후반 들어서는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과거 물가에 지었던 호텔에서 사해로 가려면 한참을 걷거나 차를 타야 할 정도. 이스라엘이 사해의 바닷물과 진흙을 공업원료로 쓰기 때문이라고도 하는데, 결정적인 원인은 사해의 주 수원인 요단강의 수량이 줄어든 것이다. 요단강은 시리아에서 발원하여 이스라엘과 요르단 두 나라 사이를 흘러 사해로 들어가는데, 중간에서 농업용수나 생활용수, 산업용수로 쓰는 양이 많아지면서 사해로 들어가는 물의 양이 줄어든 것이다. 이런 현상은 중앙아시아의 아랄해에서도 똑같이 일어나고 있다.
관련기사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홍해 아카바 만에서 사해로 내려가는 운하를 파서 수량을 보충하려는 계획이 나왔는데, 염도 낮아지니까 공사하지 마라싱거워지니까 물타지마라는 반발에 부딪치고 있다(2007년 세계은행에서 50억 달러 융자로 이 공사를 하려다가 세계 환경단체 반발에 부딪치면서 보류상태이다).
이스라엘 옆에 있다 보니 성서시대의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소돔과 고모라가 야훼의 노여움을 사 망한 뒤, 그 지역이 후에 사해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사해에 잔뜩 있는 소금기둥 중 하나는 이때 천사의 지시를 어긴 롯의 아내라고 한다. 또한 근처에 있는 동굴들에서 초기 기독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사해문서가 발견되기도 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에 올랐지만 선정되지 못했다.
2 四海
고대 중국의 지리개념 중 하나. 천지 네 방향을 둘러싸고 있다고 믿어졌던 큰 바다를 지칭하는 것으로, 당연히 실존하는 동해 서해 남해 북해 또는 동중국해 남중국해를 일컫는 것이 아니다. 애당초 중국의 북쪽과 서쪽에는 바다가 없다...천지를 아프로-유라시아 대륙까지 확장한다면 진짜로 동서남북을 둘러싼 사해가 있긴 있다
그러나 한나라 시대에는 바이칼호를 북해라고 생각했고, 서쪽은 히말라야로 막혀 있는데, 막연히 그 너머 인도가 있다고는 생각한 것 같다. 그리고 좀 더 이른 시기의 것으로는 원조 판타지 설정집 산해경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사해용왕의 경우처럼 바다 그 자체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중원에서 세상 끝 바다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지평, 즉 천하 온 세상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이기도 한다. "명성을 사해에 떨치다(振被四海)"와 같은 표현이 그것. 참고로 광개토왕릉비에도 나오는 말이다. 명성을 死海에 떨구는 게 아니다 중국을 일컫는 다른 말인 9주와 합쳐서 "사해구주(四海九州)"라고 하기도 한다. 또한 삼국지 등에서 천하통일을 가리켜 "혼일사해(混一四海)"라고 하기도 하는데, 사해를 하나로 합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