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

염기성의 반대말인 '산성(酸性)'에 대해서는 산(화학)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山城, Fortress

1 개요

파일:Attachment/산성/Examplecastle.jpg
부산광역시의 금정산성.

산세를 따라서 에 쌓은 성(城)이다. 드물게 평지에 가까운 낮은 구릉에 지은 성도 산성이라고 부른다. 산성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벽을 빙 둘러 지어서 마치 머리띠를 두른 것처럼 보이는 테뫼식(머리띠식)과 성 안에 넓은 계곡을 포용하고, 계곡을 둘러싼 산능성이를 따라 성벽을 지은 포곡식이 있다.

산이나 구릉에 짓는다는 특성상 성의 규모는 대부분 그렇게 크지 않으며, 복잡한 방호시설은 대개 갖추어지지 않았다. 삼국시대 국경선 지역에 설치된 산성들은 산성이라기보다는 거의 돈대에 가까운 수준의 작은 산성도 보인다.

2 장점

우선 산성은 높은 지형에 위치하기에 방어하기가 유리하며, 산을 끼고 지은 성이기 때문에 공성병기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높은 방어력을 방어군에게 제공해준다. 산의 경사와 높이가 공격군에게 상당한 부담요소이기 때문에 여기에 적당히 낮은 성벽만 단순하게 빙 둘러 쌓아줘도 적에게 막막함을 느끼게했기 때문이다. 보면 알겠지만 평야에 짓는 평지성에 비해 요구하는 기술적 수준도 높지않고 건설자재를 적게 들이고도 평지성 이상의 방어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성을 쌓았던 나라라면 반드시라 해도 좋을 정도로 산성도 보유하고 있었다. 산의 지형을 이용해 성벽을 쌓을 필요가 없는 절벽이나 숲을 이용하기도 했다. 조선같이 양질의 사수들을 다수 보유한 나라라면 산성에 틀어박혀서 화살을 날려대는것만으로도 적의 공격으로부터 상당기간 버틸 수 있었다.

3 단점

터가 되는 산의 크기가 곧 산성의 크기여서 마음대로 크게 지을 수가 없으며 주로 험준한 산세에 지어졌기 때문에 평시의 교통행정의 중심지로 삼기에는 여러모로 적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평지성을 수도로 삼고 적침을 받으면 가까운 산성으로 가서 농성하는 전법을 즐겨 사용했다. 산악지형이라 방어가 쉽다는 잇점만 믿고 역으로 대충짓고 관리를 허술하게 하다 정작 산성의 수비능력을 뛰어넘는 적군의 공격을 받아 의외로 쉽게 함락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형상 식량과 물이 떨어지면 치명적이라 제대로 된 산성을 지으려면 위치선정을 잘해야 했는데, 이러다보니 난공불락의 방어력을 지닌 진정한 산성은 드문 편이었다.[1]

4 대한민국의 산성

5 해외의 산성

6 참고 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2012년에 발간한 《고고학전문사전-성곽편》을 참고하면 전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산성에 대한 정보는 뜬금없는 소리가 많으므로 이 책을 참고할 것. 단 용어가 전문적이니 다소 어려울 수는 있다.
  1. 일본에 포로로 끌려갔다가 돌아온 강항 선생이 쓴 간양록에 보면, 센고쿠 시대를 거치는 동안 발전되고 숙련된 일본의 축성 기술과 방법, 원리에 대해서 상세히 소개하고 "그들의 성벽은 원숭이도 기어오를 수 없다"고 평가했는데, 임진왜란 때 조선을 침공한 일본군이 조선의 성채를 보고 "저것도 성이냐?"라고 비웃으면서도 유독 나주의 금성산성(錦城山城)과 담양의 금성산성(金城山城)에 대해서는 "조선인들이 여기를 작정하고 지켰으면 우리도 함락시키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감탄했다는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