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번의 모습.(사진속 차량은 좌석133번 출신차다.)
목차
1 개요
오래 전에 사라졌지만 일부 올드비나 경기 동북부권에 거주하는 버스 동호인들에게는 전설로 남아 있는, 남양주/가평 지역에서 끗발 날리던 버스 회사.
주력 노선은 마석에서 청량리를 운행하던 30번으로 30번의 역사가 곧 이 회사의 역사라고 할 수 있겠다.
2 탄생부터 도산까지
2.1 경춘로의 터줏대감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그 옛날 경충버스[1] 시절부터 경춘로를 거쳐 동마장으로 가는 완행버스를 운행했다는 걸로 미루어보아 해방 직후라든가 아니면 이러한 베이스를 둔 노선이 창립때부터 운행했다면 일제강점기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지금의 30번, 330-1번, 1330번과 그 지선들 등등... 마석(화도읍)과 가평군 버스들의 시초는 여기서부터이다.
1950~60년대 경기고속[2]에서 삼용버스가 분리되고 거기서 진흥여객(현 진흥고속)으로 사명변경되고 시내버스노선은 동양버스로 독립된다.그후 임금체불로인해 동양버스 대표가 구속되면서 새로운 사업자가 인수하면서 삼용버스로 다시변경되었다.
그러고 나서 마석 - 동마장 시외완행으로 다니다가 1989년(동마장터미널 개업 종료와 같은 해이다.) 30번 시내버스로 전환, 그리고 그 좌석형이 330번. 거기에다가 이게 시외시절부터 있던 지선들까지 흡수하여 지금의 30번대(-1~-14) 화도/수동 지선버스가 된다. 1994~5년경에는 330번의 연장판이자 직행좌석 버전인 1330번이 신설된다. 후에 1330번의 일반좌석형인 133번도 잠시 운행하기도 했다. 이렇게 화도읍과 가평군의 시내/농어촌버스를 주름잡는 향토기업으로 그럭저럭 잘 돌아가는듯 싶었으나... KD그룹 대원여객이 망우리고개 사고 사상자 보험처리문제로 부도난 금성교통을 인수하고 대원교통으로 바꾸면서 KD 남양주 제패에 신호탄이 울린다.
2.2 경쟁자의 입성
구리/남양주에 입성한 KD가 주변 업체와 붙어보려고 몇 가지 작전을 폈는데, 들어오고 나서 먼저 편 게 이 30번을 견제하기 위한 165-2번의 구간삥 폐지. 이게 영향력이 있었던 게 금성교통 시절 금곡에서 출발하는 165번은 구간요금이 없었으나 호평동에서 출발하는 165-2번은 금곡까지는 똑같이 기본요금인데 그 이후로 정류장 지날때마다 돈이 붙는, 비슷하게 구간요금을 철저히 받아내는 삼용 입장에서는 좋을 수밖에 없었다가 바짝 긴장하게 됐다. 근데 호평과 평내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허허벌판이었으니 큰 타격은 없었다만... 금곡이 문제였고[3] 이때부터 내리막길의 조짐이 보였다. 하지만 몰락의 신호탄을 울린 결정적인 사건이 있었으니, 차산리 영업소의 매각이었다.[4]
2.3 몰락
이후 대원교통 뿐 아니라 대원여객[5]도 구리/남양주권에서 승객 쓸어담기에 나서면서, 이 회사의 입지가 불안해지게 된다. 대원여객의 55번이 구리 쪽에서 승객을 쓸어가기에 이르면서, 사실상 구리-청량리 근거리 수요도 없어졌다. 물론, 그 전에 구간요금을 없앤 165번이 나머지 구간의 구간수요를 가져갔고, 도농동에 아파트들이 줄지어 들어오면서 그 많은 신규 수요는 KD그룹이 가져가 버렸다. 호평/평내지구 수요를 기대해볼만도 했지만 공사중이였기에...[6]
2.3.1 안간힘
패색이 짙어질 무렵 마석 - 구리 간 수요라도 되찾아오기 위해서였는지 30번에서 가지치기를 마구 하게 된다. 30-2번(구암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30-3번(마석 - 구리시청), 30-4번(마석 - 망우리고개)을 만들었지만 성과는 그다지 좋지 않아서 30-2번을 제외한 가지치기 노선들은 얼마 못 가 폐선되고 도로 30번으로 흡수됐다. 그리고 진흥 공략용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좌석버스 330번에서도 가지를 쳐서 330-2번(가평 - 구리농수산물시장)을 운행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가지치기 노선들이 많았을 때는 330번과 노선은 같은데 금곡 예비군훈련장으로 돌아가는 330-3번이라는 노선도 굴렸는데, 당연히 얼마 못 가 없어졌지만 지금의 30번이 훈련장을 들어가게 된 게 필연이라 할 수 있겠다.
2.4 도산
결국 2002년, KD의 공세 앞에 삼용은 완전히 몰락하게 되었다. 사실상 자기의 본진이던 마석 바로 아래 차산리에도 KD가 들어와서 진을 쳤고, 산 넘어가면 있는 호평과 평내는 오래 전부터 KD가 장악한 상황이어서 게임이 될 리가 만무했다.
당시 이 회사 버스 기사는 마석만 넘어가면 보이는 건 전부 노란색 차[7] 뿐이라고 했을 정도로 이미 남양주시의 웬만한 지역은 죄다 KD 운송그룹이 먹은 상태였다. 그나마 남은 청정지역(?)은 오남읍이나 진접읍, 별내면[8] 정도였지만 그 일대는 당시만 해도 2016년 현재 수준의 아파트촌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었다.
더 버티기 힘들어지자, 경기교통처럼 차량 압류가 이루어지면서 회사는 도산했다. 그리고 운행하던 노선들은 KD 운송그룹[9]과 진흥고속이 가져갔다. 불행히도 그 이후 거의 1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마석의 시내버스 배차간격은 막장을 달리다가, 경춘선 전철 개통이 되면서 좌석버스들을 서서히 정리하여 많이 개선되었다. 시기상 이미 마지막 경쟁자 선진그룹이 철수한 걸 감안하면 정말 장족의 발전을 이뤘다고 할 수 있을 정도. 진접 광릉내-장현리 라인 상황과 정 반대
3 폐업 직전까지의 운행 노선 목록
3.1 시내버스
- 30 - 이 회사의 시작과 끝을 함께 했던 노선.
- 30-2 - 구암리에서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까지 운행하던 노선. KD그룹으로 넘어가고 얼마 안 있어 폐선됐다. 65-1번과 유사한 노선.
- 마석순환버스 - 위 30번의 지선 노선들이었다. 마석순환버스들이 전부 30으로 시작하는 것도 위의 30번이 원래 본선이었기 때문.
- 30-15 - 원래는 34번으로 마석과 차산리에서 산 넘어 와부읍으로 향하던 노선이었다.[10] 지금도 똑같이 다니지만 운행 댓수는 단 1대.
- 가평군 농어촌버스 다수링크
3.2 일반좌석버스
- 133 - 청평에서 청량리로 향하던 노선. 가평 버스 1330 시리즈들의 하위호환 노선이었다.
- 330 - 마석터미널 청량리로 향하는 노선 훗날KD에인수되면서 3300번으로 고급좌석으로 형관전환해서 청평까지 연장운행하다가 폐선되었다.
- 330-1 - 수동면에서 청량리로 가던 노선. 경기고속을 거쳐서 대원운수로 넘어가 현재까지 잘 운행되는 중이다.
3.3 직행좌석버스
- ↑ 경충버스 → 경기여객 → 경기고속 → 경기고속(대원여객이 인수 = KD).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전북여객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버스 회사이다.
- ↑ 대원여객에게 인수되기 전이다.
- ↑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금곡동은 남양주에서 인구가 많은 편이었다. 도농동 부영아파트도 그제서야 완공했던 시기.
- ↑ 차산리 영업소에는 30-1번(차산리-청량리, 시내), 330-1번(30-1번의 좌석버스 판)과 1990번(차산리-강변역) 세 개의 노선이 있었다. 이들은 각각 65번, 650번, 1115-2번으로 번호가 바뀌었고 기존에 운행하던 차량들은 넘어가지 않았다. 좌석버스 650번은 765-1번과 청량리 회차구간을 제외하고 완전히 겹쳤기 때문에 폐선됐다. 참고로 현재 운행중인 330-1번은 차산리 매각 이후 비금리 지선에 붙은 것이다.
- ↑ 진화운수 구리영업소(옛 부흥교통)를 인수하여 진출한 형태다.
- ↑ 아파트라고는 경춘로변에 진주아파트, 장내마을에 무궁화아파트, 천마산 입구에 라인아파트가 전부였고 지금의 양정동처럼 시골 풍경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택지지구의 입주가 시작된 시기는 2004년 하반기로 KD가 이 일대에 정착한 지 시간이 좀 지났을 때.
- ↑ 이게 당시 KD의 도시형버스 도색이었다. 정확히는 서울 몬드리안 도색과 같다.
- ↑ 현재로선 거의 유일한 남양주 비 KD점령지.
- ↑ 처음에는 KD가 아닌 명진운수에서 운행을 맡았다. 후에 명진운수가 도산하고 KD가 인수한 형태이다.
- ↑ 34번은 마석~도곡리~하남으로 가던 좌석버스 노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