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용버스

30번의 모습.(사진속 차량은 좌석133번 출신차다.)

1 개요

오래 전에 사라졌지만 일부 올드비나 경기 동북부권에 거주하는 버스 동호인들에게는 전설로 남아 있는, 남양주/가평 지역에서 끗발 날리던 버스 회사.
주력 노선은 마석에서 청량리를 운행하던 30번으로 30번의 역사가 곧 이 회사의 역사라고 할 수 있겠다.

2 탄생부터 도산까지

2.1 경춘로의 터줏대감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그 옛날 경충버스[1] 시절부터 경춘로를 거쳐 동마장으로 가는 완행버스를 운행했다는 걸로 미루어보아 해방 직후라든가 아니면 이러한 베이스를 둔 노선이 창립때부터 운행했다면 일제강점기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지금의 30번, 330-1번, 1330번과 그 지선들 등등... 마석(화도읍)과 가평군 버스들의 시초는 여기서부터이다.

1950~60년대 경기고속[2]에서 삼용버스가 분리되고 거기서 진흥여객(현 진흥고속)으로 사명변경되고 시내버스노선은 동양버스로 독립된다.그후 임금체불로인해 동양버스 대표가 구속되면서 새로운 사업자가 인수하면서 삼용버스로 다시변경되었다.

그러고 나서 마석 - 동마장 시외완행으로 다니다가 1989년(동마장터미널 개업 종료와 같은 해이다.) 30번 시내버스로 전환, 그리고 그 좌석형이 330번. 거기에다가 이게 시외시절부터 있던 지선들까지 흡수하여 지금의 30번대(-1~-14) 화도/수동 지선버스가 된다. 1994~5년경에는 330번의 연장판이자 직행좌석 버전인 1330번이 신설된다. 후에 1330번의 일반좌석형인 133번도 잠시 운행하기도 했다. 이렇게 화도읍과 가평군의 시내/농어촌버스를 주름잡는 향토기업으로 그럭저럭 잘 돌아가는듯 싶었으나... KD그룹 대원여객이 망우리고개 사고 사상자 보험처리문제로 부도난 금성교통을 인수하고 대원교통으로 바꾸면서 KD 남양주 제패에 신호탄이 울린다.

2.2 경쟁자의 입성

구리/남양주에 입성한 KD가 주변 업체와 붙어보려고 몇 가지 작전을 폈는데, 들어오고 나서 먼저 편 게 이 30번을 견제하기 위한 165-2번구간삥 폐지. 이게 영향력이 있었던 게 금성교통 시절 금곡에서 출발하는 165번은 구간요금이 없었으나 호평동에서 출발하는 165-2번은 금곡까지는 똑같이 기본요금인데 그 이후로 정류장 지날때마다 돈이 붙는, 비슷하게 구간요금을 철저히 받아내는 삼용 입장에서는 좋을 수밖에 없었다가 바짝 긴장하게 됐다. 근데 호평과 평내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허허벌판이었으니 큰 타격은 없었다만... 금곡이 문제였고[3] 이때부터 내리막길의 조짐이 보였다. 하지만 몰락의 신호탄을 울린 결정적인 사건이 있었으니, 차산리 영업소의 매각이었다.[4]

2.3 몰락

이후 대원교통 뿐 아니라 대원여객[5]도 구리/남양주권에서 승객 쓸어담기에 나서면서, 이 회사의 입지가 불안해지게 된다. 대원여객55번이 구리 쪽에서 승객을 쓸어가기에 이르면서, 사실상 구리-청량리 근거리 수요도 없어졌다. 물론, 그 전에 구간요금을 없앤 165번이 나머지 구간의 구간수요를 가져갔고, 도농동에 아파트들이 줄지어 들어오면서 그 많은 신규 수요는 KD그룹이 가져가 버렸다. 호평/평내지구 수요를 기대해볼만도 했지만 공사중이였기에...[6]

2.3.1 안간힘

패색이 짙어질 무렵 마석 - 구리 간 수요라도 되찾아오기 위해서였는지 30번에서 가지치기를 마구 하게 된다. 30-2번(구암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30-3번(마석 - 구리시청), 30-4번(마석 - 망우리고개)을 만들었지만 성과는 그다지 좋지 않아서 30-2번을 제외한 가지치기 노선들은 얼마 못 가 폐선되고 도로 30번으로 흡수됐다. 그리고 진흥 공략용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좌석버스 330번에서도 가지를 쳐서 330-2번(가평 - 구리농수산물시장)을 운행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가지치기 노선들이 많았을 때는 330번과 노선은 같은데 금곡 예비군훈련장으로 돌아가는 330-3번이라는 노선도 굴렸는데, 당연히 얼마 못 가 없어졌지만 지금의 30번이 훈련장을 들어가게 된 게 필연이라 할 수 있겠다.

2.4 도산

결국 2002년, KD의 공세 앞에 삼용은 완전히 몰락하게 되었다. 사실상 자기의 본진이던 마석 바로 아래 차산리에도 KD가 들어와서 진을 쳤고, 산 넘어가면 있는 호평과 평내는 오래 전부터 KD가 장악한 상황이어서 게임이 될 리가 만무했다.

당시 이 회사 버스 기사마석만 넘어가면 보이는 건 전부 노란색 차[7] 뿐이라고 했을 정도로 이미 남양주시의 웬만한 지역은 죄다 KD 운송그룹이 먹은 상태였다. 그나마 남은 청정지역(?)은 오남읍이나 진접읍, 별내면[8] 정도였지만 그 일대는 당시만 해도 2016년 현재 수준의 아파트촌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었다.

더 버티기 힘들어지자, 경기교통처럼 차량 압류가 이루어지면서 회사는 도산했다. 그리고 운행하던 노선들은 KD 운송그룹[9]진흥고속이 가져갔다. 불행히도 그 이후 거의 1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마석의 시내버스 배차간격은 막장을 달리다가, 경춘선 전철 개통이 되면서 좌석버스들을 서서히 정리하여 많이 개선되었다. 시기상 이미 마지막 경쟁자 선진그룹이 철수한 걸 감안하면 정말 장족의 발전을 이뤘다고 할 수 있을 정도. 진접 광릉내-장현리 라인 상황과 정 반대

3 폐업 직전까지의 운행 노선 목록

버스 동호인 여러분들의 많은 추가바람.

3.1 시내버스

  • 30 - 이 회사의 시작과 끝을 함께 했던 노선.
  • 30-2 - 구암리에서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까지 운행하던 노선. KD그룹으로 넘어가고 얼마 안 있어 폐선됐다. 65-1번과 유사한 노선.
  • 마석순환버스 - 위 30번의 지선 노선들이었다. 마석순환버스들이 전부 30으로 시작하는 것도 위의 30번이 원래 본선이었기 때문.
  • 30-15 - 원래는 34번으로 마석과 차산리에서 산 넘어 와부읍으로 향하던 노선이었다.[10] 지금도 똑같이 다니지만 운행 댓수는 단 1대.
  • 가평군 농어촌버스 다수링크

3.2 일반좌석버스

  • 133 - 청평에서 청량리로 향하던 노선. 가평 버스 1330 시리즈들의 하위호환 노선이었다.
  • 330 - 마석터미널 청량리로 향하는 노선 훗날KD에인수되면서 3300번으로 고급좌석으로 형관전환해서 청평까지 연장운행하다가 폐선되었다.
  • 330-1 - 수동면에서 청량리로 가던 노선. 경기고속을 거쳐서 대원운수로 넘어가 현재까지 잘 운행되는 중이다.

3.3 직행좌석버스

  • 1330 - 삼용버스의 유일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 진흥고속이 인수하여 현재의 형태로 다니고 있다.
  • 1990 - 마석~강변역 - 1115-2번이 저 노선과 유사했지만 폐선됨.
  1. 이동 경충버스 → 경기여객 → 경기고속 → 경기고속(대원여객이 인수 = KD).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전북여객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버스 회사이다.
  2. 이동 대원여객에게 인수되기 전이다.
  3. 이동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금곡동은 남양주에서 인구가 많은 편이었다. 도농동 부영아파트도 그제서야 완공했던 시기.
  4. 이동 차산리 영업소에는 30-1번(차산리-청량리, 시내), 330-1번(30-1번의 좌석버스 판)과 1990번(차산리-강변역) 세 개의 노선이 있었다. 이들은 각각 65번, 650번, 1115-2번으로 번호가 바뀌었고 기존에 운행하던 차량들은 넘어가지 않았다. 좌석버스 650번은 765-1번과 청량리 회차구간을 제외하고 완전히 겹쳤기 때문에 폐선됐다. 참고로 현재 운행중인 330-1번은 차산리 매각 이후 비금리 지선에 붙은 것이다.
  5. 이동 진화운수 구리영업소(옛 부흥교통)를 인수하여 진출한 형태다.
  6. 이동 아파트라고는 경춘로변에 진주아파트, 장내마을에 무궁화아파트, 천마산 입구에 라인아파트가 전부였고 지금의 양정동처럼 시골 풍경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택지지구의 입주가 시작된 시기는 2004년 하반기로 KD가 이 일대에 정착한 지 시간이 좀 지났을 때.
  7. 이동 이게 당시 KD의 도시형버스 도색이었다. 정확히는 서울 몬드리안 도색과 같다.
  8. 이동 현재로선 거의 유일한 남양주 비 KD점령지.
  9. 이동 처음에는 KD가 아닌 명진운수에서 운행을 맡았다. 후에 명진운수가 도산하고 KD가 인수한 형태이다.
  10. 이동 34번은 마석~도곡리~하남으로 가던 좌석버스 노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