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행좌석버스

1 개요

파일:I7UurPS.jpg
수원의 빗자루직행좌석버스. 원본

파일:ALs6RUV.jpg
계룡의 직행좌석버스. 원본

파일:O8mdMoZ.jpg
부산의 직행좌석버스. 원본

파일:QJtIOz9.jpg
울산의 직행좌석버스. 원본

파일:KTbjRIt.jpg
거제의 직행좌석버스. 원본

파일:Hxqngv5.jpg
양산의 직행좌석버스. 원본

직행좌석형 시내버스를 부르는 명칭중 하나. 일반적으로는 경기도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간선급행버스와 동급인 버스이다. 국토교통부에서 담당하는 광역급행버스가 나오기 전까지는 최고 등급의 시내버스다.(광역급행버스가 직행좌석버스보다 등급이 한 등급 더 높다)

하지만 광역급행버스가 없는 비수도권에서는 최고등급의 시내버스이다. 하지만 곧 비수도권에도 광역급행버스를 만들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추진중이다.

2 역사

2.1 수도권

시초는 1993년 등장한 서울 외곽지역과 서울 중심부(광화문, 시청)을 급행연계 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1000번대 버스. 그러나 여러가지 사정[1]으로 서울과 위성도시 간의 급행연계를 할 목적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2] 따라서 서울 최초의 직행좌석버스는 1993년에 생긴 수서역-광화문을 잇던 1005번[3][4]을 비롯한 1001~1007번 버스이며, 경기도 최초의 직행좌석버스는 분당에서 광화문을 잇는 대원고속 1005-1이다. 이후 분당뿐만 아니라 수원, 용인, 남양주, 고양 등 수도권 전역에 직행좌석버스가 신설되었고[5], 2004년 7월 서울 시내버스개편때 서울면허 직행좌석버스는 광역버스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된다.(현재 서울과 인천은 광역버스, 경기도는 직행좌석버스로 부른다.) 버스의 노선색은 모두 빨간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그 전에는 서울특별시 구)좌석도색에다 측면에 노선 번호를 요란하게(...) 붙이는 게 유행이었다. 1005-1, 1113 식으로...

초기목적은 두 도시간 빠른 이동이었지지만... 노선수요가 늘어나 정류장이 늘어나고, 노선 굴곡이 심해지면서 현실은 시궁창이 되어버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선급행버스광역급행버스가 튀어나와 버리게 된 것.

3 현황

이 버스의 노선명은 주로 4자리(두세자리 노선번호도 있음)[6]이며, 요금은 성인 기준으로 현금 2,500원, 카드 2,400원이다. 90년대에는 천원이었는데 요금이 무려 2.5배나 늘었다...

서울특별시 면허 광역버스는 "9xyz"(x:권역, yz는 일련번호)형태, 경기도 면허 직행좌석버스는 통일된 기준은 없다. 인천광역시 면허 광역버스는 1xxx번대는 신촌 - 서울역, 2xxx번대는 종로, 7xxx번대는 가양역, 9xxx번대는 강남 방향 노선이다.

일반적으로 직행좌석버스엔 고급형 좌석버스(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유니버스 스페이스, 대우 로얄 럭셔리, FX116)를 투입하는 것이 보통이나 7권역(고양, 파주) 및 김포 일부[7]엔 일반형 좌석버스(뉴 슈퍼 에어로시티)[8]를 투입하는 경우도 있어 버스 동호인들에게 까이기도 한다.[9]

부산에도 직행좌석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4년 1월 22일에 개통된 부산-거제간을 운행하는 거제 2000번은 직행좌석버스 범주에 들어간다.

수요가 적은 노선의 경우 버스 회사에서 감차를 시키곤 하는데, 이에 지역주민들이 "출퇴근 시간에 입석승객이 생기는데 수요가 없다는 게 무슨 소리냐!" 하고 반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직행좌석버스가 출퇴근시간에도 입석승객이 없다면 그 노선은 엄청나게 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부 노선들은 출퇴근시간 한정으로 차량을 많이 투입해 배차간격을 줄이는 유연성을 보이기도 한다. 수요가 얼마나 있어야 하는가는 노선/지역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손익분기점 57만원(버스 1대당 매출)을 넘거나 근접해야 수요가 많다고 본다.

참고로 부산에서는 80년대부터 90년대 초반까지 일반좌석버스 노선에 차량 전면에 직행좌석이라고 써 놓고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식으로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한 적이 있다. 지금의 급행버스의 전신이라고 보면 된다. 울산에서도 마찬가지로 90년대초까지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했었으나[10] 수요문제로 시내좌석버스로 강등된후 2000년 초까지 운행되다 차차 일반입석노선에 흡수되었다. 이후 2013년 들어서 울산~부산간 시내좌석버스를 직행좌석으로 바꾸면서 그 이름이 다시 부활하게 됐다.

대전에서는 대전과 계룡을 연결하는 2002번이 있다. 특이하게도 대전시내버스 202번과 공동배차하고 있는데, 202번은 일반버스이지만 2002번은 공식적으로는 계룡시 면허이고[11] 주요정류장[12]만 정차하는 직행좌석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다. 또한 버스도 직행좌석에 걸맞게 현대 유니버스를 굴리고 있다. 단 도색이 다른 동네와는 다르게 주황색이다. 이미 빨간색은 대전의 급행버스[13]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경우 고속도로, 고속화도로를 다니는 노선에 한해 안전 문제로 입석금지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었고, 한동안은 시민 불편 문제로 입석이 허용되었으나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안전불감증 문제가 제기되면서 동년 7월 16일부터 입석금지가 시행되었다. 그 결과 출근길은 헬게이트가 열리게 되었으며, 이런저런 불편과 민원으로 인해 결국 한달도 못가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 항목을 참조.

4 목록

4.1 경기도 시내버스

일반적으로 차량 도색은 빨간색이다. 주로 고급형 차량(유니버스, FX116)이 투입되며, 버스회사 사정이 좋지 않으면 도시형버스 좌석형 옵션 차량이 투입되기도 한다.

4.1.1 경기도에서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는 회사

4.1.2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목록

직행좌석버스/경기도 항목을 참조.

4.2 충청남도 시내버스

4.2.1 계룡시(대전광역시) 직행좌석버스(광역버스) 노선

4.3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에서는 직행좌석버스와 고급좌석버스[15]를 묶어 급행버스로 통칭하고 있지만, 부산-거제 구간을 운행하는 2000번 버스가 행정상으로는 직행좌석버스로 인가나서 여기에 기술한다. 나머지 급행버스들은 행정상으로는 모두 일반좌석버스들이다.

4.3.1 부산에서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는 회사

4.3.2 부산 직행좌석버스 노선

  • 2000(하단역 - 연초) - 사실 이쪽은 거제시의 동일번호 동일경로 노선이 직행좌석을 달고 있어서 그렇지, 부산 시내버스 체계에서는 급행버스이다.

4.4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현재 울산의 시내직행좌석버스는 빨강색 일색인 다른 도시와는 달리 ●파란 빛이 도는 연보라색(라벤더)을 사용한다. 원래는 고급좌석 시절부터 리무진(급행)과 같은 빨간 도색으로 계획했는데, 학성버스가 주문한 1호차가 현대차의 실수로 시내일반 신도색(안)으로 나오자 좋다고 그대로 쓴 게 일반좌석 및 직행좌석버스 전체의 상징색으로 굳어졌다.그래서 울산 도시형버스는 몬드리안 도색을 피할 길이 없다 ㅠㅠ 차량은 모두 유니버스가 투입되고, 1137번의 학성버스 초기 도입분과 유진버스의 차량을 제외하면 모두 폴딩도어 사양이며, 1137번을 제외한 전 노선은 전중문 사양으로만 운행한다.

4.4.1 울산에서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는 회사

4.4.2 울산 직행좌석버스 노선

4.5 경상남도 시내버스

4.5.1 거제 직행좌석버스 노선

4.5.2 양산 직행좌석버스 노선

  • 1200(명륜동 - 북정) - (주)세원
  • 1300(명륜동 - 증산) - (주)세원
  • 1500(명륜동 - 증산) - (주)세원
  • 2100(울산터미널 - 노포역) - 푸른교통
  • 2300(울산터미널 - 노포역) - 푸른교통
  1. 무엇보다 서울 외곽에서 중심부까지 일반 도로를 다른 버스와 함께 달리면서 오직 정류장 수만 줄였기 때문에 시간단축의 의미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가격만 비쌌으므로 이용자들이 외면하게 된다. 실제로 이때 생긴 서울대 기점의 1004번 버스는 탄생 1년만에 폐선된다. 중앙차로라도 있었으면 그렇게 금방 없어지는 않았을 듯
  2. 서울-경기뿐만 아니라 경기도내에서 이동하는 직행좌석버스도 있다. 다만 서울-경기 노선에 비해 개수가 매우 적다는게...
  3. 현 외대-신사역을 운행하는 1005번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노선이다. 당시에는 수서역-광화문 간 노선으로 다니다가 분당으로 연장후 분당-강남역-이태원-광화문 간 노선으로 다녔던 동성교통, 남성교통 1005번으로 분당 오리역에서 아름마을까지 긴 시티투어 및 내곡-분당간 고속화도로를 타고갔었고 1005-1번이 등장하고 판 치기전까지는 잘 나갔었다.
  4. 주로 투입된 차량은 에어로 이코노미, BH115H 등 당시 고급좌석 신차들이었으며 1004번을 운행하던 한남운수는 그랜버드 시티를 운행하기도 했었다.
  5. 다만 도시들, 부천시, 광명시 등 상대적으로 광역철도 인프라가 잘 갖춰져있거나 서울과의 거리가 가까운 도시들에서는 직행좌석버스가 잘 자리잡지 못했다. 전철보다 소요시간 면에서 뒤쳐지거나, 거리 자체가 가까워서 일반시내버스로도 충분히 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3030번과 같은 예외도 있다.
  6. 두자리수의 직행좌석버스는 남양주(포천) 11번이 유일하다. 고양 82번도 있었으나 1082번으로 개편되었다.
  7. 한때는 성남의 버스회사도 저지른 일이였는데... 지금은 안그런다. 죄다 시내버스로 돌려버렸지... 동성교통과 경쟁하려고...
  8. 신성여객의 경우는 2500과 2300에 중형버스인 그린시티가 도입된 상태.
  9. 909번 같은 경우에는 원래부터 일반좌석버스 출신(물론 그 이전에는 문산~불광동 시외버스)인 점은 이해가 되지만 나머지 노선들의 경우에는 '진짜로 돈이 없어서 저러는 것이다.' 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다.(...)
  10. 일반입석노선의 선형을 따르면서 정차정류장만 줄인 노선과 입석노선의 운행거리를 늘린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11. 실질적으로는 대전시내버스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운영회사가 대전시내버스 운영회사인 경익운수의 자회사 경익버스가 운영하고, 도색도 대전시내버스 도색규칙과 동일한 데다, 특히 대전시내버스/지하철과 환승도 되고 무엇보다 버스정보시스템이 대전시내버스와 통합되어 있다.
  12. 단 대전역 동광장~건양대병원 사거리까지만 주요정류장에 정차하고, 나머지 계룡까지 외곽부분 정류장은 전부 정차한다.
  13. 대전의 급행버스는 도시형이며, 요금도 일반 버스 요금을 받고 있다.
  14. 대전시내버스 202번과 공동배차.
  15. 유니버스와 FX 시리즈를 집어넣을 수 있는 노선. 그렇기에 일반 좌석버스인 58-1, 203, 221는 빠진다.
  16. 원래 일반좌석버스였으나 2013년 9월 7일자로 직행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
  17. 원래 일반좌석버스였으나 2013년 5월 1일자로 직행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
  18. 원래 일반좌석버스였으나 2015년 4월 25일자로 직행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
  19. 19.0 19.1 19.2 원래 일반좌석버스였으나 2014년 7월 11일자로 직행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