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간선버스지선버스마을버스광역버스순환버스심야버스
폐선 목록
간선지선마을맞춤광역순환
개편 전
0번대100번대200번대300번대400번대500번대
600번대700번대800번대900번대1000번대 이후맞춤버스
마을버스
한정면허 (특수 체계)
공항버스시티투어

1 개요

여기에는 폐선, 통합, 변경 등으로 인해 번호가 소멸된 노선을 기재하는 공간으로, 추가할 때는 오름차순으로 추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편 당시 계획에 들어있었으나 실제로 운행하지 않았거나 노선이 바뀐 경우는 제외합니다. 362번처럼 사라졌다가 환원된 번호도 제외합니다. 단 100번처럼 아예 다른 노선으로 부활한 번호는 넣을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 문서인 만큼, 마을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폐선된 마을버스의 경우,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문서를 이용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폐선 사유에서 노선의 흑자, 적자에 대해서는 될 수 있으면 기재하지 않도록 합니다.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주간선버스는 (☆)으로 표시합니다.

2 100(한국BRT)(☆)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0.jpg
출처 위 차량은 폐선 후 140번으로 넘어간 후 2014년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도봉산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고려대학교 - 신설동역 - 종로6 ~ 2가 - 무교동(종로1가)[1]

개편 초창기에는 도봉산에서 출발해서 쌍문역,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성신여자대학교를 거쳐 성대입구 → 창경궁 → 광장시장 → 을지로4,3가 → 종로3,4가 → 종로5가 → 대학로 순으로 회차했던 노선이었는데, 150번160번 이외에도 엄청나게 많았던 도봉/미아로 - 종로 노선 때문에 장사가 잘 되지 않았다. 그래서 미아사거리역 - 창경궁로/대학로 구간을 종암동 - 신설동 구간으로 변경했고[2] 그렇게 잘 다니던 도중이었는데, 동사의 360번 증차문제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저 노선은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인기 노선이었고, 따라서 증차가 필요했는데 서울특별시청의 정책 때문에 순수증차가 불가능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한국brt의 노선들 중에는 딱히 차를 뺄 여유가 있는 노선이 없었다. 따라서 101번을 변경하는 대신에 2010년 1월 8일부로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다만 회차 방식은 세종대로네거리 → 금호아시아나그룹 본사 →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 → 서대문역(농협 본사) → 경찰청 → 서소문, 시청역 → 세종대로네거리이며,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무교동 회차의 전통은 의정부 버스 111이 이어가고 있다. 청계천에 차 대놓고 쉬는 전통은 없었지만

140번, 150번, 160번과 달리 미아로를 전 구간 운행하지 않고 종암동, 고려대, 신설동로타리, 종로를 경유하여 종로1가(종각역네거리)에서 P자형(엄밀한 의미의 P턴과는 거리가 있지만)으로 회차하던 노선이었다.

3 103(한성여객)

700px
위 차량은 1144번으로 넘어간 후, 2008년에 대차되었다. 출처

서울 버스 100 문서 참조. 현재 103번은 구 1016번이 연장과 단축을 거치면서 생겨난 노선으로, 이 노선과는 무관하다.

4 108(태릉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8.jpg
출처
해당 차량은 2010년에 조기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불암동 - 삼육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네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서울시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도로교통공단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을지로 - YTN/숭례문 - 서울역환승센터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광초교 → 용산중고교 → 우리은행 후암동지점 → 후암동주민센터 → 후암동우체국 → 후암삼거리 → 남대문경찰서 → YTN/숭례문 - 이후 역순

구 도시형 45번. 번호만 바뀐 채 잘 운행했지만, 2005년 9월 10일에 당시 광역 9101번이 현 108번으로 형간전환할 때 남는 번호가 없어서 차고지가 남양주시 별내면으로 번호 변경이 만만한 이 번호를 가지고 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다시 한 번 번호가 변경. 서울 버스 202 문서 참조.

5 149(한성여객)

700px
위 차량은 1140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서울 버스 100 문서 참조.

6 161(다모아자동차)(☆)

width=100%width=100%
위 차량들은 모두 대차되었고, 현재는 601번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도봉산역, 도봉동공영차고지 - 수유리 - 미아사거리 - (창경궁로→ / ←대학로) - 종로 - 서대문역(농협본사) - 연세대학교정문 - 성산대교 - 공항로 - 김포국제공항 - 방화동(공항버스 차고지)

2004년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6권역에서 거의 제대로 된, 사실상 유일한 종로 직통 노선이었던데다, 종로에서 끝나지 않고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있는 미아로까지 한 번에 가는 노선이었다. 게다가 강서구에서 출발하는 관계로 길이도 꽤 길어 줘서 6권역의 막차 기능에도 나름대로 충실했다.

하지만 다모아자동차 입장에서는 기사들의 처우 문제뿐만 아니라 자신의 본거지였던 마포구 상암동(그 전에는 은평구 수색동)이 아닌 저 멀리 강서구 방화동의 공항버스 차고지에다가 기점을 두고 있다 보니 이래저래 문제가 있었다. 결국 이런 저런 문제로 고심하던 다모아자동차에서는 6권역 구간 단축을 강하게 요구하였다.

이를 알게 된 강서구청에서는 극렬히 반대했고, 버스 동호인들의 반발도 극심했다. 강서구에서 종로로 바로 가는 몇 없는 노선이었고, 도심에서 강서구 방면으로 유일한 심야 노선이었기 때문.[3] 그 외에도 6권역에 버스 노선 부족하다는 것도 논리로 내세웠지만, 결국 2008년 12월 20일에 상암동공영차고지로 단축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1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리고 몇 년 후 710번수유역(강북구청)으로 다시 한 번 단축되어 도봉구를 완전히 떠났다.

다모아자동차는 161번 12대를 601번으로 이동시켜 강서구민들을 달래 보고자 했지만, 단축안이 현실이 되자 강서구의 교통 현실[4]을 개탄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한 마디로, 161번의 단축은 준공영제의 맹점 중 하나인 장거리 운행을 기피하려는 현상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7 170(동아운수)

700px
해당 차량은 152번으로 넘어간 후 2015년에 대차되었다. 출처

운행구간 : 우이동 - 화계사 - 수유리 - 정릉 - 국민대학교 - 상명대학교 - 연세대학교 - 연희동 - 대흥동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구 8번과 8-1번의 '우이동 - 수유역 - 미아사거리 - 국민대 - 평창동 - 세검정 - 유진상가 - 연희동 - 신촌' 구간을 가져와 신설하였다. 당시 인가대수는 33대였다.

사고위험으로 인해 2004년 11월 16일에 명물거리 경유에서 신촌기차역 경유로 변경하였다. 회차구간이 반대로 바뀐 셈.

신촌에서 만나는 동사 5711번의 문제로 인해[5] 2007년 4월 23일에 5711번과 통합되면서 153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8 200(메트로버스)(☆)

700px
위 차량은 2013년 서울승합과의 차돌리기로 351번으로 넘어간 후, 2014년에 대차되었다. 출처

운행구간 : 중랑공영차고지 -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신설동 - 종로 -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 - 서울역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신설되었다.

흥인지문과 동대문운동장까지만 운행하던 201번이 서울역으로 연장되면서[6] 노선 중복 문제가 대두되었다.[7]

2005년 3월 10일에 능산지하차도, 우림시장 대신 동성프라자, 중랑구청사거리, 신내지하차도 경유로 바뀌었다. 메트로버스 공지사항

2005년 5월 15일에 폐선되었다. 메트로버스 공지사항 기존 차량들은 다음날에 신설된 273번으로 이동했다.

9 203(대원교통)

width=100%width=100%
이 차량은 대차되어 241번에서 운행 중이다.이 차량은 대차되어 2016번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중랑공영차고지 -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신설동 - 종로 -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 - 서울역

구 9205번이 2006년 12월 1일에 망우리까지 단축되면서 형간전환한 노선이다. 관련 공지사항

딱 보면 알겠지만, 중복구간이 긴 노선이 너무 많다. 중랑공영차고지를 나가서 종각역에 이를 때까지 서울 버스 260과 100% 겹치고, 그리고 망우역부터는 서울 버스 201과 도심 회차까지 완벽히 겹쳤다. 이렇게 너무 대놓고 중복이 심하다보니 버스 동호인들도 203은 한 분기 이상 넘기기 힘들 거라는 것을 대놓고 예상할 정도였고[8], 결국 2007년 4월 23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에 운행하던 BH116은 운행하던 도중에 전부 신차로 교체되었고 나머지 차량들은 당시 신설된 241번으로 이동했다.

10 240A, 240B(대원교통)

width=100%width=100%
240A번. 이 차량은 대차된 후 241번으로 이동하였다.240B번. 출처

4212번의 '신내동~건대입구역' 구간이 단축된 후, 2009년 6월 20일부터 딱 3주 동안만 존재했던 노선이다.

기존 240번 차량은 구 4212번 대체용인 240A(면목로 경유)로, 폐선된 9202번의 차량을 빼서 만든 240B는 원래의 노선(면목천로 경유)으로 운행하다가, 240B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자, 7월 12일부로 240A는 다시 240번으로, 240B은 건대입구로 단축되어 2225번이 되었다.

11 241A, 241B(대원교통)

width=100%width=100%
241A번. 출처241B번. 출처

일부 신내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41번이 2010년 1월 8일에 상봉1동주민센터를 경유하는 A노선과 망우역을 경유하는 B노선으로 분리됐는데, 이 때문에 배차간격이 심하게 벌어지기도 했었다. 결국 3년 8개월 후인 2013년 9월 26일에 다시 통합했으며 현재는 B노선으로 다니고 있다. 즉, 2007년에 최초 신설됐을 당시로 돌아오게 된 셈. A노선은 2311번이 청량리까지 대체 중이다.

12 263(대흥교통)

650px

서울 버스 463 문서 참조.

13 300(메트로버스)(☆)

서울역까지 가던 노선과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역까지 가던 노선이 있었다. 두 노선 모두 서울 버스 300 문서를 참조.

14 304(신흥기업)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04.jpg
위 차량은 2415번으로 이동한 후 2008년에 대차되었다. 출처

서울 버스 3220 문서를 참조.

15 342(메트로버스)(☆)

서울 버스 300 문서를 참조.

16 342(서울승합)

위 차량은 2013년 메트로버스와의 차돌리기 때 넘어갔으며, 2016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서울 버스 351 문서를 참조.

17 352(태진운수)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 - 위례신도시24단지 - 송례중/송례초교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종합운동장 - 코엑스 - 청담역 - 프리마호텔 - 청담동명품거리 - 압구정로데오역 - 압구정역 - 현대고 - 신사동주민센터 - 한신한강아파트 - 신동초교 - 반포3동주민센터 - 뉴코아아울렛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역 - 국립현충원 - 한강현대아파트 - 흑석역 - 중앙대학교병원

노들로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 입석금지가 되면서 362번이 2014년 8월 4일에 중앙대학교로 단축되면서 부여받은 번호이다. 이 때 위례신도시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노들로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면서 2015년 10월 26일에 다시 여의도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362번으로 환원되었다. 다만 예전처럼 순복음교회 등은 경유하지 않으며, 여의교부터 국회의사당역까지 직진한 다음 회차한다.

18 361(서울승합)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61a.png
위 차량은 2013년 메트로버스와의 차돌리기로 이동한 후 2312번에서 운행 중이다. 출처

서울 버스 351 문서를 참조.

19 363(한서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63.jpg
출처
위 차량은 3217번으로 이동하였다.

서울 버스 350 문서를 참조.

20 371(신흥기업)

서울 버스 3220 문서를 참조.

21 400(한국BRT)(☆)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00.png
출처
해당 차량은 2004년식 차량이며 701번으로 이동 후 2015년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내곡동 -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광화문 - 서울역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140번을 따라 종로4가로 운행했으나 수요가 신통치 않아 서울역으로 변경했다.
중복 노선이 많아 2005년 4월 10일에 폐선되었다. 이는 x00번 주간선 노선 중 가장 빠른 폐선이었다.

이후 408번이 성남구간 단축으로 인해 이 경로를 답습하게 되었는데, 결국 폐선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22 405(도선여객)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05.jpg
출처
운행구간 : 개포동 - 영동세브란스 - KT영동지사 - 관세청 - 신사역 - 한남동 - 명동성당 - 을지로 - 서울역

대개편 때 도시형 222번이 단축되면서 생겨난 노선이다. 노선이 실로 애매했고, 인가댓수도 얼마 되지 않아 2005년 초에 폐선.
여담으로, 같은 회사에서 기종점이 완벽히 같은 노선을 운행한다. 물론 경유지는 다르다.

23 408(대성운수)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세곡동 - 내곡동-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광화문 - 서울역환승센터 - 을지로 - 남산1호터널 - 이후 역순
서울 버스 408 참조

24 410(동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10.jpg
출처

서울 버스 121 문서를 참조.

25 570(범일운수, 신성교통)

서울 버스 760 문서 참조.

26 607(신길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07.jpg
출처

서울 버스 673 문서를 참조.

27 642(김포교통)

운행구간 : 방화동 - 송정역 - 발산역 - 목동역 - 대림역 - 보라매역 - 노량진역 - 흑석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

2016년 7월 25일 642번이 노들역까지 단축됨에 따라 654번으로 변경되며 폐선. 서울 버스 654 참고.

28 660(서울교통네트웍)(☆)

위 차량은 160번으로 이동한 후, 2013년에 대차되었다.

서울 버스 670 문서를 참조.

29 700(다모아자동차)(☆)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0.png
출처
운행구간 :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모래내 - 신촌 - 충정로역 - 퇴계로/을지로 - 동대문운동장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연세대 - 이대부고 - 금화터널 - 영천시장으로 운행했다.

2005년 5월에 '동교동 - 신촌 - 이대역'으로 노선이 변경되었고, 이후 2005년 8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0 705(서부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5.jpg
(출처 : 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
운행구간 : 북가좌동 - 모래내우체국 - 가좌역 - (구)성산회관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아현역 - 서대문역 - 세종로사거리 - 종로1~6가 - 흥인지문 - 동묘앞역 - 창신역(회차)

서부운수의 간판 노선이었던 구 도시형 134번이 대개편을 거치며 변경된 노선이다. 뜬금없이 경희대와 외대가 아닌 창신동으로 변경되면서 애매모호한 노선이 되었으나, 강동공영차고지와 서울역을 오가던 구 300번이 폐선되면서 2005년 7월 16부로 동대문 - 신설동 - 천호대로 - 군자역 - 능동로 - 건대입구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를 계기로 서울 버스 721번으로 변경되었고, 다시 서부운수의 간판급 노선이 되었다.

31 707(제일여객)

위 차량은 704번720번 순으로 이동한 다음 2014년에 대차되어 다시 704번으로 넘어갔다. 출처

운행구간 : 다율리 - 교하/운정지구 - 야당리 - 송산동 - 이마트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마두역 - 백석역 - 대곡역 - 고양경찰서 - 화정역 - 화정지구 - 원당역 - 가시골 - 원흥삼거리 - 동산동 - 구파발역 - 불광역 - 무악재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광화문 → 적선동 → 독립문 → 이하 역순

구 907번 도시형버스(현 706번)에서 분리신설된 907-1번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9701번의 전신노선인 72-2번을 이기려고 신설했지만, 적은 인가대수로 인해 참패하였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712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에 9711번이 간선버스로 전환될 때 같이 전환되면서 번호도 707번으로 바뀌었다.

706번과 거의 대부분 동일했으나 일산신도시에서 706번과 달리 중앙로 직통(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경유)이었다. 하지만 수요가 부족했던 데다 배차간격마저 엉망진창이어서 2006년 12월 1일에 706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32 708(현대교통)

해당 차량은 7611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은평공영차고지 - 명지대 - 연대앞 - 안국동 → 명동롯데 → 남대문시장 → 시청 → 광화문 → 이하 역순

구 7020번이 수색/성산로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당시 지선노선은 짤없이 가변차로로 운행해야 했다. 하지만 이런 규칙은 7727과 7728이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 깨졌다.) 간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 때 부여받은 번호가 708번. 전환 당시에는 홍은동 - 남대문시장이라는 간선치고는 짧은 거리(당시 왕복 22km)로 인해 버스 동호인들의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후 2008년 12월 20일에 광화문광장 조성 교통 체증 해소를 이유로 을지로입구 - 광화문 단축 및 종로4가 연장이 이루어져 잘 다니던 도중 가스 충전 문제로 2011년 8월 기존 운행대수 그대로 수색으로 연장되는 바람에 배차관리가 어려워져 2012년 8월 28일부로 이대부고로 단축되면서 다시 지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16 참조.

33 730(신촌교통)

600px
위 차량은 2009년에 대차되었다.

서울 버스 740 문서를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원래는 140과 같이 도봉산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리 - 돈암동 - 혜화동 - 종로1~4가(도봉산행 대학로/종로5가 경유)를 운행했다.
  2. 개편 전 아진교통 2-1번과 비슷했다.
  3. 종로4가 기준으로 새벽 1시 20분. 지금은 N26번이 있어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4. 이 때는 9호선의 개통 7개월 전이었다.
  5. 서강대교 입구 노상에서 차량들이 대기하다 보니 이 구간의 교통 흐름에 지장을 상당히 많이 주었고, 신대방삼거리 밑으로는 152번과 완전히 중복되다 보니 노선 관리 면에서도 효율성이 그다지 없었다. 여기에 2005년부터 시작된 가스차량 의무출고가 결정타였다.
  6. 구리시에서 서울 시내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도록 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있었다.
  7. 신내동부터 종각역까지 260번과 100% 겹쳤고, 201번과는 망우역 - 서울역까지 100% 겹쳤다.
  8. 다만, 중복구간이 심한 노선들이 오히려 오래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408번-440번771번-7728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