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서 고고학이란?
성경의 내용을 기초로 팔레스타인 및 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종교 고고학의 한 분야. 팔레스타인이 중심이 되기에 팔레스타인 고고학이라고도 불린다. 기독교 유물의 진위여부와 유구와 유물에서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밝혀내는것. 또한 이러한것을 토대로 성경에 나온 지리의 위치를 확정하는것이 주요 활동 내역이다.
과거 기독교에서 성경의 내용이 사실이라는것을 증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고 보여지나, 현대에 와서는 과거 팔레스타인 지역의 문화나 역사를 검증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이 분야의 최대 업적은 사해문서를 발견한 것이다. 사해문서로 인해 고대 팔레스타인에 대한 자료가 많이 발굴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사해문서를 참조.
2 성서 고고학자
성서 고고학의 발생은 기독교가 지나칠 정도로 실증사학의 길을 따르려고 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다. 물론 실제 역사에 있어서 실증사학을 따르려는 것은 어긋난 일이 아니나, 기독교의 경우 종교이며, 그 바탕은 신화임에도 불구하고 성서에 기록되어있는 모든 역사적 사실이 실제라는 생각에 탄생한 고고학의 한 분야이며, 이 분야를 전공하는 분들을 성서 고고학자라고 한다. 기독교 관련 신학자들의 필수 전공 학문
초창기에는 홍해의 기적을 입증하려고 한다거나, 예수가 못박힌 골고다 언덕등을 찾으려 애를 썼지만, 진짜로 밝혀진 사실도있고(베데스다 연못) 거짓으로 판명난것도 있다 사실상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히기 전에 걸었던 고통의 길은 로마시대에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자신의 왕권강화를 위해 종교를 통합하면서 지정했던 길 중 하나였고 예수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과 같은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현재 성서 고고학자들은 성경에 기록되어있는 고고학적 유물들을 발견하면 그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진위여부를 밝히거나 새롭게 발견된 성서의 판본들을 해석하여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등의 일을 하며, 그에 따른 고대 팔레스타인의 문화나 역사등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중.
3 변종
문제는 이렇게 좋은 의도로 고고학에 딱히 문제 없게 일을 벌이는 학자들이 아니라, 몇몇 성서무오설을 맹신하는 학자들. 때문에 성서 고고학자는 두 가지로 나뉘게 되었다. 하나는 위에서 언급한, 성서 기록을 발굴의 단서로 삼아 관련한 것들을 발견하려고 하거나 성서나 기독교 관련 유물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학자들이며, 다른 하나는 성서 '고고학자'라고 쓰고, 예수쟁이라고 읽으면 되는 꼴통들이다. 서양판 환빠라고 봐도 된다.
전자는 진짜 학자이며 딱히 문제될 것이 없으며, 오히려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보여준다. 후자는 실재적인 단서를 가지고 하는 탐사가 아닌, "하나님의 실재적 증거는 있는데 우리가 못 찾는 것일 뿐"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고고학계를 망쳐놓는 짓들만 골라서 하는 골때리는 예수쟁이들이다. 전자의 경우에도 후자처럼 과거에는 고고학과 상반되는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실증적인 입증으로 돌아서서 진위 여부를 밝히거나 성서 속 이야기의 신화화와 실재성을 밝히는 것이 주요 모토이다.
전자의 경우 이미 언급했다시피 발굴된 성서의 해독은 수준급으로 매우 능수능란하다. 라틴어와 히브리어, 콥트어 등에 최적화되어있는 먼치킨 중의 먼치킨이다. 따라서, 성서의 진본 여부를 확인할 때에 자주 활동한다. 들어가기 힘들다는 바티칸 자료 보관고도 들락날락 잘하는 프로페셔널들. 이런 일이 필요한 이유는 무수한 외경이 아직도 발굴되고 있으며, 일부 혹은 대부분의 발굴자료는 영지주의 등의 이단이 기록한 경우도 많으므로 이 발굴된 사료가 확실히 역사적 종교적 가치가 있는지 분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분쟁지역인 이스라엘 과 그 주변 지역의 사료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요셉 이야기의 신빙성을 위해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하고 성서와 대조하기 위해 블레셋이라고 추정되는 지역의 고문자를 해석하며, 메소포타미아의 법과 성서의 율법의 차이성을 조사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이런 활동에 대해 제대로 된 반기독교나 무신론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비판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문제가 많다. 이들은 창조과학 혹은 성서무오설을 신봉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주장에는 노아의 홍수설이 실존했다고 하거나, 지구의 역사가 6000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등이 있는데 이런 비과학적 주장들을 과학적인 것 마냥 포장하는것이 문제다. 그래서 반기독교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비판받는다. 또한 종교적 관점을 떠나 진화론등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도 비판받는다.
인터넷상에 이런 유사과학적 주장을 들고오는 기독교인들이 많은데, 저자를 검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창조론자나, 목사, 위에서 언급된 후자의 자칭 성서 고고학자들이다. 그러나 성서고고학자라고 해서 무조건 신뢰성이 없는것은 아니다. '폴 존슨의 유대인의 역사' 라는 책을 쓴 저자의 경우 확실히 어느정도 이상의 신뢰를 보장하는 학자이다. 비록 이 책이 저자의 주관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나 유사과학이라고 덮어놓고 깔 만한 책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