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장면을 소림축구에서 본적이 있는 것 같은데...
국제명: Sepak Takraw 스펙터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Sepak(세팍)[1]
태국어: ตะกร้อ(따끄로)[2]
1 개요
배구와 축구의 혼합된 느낌의 구기. 한국의 족구와 비슷하다. 동남아 등지에서 널리 행해진다. 무협지마냥 공중날아차기를 해대는 기술들이 꽤나 화려한 스포츠. 세팍(sepak)은 말레이인도네시아어로 '차기(蹴)'라는 뜻이고 따끄로(ตะกร้อ)는 태국어로 '공(球)'이라는 뜻이다. 원래는 말레이시아와 태국 두 나라가 서로 세팍과 따끄로를 고집하며 이 이름으로 국제 대회를 치르자고 하며 갈등이 커서 두 단어를 합성한 세팍타크로로 국제 규격화해버렸다. 합쳤더니 '축구(蹴球)'가 돼 버렸다
대한민국의 족구와 유사하지만 서브를 넣을 때 보통 공을 바닥에 튕긴 후 날리는 족구와 달리 배구처럼 손에서 직접 차서 날리며 머리와 무릎 아래까지만 사용 가능한 족구와 달리 팔을 제외한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의 높이도 족구는 1미터 남짓인데 반해 세팍타크로는 1.5미터다. 또한 공중에 뜬 볼을 그대로 차거나 원바운드 후 차는 이지선다가 가능한 족구와 달리 배구처럼 공중에 뜬 볼만 찰 수 있다.
종주국으로는 흔히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치는데 양국 사이에 원조 논쟁이 있다. 그러나, 이웃 동남아 다른 나라들도 비슷한 역사가 있다고 이에 반론하지만 동남아에서 강호급인 두 나라 영향력에 묻혀 서로 종주국임을 주장하는 미얀마, 라오스와 같은 나라에서는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들 나라 외에 주로 동남아시아 나라에서 인기가 많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푸에르토리코(!) 등에서 인기가 있으며 동남아에서는 거의 NBA급 인기를 얻고 있다. 일단 세팍타크로 세계 연맹(ITSAF)이 있으며 75개국이 준가입한 상태이며 정식 가입국은 39개국(미국이나 캐나다, 영국같은 나라도 가입했다)이다. 그래도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 많이 하는 구기종목이라는 한계 때문인지,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은 안 되고 있다.
하지만 아시안 게임에서는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자리를 굳건하게 잡고 있다. 하지만 차기에 빠진다는 소문도 있어서 입지가 불안했다. 그러나 아시안 게임 연맹회장인 알 사바 회장은 2014년 9월 21일 인터뷰에서 카바디나 세팍타크로같이 아시아에서 나온 아시아를 상징하는 종목은 아시안 게임에 계속 남을 것이란 발언을 하면서 일단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에서는 문제없이 정식종목으로 남을 듯 하고 퇴출론은 없을 듯 하다.
아시안 게임 최강국가는 태국. 2014 인천 아시안 게임까지 남녀종목 다 합쳐 금메달 22개,은메달 5개, 동메달 1개를 받았다. 참고로 다른 나라 아시안 게임 금메달은 남녀 다 합쳐도 11개다. 2번째인 나라는 미얀마로 금메달 5개,은 8개, 동 10개. 말레이시아가 금 3,은 7, 동 5개. 베트남이 금 2,은 4개, 동 7개이며 한국이 금메달 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6개로 비동남아 나라에서 유일한 금메달 수상국가이자 가장 잘하고 있다. 그 밖에 중국이 은 3개, 동 9개, 일본과 인도네시아가 동메달만 8개, 라오스는 은메달 1개, 싱가포르가 동메달 6개,브루나이가 동메달 1개를 받았다.
2 공
가볍고 귀엽게 생긴 공이 특징. 작게 만든 것을 휴대 전화 고리로 쓰기도 한다. 과거에는 등나무를 짜서 만든 공[3]을 썼지만 요즘에는 다 플라스틱이다. 동남아에서 기념품으로도 팔고있다.
3 한국에서
위에 나오듯이 한국도 세팍타크로 강국이라족구가 생활스포츠 수준인데 강국이 아니면 그게 이상하지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부 서클 종목 금메달을 받은 바 있는데 당시 준우승한 태국은 한국이 편파편정으로 받았다고 징징거린 바 있다.(그러나 그 이전인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야말로 안방팀 태국이 편파편정이라는 비난 속에 세팍타크로 금메달을 받았다.) 더불어 여전히 실력이 녹슬지 않아서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선 미얀마에 이어 은메달을 받았다.
2012년 7월 2일부터 8일까지 방콕에서 열린 2012 세계선수권 대회에선 남자부 더블 종목에서 태국을 상대로 결승에서 3:1 완승을 거두며 사상 첫 금메달을 받아 태국 언론들이 부산 아시안 게임때와 달리 패배를 인정할 정도로 경악하게 만들었다. 참고로 태국 남자팀은 이 대회에서 그동안 더블 종목 3회 연속 금메달을 받았는데 안방에서 한국에게 졌으니 누가 뭐라고 해도 변명할 게 없었다.
뒤이어 남자 레구 종목에선 인도네시아를 제치고 금메달을 받으면서 이 대회에선 한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받아 비동남아권 나라에서 가장 강호로 인정받았다. 여자팀은 비록 더블 종목에선 태국에게 져서 준우승했으나 2:3까지 경기를 벌여 태국 여자팀 감독도 여자 한국선수들도 무시못한다고 인터뷰했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도 한국이 금메달을 기대할 종목이라는 평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인천 아시안 게임 결승까지 올라간 남자 더블 종목은 미얀마에게 0-2로 져서 은메달을 받았다.아쉽게도 레구에서도 태국에게 0-2로 덜미를 잡혀 은메달을 받았으며 여자 레구에서도 사상 처음으로 결승에 올랐으나 역시 태국에게 패해 은메달을 받았다. 비록 금메달을 못 받았으나 은메달만 3개 받은 걸 봐도 한국 실력은 역시 무시못한다.
한국 고등학교중에 일산의 저동고등학교등이 세팍타크로 특기생을 뽑으며 이외로 일산신도시쪽으로 가면 고등학교에 세팍타크로부를 취미활동부서로라도 두고있는 학교가 꽤 있다. 언론 중계도 안하고 국제대회 소식도 가려지고 이런 비인기종목인 상황에서도 한국이 유달리 강한 것을 동남아에서도 경악하고 있다고 하는데 역시 족구 영향이 큰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물론 동남아 사람들도 좋아하는 스포츠인 만큼, 우리나라에 오는 외국인 노동자들도 족구에 쉽게 적응한다. 다만 슛이 강렬하다.(..)
2013년 한국 세팍타크로 협회회장 선거를 두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비리로 해임된 수자원공사 전 사장이 회장선거에 출마했기 때문. 결국 이 인물이 선거를 통해 협회장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세팍타크로 협회 부회장까지 되어버렸다...
2014년 베트남에서 자국에서 개최하는 2019 하노이 아시안 게임에서 야구를 뺀다고 하면서 국내에선 동남아 종목인 세팍타크로를 따지는 경우포털에서 동남아 구기종목이라고 욕하면 그따위라면 야구도 동남아 동네종목이라고 맞글도 있었다. 하지만 세팍타크로는 위에 서술하듯이 한국도 금메달을 아시안게임에서 받았으며 중국,일본도 메달을 받은 만큼, 한국, 대만, 일본만이 메달을 계속 받는 야구랑 차원이 다르고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하기에 야구와 따질 수가 없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세팍타크로는 야구보다 저변확대가 훨씬 넓다. 뭐, 2014년 4월 베트남이 아시안 게임 개최를 반납하면서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으로 개최지가 바꿨고 위에 나온대로 세팍타크로는 주요 종목임을 밝히며 유지되었음을 OCA 회장이 밝혔다.
4 대중 문화에서
Go! Go! 십이지건와 미라클보이 풍생의 작가인 나카자키 토우가 세팍타크로를 주제로 한 만화 Let's Kick!을 그린 적이 있다. 물론 저 단행본은 그냥 단편집이고 첫 화만 세팍타크로 관련 이야기. 대략 인도네시아에서 전학을 온 여학생이 축구부에 들어가고 싶어하는 남학생들에게 세팍타크로를 가르치게 되어서 결국에는 세팍타크로 실력으로 축구부를 발라버리는 내용. 세팍타크로 공이 꽤 작다보니 세팍타크로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축구공이 엄청 커보여!"같은 드립까지 치게 된다. 이건 뭐 배드민턴 배워서 테니스 선수 이기는 소리도 아니고 두 개를 합치면 족구
캡틴 츠바사에서 태국 대표팀 가운데 3명이 세팍타크로 출신으로 세팍타크로의 특성을 살려서 발재간이 신묘하다는 설정이다.
마더에서 송새벽 배우가 연기한 막내 형사가 "세팍타크로라고... 아냐?"하면서 주인공 입에 사과를 물려놓고 사과만 발로 차며 심문하는 장면이 있다. 긴장감이 흐르는 장면에서 깨알같이 "이것이 세팍타크로의 묘미여"하는 광고개그가 봉준호감독 특유의 연출방식과 잘 어울려 호평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만화가 Anemone가 2012년 2월부터 여고 세팍타크로부를 소재로 한 만화 <Juicy Stars>를 연재중. 여기서 국역되고 있다.
한국 영화 족구왕은 족구가 소재이지만 중국어로는 족구가 '축구'를 뜻하고 한국의 족구는 마땅한 번역어가 없기 때문에 부득이 세팍타크로의 왕이란 뜻의 텅추왕(藤球王, 등구왕)으로 옮겨졌다.- ↑ 실제 한국인이 듣기에 원어 발음은 '쎄빡' 정도로 들린다. 하지만 여기서는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된소리 대신 거센소리를 써서 세팍으로 표기한다.
- ↑ 태국어에는 한국인의 귀에 된소리에 가깝게 들리는 자음(무성 무기음)과 거센소리에 가깝게 들리는 자음(무성 유기음)이 음운론적으로 구분이 된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타이어(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서 된소리의 표기를 인정하고 있다. 이는 다른 언어 대부분의 외래어 표기법에서 무성음의 된소리 표기가 거의 인정되지 않는 것과 대조적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타이어의 외래어 표기법, 그리고 실제 한국인들의 청각 인상에 가깝게 '따끄로'로 옮긴다. 다만 '세팍타크로'라는 종목명은 이미 이 한글 표기가 굳어져 있으므로 '세팍타크로'로 적는다.
- ↑ 그래서 세팍타크로를 중국어로 藤球(텅추, 한어병음: téngqiú, 한국 한자음: 등구)라고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