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氣音 / Aspirated consonant
- 상위 문서 : 언어 관련 정보
자음의 분류 | ||||||||||||||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마찰접근음 | 접근음 | ||||||||
탄음 | 전동음 | 설측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성대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유무 | 유기음 | 무기음 |
파열음에 기식([h]비슷한 소리)이 따라붙는 발음. 한국어에서는 거센소리 혹은 격음(激音)이라고도 부른다.
파일:Voice onset time 2015-11-22.png
발음기호로는 [pʰ]처럼 h를 윗첨자로 붙인 형태로 나타낸다.
초성예사소리(약한유기음) | 된소리(무기음) | 거센소리(강한유기음) |
ㄱ | ㄲ | ㅋ(ㄱ+ㅎ) |
ㄷ | ㄸ | ㅌ(ㄷ+ㅎ) |
ㅂ | ㅃ | ㅍ(ㅂ+ㅎ) |
ㅅ | ㅆ | (없음)[1][2] |
ㅈ | ㅉ | ㅊ(ㅈ+ㅎ) |
한국어 외에는 주로 중국에서 쓰이는 언어들(표준중국어 포함)과 태국어를 비롯한 대륙부[3] 동남아시아 언어들, 인도에서 쓰이는 언어들(타밀어 제외), 동부 아르메니아어, 조지아어 등에서 발견된다. 이중 힌디어같은 경우 유성유기음([bʱ, gʱ, dʱ, ʤʱ])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Gandhi이다. 고대에는 그리스어에도 유기파열음이 존재했다고 하지만 코이네 시대 이후로 θ, φ, χ는 모두 마찰음으로 바뀌었다. 'phone'처럼 영어 등에서 철자는 ph로 쓰는데 정작 발음이 /f/로 나는 단어들은 대부분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봐도 된다.
문자 | 기식 h | 성문의 긴장도 | 악센트 ' | |
이탈리아, 슬라브어의 무성음 | k,t, p, s 등 | 없음 | 없음 | 낮음 |
게르만어의 어두 파열음(Fortis) | k, t, p | 강함 | 없음 | 높음 |
게르만어의 어중 파열음(Fortis, Lenis) | k, t, p | 약함 | 없음 | 높음 |
유성음 | g, d, b, z 등 | 없음 | 있음 | 낮음 |
영어, 독일어를 위시한 게르만어파 언어들 대부분은[4] 무성파열음이 강세가 있는 단어나 문장 처음에서 이 소리로 나는 경우가 흔하다. 단, [sp]처럼 s가 뒤따라올때는 무기음으로 발음된다.[5] 물론 언어 전문가가 아닌 일반적인 화자들은 한국인들이 유성음-무성음 구별을 못하듯 이 차이를 구별 못하는 경우가 많다지만 덴마크어나 아이슬란드어, 스위스식 독일어의 경우 동양권 언어들처럼 유기음-무기음으로 강음(fortis)-약음(lenis)[6] 구별을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sp가 sb처럼 소리난다는 의식은 하는 편.
사실 순수하게 무성음-유성음 대립을 하는 언어들 중에서 무성파열음 기본값이 유기음인 언어는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 유럽의 게르만어파 언어들을 제외하면 터키어와 페르시아어, 서부 아르메니아어[7] 정도이다.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를 비롯한 몇몇 언어들은 'Preaspiration'이라는 개념도 존재한다. 쉽게 말하면 "ㅎ뜨, ㅎ끄, ㅎ쁘"처럼 나는 소리인데 당연히 표기도 유기음과 정반대이다 (/ʰp, ʰt, ʰk, ʰc/ 등)
사실 무기음-유기음 구별을 할 줄 아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하는 건 의외로 어두 예삿소리이다. 달-탈-딸 구분에서 탈과 딸은 어느정도 자국 음운에도 비슷한 게 있을 경우 얼른 구별하겠지만 '달'소리는 굉장히 미묘한지라 이들도 어떻게 발음해야 할지 어려워하는 건 다른 외국인들과 다를 바 없다고 한다.- ↑ 긴장도 낮은 ㅆ의 거센소리가 ㅅ이라는 견해도 있다. 사실 무기음이 ㅆ이고 유기음이 ㅅ이니 음성학적으론 기정사실이다. 다만 한국어 음운론의 보편적인 규칙성과는 반대로 유독 ㅅ만 예삿소리가 없는게 되니 분류를 꺼리는 것일 수도.
- ↑ ㅅ의 예사소리가 과거에 있덨던 자모인 ㅿ라는 견해도 있다.
- ↑ 도서부 동남아시아어들(마인어, 필리핀어 등)은 그냥 유성-무성 구분만 있다.
- ↑ 네덜란드어는 예외적으로 게르만어파에 속함에도 무기음으로 소리난다.
- ↑ 이는 다른 무성마찰음이 뒤따라오거나 강세가 없는 단어 중간에서 발음할때도 마찬가지이다.
- ↑ p, k, t를 강음, b, g, d를 약음으로 분류한다.
- ↑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달리 무성유기음-유성음 대립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