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 된 게으름뱅이

1 개요

판본에 따라 소가 된 잠꾸러기라고도 한다.

옛날 옛날에 게으름뱅이 어린이(판본에 따라선 청년)가 한 명 있었다. 주변에서 밥 먹고 자면 가 된다고 놀렸지만 게으름뱅이는 듣지 않았다. 오히려 소가 되면 풀만 뜯어먹고 느긋하게 살 수 있으니 좋지 않은가 하고 말하고 다닐 정도였다.

그러던 어느날 지나가던 할아버지가 나타나 쇠머리 모양으로 만든 을 하나 주면서 이걸 쓰면 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소가 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 게으름뱅이가 냉큼 쇠머리 탈을 쓰자 참말로 소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런데 그 할아버지는 이렇게 사람을 소로 만들어서 팔아먹는 꾼이었던 것이다. 할아버지는 게으름뱅이를 농부에게 팔아 먹고, "이 소는 를 먹으면 죽는다오."라는 말만 남기고 가버렸다.

농부에게 팔려가 일소가 된 게으름뱅이는 죽도록 일을 하고 또 일을 했으며 조금만 게으름을 피우면 를 맞았다. 너무나 고통스러운 나머지 게으름뱅이는 죽으려 했는데, 마침 우연히 를 보게 되자 노인이 했던 말이 생각나서 "에잇! 차라리 무를 먹고 죽자!"라고 결심하고 무를 우걱우걱 씹어먹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소가죽이 벗겨지고 사람으로 돌아온 것이었다. 사람이 돼서 집으로 돌아간 게으름뱅이는 그 뒤로는 열심히 일을 하면서 부지런하게 살았다는 훈훈한 결말. 어느 판본은 게으름뱅이가 복수하려고노인의 집에 들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때 노인의 집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다는 이야기가 중간에 삽입되기도 한다.

다른 버전으로는 도살장에 끌려가 백정에게 목이 따이기 직전에 아시발꿈하며 낮잠에서 깨어나는 결말도 있다.

어른들이 말씀하시는 "밥 먹고 바로 누우면 소가 된다."라는 얘기는 바로 이 동화에서 비롯된 말이다. 노동력이 부족했던 옛날(그것도 농기계도 없던 시절)에는 식곤증이 있다고 바로 잤다가는 귀중한 낮 시간을 허비하기 때문에 터부가 되었을 수도 있고, 의학적으로도 식후 바로 눕는 것은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기 딱 좋은 자세니 역시 조상님의 지혜.

러브라이브 1기 10화에서 호노카가 저녁밥을 먹고 소파에 눕자 우미가 "(밥 먹고)바로 누우면 소 돼요(いきなり 横になると牛になりますよ)"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일본에도 비슷한 말이 있는 듯.

그럴싸한데?[1]

2 각색판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에서도 이 에피소드가 나온다. 제목은 "소가 된 잠꾸러기"로 제11화. 다만 은비와 까비가 동화에 개입하는 컨셉 등으로 인해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소 탈을 만든 사람이 젊은 아저씨인데 사실 게으름뱅이 봉구(성우: 한인숙)의 게으른 버릇을 고치기 위해 은비가 까비를 변신시킨 것이다.

참고로 말하자면 봉구는 서당에서 졸다가 훈장에게 혼나면서 이런 명언을 남겼다.

"너는 낮에는 뭐하냐?"

"자요"
"그럼 밤에는?"
"밤에는 기본적으로 자요."

봉구는 자기집 소와 서로 뒤바뀌었고, 평소 엄한 성격의 아버지에게 게으름 때문에 종종 혼나곤 했는데 소가 되어서도 실수를 연발하자 아버지에게 "이놈의 소가 갑자기 왜 이래"하고 호되게 야단맞는다. 어머니는 소도 가족인데 불쌍하게 그러지 말라고 감싼다. 그러다 지쳐 쓰러지자 못 써먹겠다고 아버지는 결국 소(봉구)를 도살장에 팔러 간다.

하지만 소 장수가 한눈을 판 틈을 타 봉구는 도망치고 사람들이 잡으러 쫓아온다. 쫓아오는 사람들을 향해 바위를 밀어버리거나 하면서 필사적으로 도망친 봉구가 아버지 쪽으로 달려오자 아버지가 겁을 먹지만, 자신 앞에 멈춰서는 봉구를 보고 주인을 알아보는구나 하고 미안하다며 소를 팔지 않기로 한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이 쫓아와서 봉구는 도망치다가 으아아아아아아~~ 절벽으로 떨어지고 이어 꿈에서 깨어난다

봉구는 게으른 자신을 벌 주기 위해 이런 일이 일어났다고 여기고는 그 이후로는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부지런한 소년이 되었다.

전설의 고향에서도 나온바 있다. 여기에선 배우 김진태가 소가 된 게으름뱅이 농부를 연기했다. 그리고 옛 국민학교 시절 교과서에서도 실린 적이 있다.참고로 이 그림을 그리던 게 바로 이두호 화백!

고리타는 소가 되었던 게으름뱅이가 인도로 가서 호강한다는 만화를 그렸는데 인도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소라고 죄다 호강하는 게 아니다...소도 카스트가 있어 종류나 성별, 여러가지로 대우가 다르다....

이말년씨리즈에서는 아버지가 게으름뱅이 아들에게 "너 임마, 그렇게 인생 대충 헛살고 게으름 피우면 나중에 소 된다"라고 말하자 충격을 받은 아들이 자청해서 소가 되고자 한다(…). 아들의 바람을 무시할 수 없었던 아버지는 일하던 직장도 관두고 아들이 훌륭한 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몇 년후 일 안하고 빈둥거리던 아버지가 소가 되었다(…).

2차원 개그에서는 소가 되지 않으려고 엎드렸지만, 졸지에 TV가 되고 만다. 소(∧⊥)를 뒤집으면 TV(T∨)가 되기에 가능한 드립.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민폐도 이런 민폐가 없다. 졸지에 멀쩡한 소를 잃어버린 농부는 어디에 하소연 하면 좋단 말인가? 또, 게으름뱅이는 도살장에 끌려갔으면 피살될 뻔했다. 노인은 게으름뱅이의 동의도 없이 그를 죽일 뻔하고 수년간 학대받게 만든 것이다. 흔히 '소나 돼지만도 못한 대우를 받는다.'란 말이 있는데, 게으르다고해서 소로 만들어서 소와 같은 대우를 받게했다. 인간으로써 외양간에 살며 소여물을 먹는다는건 얼마나 굴욕적인가? 본격 귀축물 육노예 잔혹동화 그래서인지 게으름뱅이가 사람이 되어버리자 어이없어 하던 소주인이 소를 팔던 곳으로 가니 소를 샀던 돈이 남아있다는 덧붙이는 이야기도 있다....

  1. 해당 짤방의 원전 역시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