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베니아 톨라르

(슬로베니아 톨라에서 넘어옴)
유로존 국가의 유로화 도입 이전 통화
원년 멤버프랑스 프랑 (모나코 프랑)벨기에 프랑룩셈부르크 프랑
독일 마르크네덜란드 길더오스트리아 실링핀란드 마르카
이탈리아 리라 (바티칸 리라, 산마리노 리라)에스파냐 페세타포르투갈 에스쿠도
아일랜드 파운드그리스 드라크마
추가 멤버슬로베니아 톨라르몰타 리라키프로스 파운드슬로바키아 코루나
에스토니아 크론라트비아 라트리투아니아 리타스
남유럽의 통화
유로지브롤터 파운드
포르투갈 에스쿠도, 에스파냐 페세타, 모나코 프랑, 이탈리아 리라, 산마리노 리라, 바티칸 리라, 그리스 드라크마, 몰타 리라, 키프로스 파운드, 슬로베니아 톨라르
마케도니아 데나르알바니아 레크크로아티아 쿠나 (크로아티아 디나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르카 (디나라)세르비아(몬테네그로)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슬로베니아의 법정통화이었던 것. 2007년부터 슬로베니아는 유로로 전환하였으며, 유로의 공식 출범해인 2002년 이후로는 가장 처음이 되는 전환사례다. 교환비는 239.640톨라르/EUR.[1]
ISO 4217코드는 SIT 이 통화에 H를 도입하면 매우 곤란하다, 보조단위로 스토틴(Stotin)이 있었고, 동전도 출시했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했다. 복수형은 톨라랴(Tolarja)[2], 톨라례프(Tolarjev)와 스토티노프(Stotinov). 어원은 탈러(Thaler, 달러)의 발음상의 차이 뿐이라서 나름 달러($)계열 통화에 속하지만, 심하게 이질적인 탓에 아무도 그렇게 봐주지 않는다. 별도로 기호는 지정된 것이 없었다.
슬로베니아도 한때 유고슬라비아의 일원이어서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사용했었고, 1991년 발빠른 독립에 발맞춰 톨라르가 등장하였다.

1 임시발행권

600px
(스크롤 낭비를 막기 위해 부득이 회전할 수 밖에 없었다. 고개를 돌리며 보자.)
대개 1991년 시리즈로 불리지만 중앙은행측에서는 임시발행이라고 단정짓고 있다. 이때의 ISO 4217 코드는 SLT. 정확히는 10월 8일부터 도입되어 공식 발행권으로 대체될때 까지. (대략 1993년 이내가 된다.) 급히 발행한 탓인지 종류는 무척이나 다양한데 반해 죄다 위와 같은 무성의만 풍기는 생김새를 하고 있다. 참고로 모두 똑같은 무늬이며, 뒷면에는 숫자만 덩그러니 쓰여있다. 여담이지만, 통용권이 견양권보다 더 비싸게 거래되는 종류 중 하나. 이리되어버린 배경은 아무래도 유고슬라비아 내전 도중이었기 때문으로 유력히 추측된다. (비슷한 사례로 크로아티아 디나르가 있다. 1991년 6월,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동시에 유고연방을 탈퇴했기 때문.)
종류는 모두 12종류. 5000, 2000, 1000, 500, 200, 100, 50, 10, 5, 2, 1, 0.5톨라르까지 있지만... 2000톨라르, 0.5톨라르는 실제로는 통용되지 못한 미발행권이다.

2 공식발행권

통상 1992년 시리즈로 불린다. 1992년 9월 30일에 100/500/1000톨라르, 당해 11월 27일에 10톨라르, 28일에 20톨라르, 이듬해 2월 22일에 200톨라르, 당해 3월 19일에 50톨라르, 당해 12월 13일에 5000톨라르와 1000톨라르 개정판, 1995년 3월 15일에 10000톨라르까지 나오면서 완성되었다.

하얀 바탕과 오른쪽 인물이 배치되어 있는 기본적인 구성인데, 인물의 측면모습이 그림자 먹칠형태로 추가되어 있는것이 독특한 점이다. 다만 위 10000톨라르의 경우는 그림자 먹칠 대신에 글자로 채워넣은 비교적 더 특이한 케이스. 대개는 앞면과 뒷면의 도안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일부는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사족으로 50톨라르의 경우는 저액권이면서도 뒷면 대부분을 어두운 색으로 짙게 칠해놓은 용자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때문에 앞면까지도 색상이 살짝 비친다.)

앞면뒷면
300px10톨라르프리모쉬 트루바르 (Primož Trubar)
(16세기 작가 겸 칼럼니스트)[3]
우르슐린 교회(Uršulinska cerkev)
300px20톨라르야네즈 바이카르트 발바소르 (Janez Vajkard Valvasor)
(지리/지질학자)[4]
등고선과 삽화 "노동의 과실은 달다 (Dulcis ex labore fructus Vignette)"
300px50톨라르유리 베가 (Jurij Vega)
(수학교수 겸 군인)[5]
태양계와 국립 슬로베니아 과학예술아카데미 (Slovenska Akademija Znanosti in Umetnosti, SAZU)
300px100톨라르리하르트 야코피치 (Rihard Jakopič)
(인상파 화가)
리하르트의 작품 "태양 (Študija sonca)"
300px200톨라르야콥 페텔린 크란스키 (Jakob Petelin Kranjski)
(16세기의 기독교음악 전문 작곡가)[6]
필하모닉 음악당과 야콥의 악보 "Tenor Primus"
300px500톨라르요제 플레치니크 (Jože Plečnik)
(도시계획가 및 건축가)[7]
어떤 건물의 도면
300px1,000톨라르프란체 프레세렌 (France Prešeren)
(범 국민적 시인)[8]
프란체의 시 한 수
300px5,000톨라르이바나 코빌짜 (Ivana Koblica)
(사실주의 화가)[9]
국립 미술관(Narodna Galerija)
3개의 카르니올라 강의 탑
300px10,000톨라르이반 찬카르 (Ivan Cankar)
(근현대 작가)[10]
이반의 소설 "국화"와 실물 국화 그림

3 동전

1991년에는 급하게 만들어내느라 따로 동전을 주조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1993년 1월 1일부터 등장. 소개하기로는 1992년 시리즈로 되어있으나, 지폐부터 먼저 바꾸느라 1년 늦었다. 초기에 6종류(5톨라예프, 2톨라야, 1톨라르, 50, 20, 10스토티노프)가 등장했고, 10톨라예프가 2000년 4월 19일, 20/50톨라예프가 2003년 7월 7일에 등장하면서 지폐를 대체하였다. 인물 대신 동물을 떡하니 갖다 놓은 것이 특징.

2016년 12월 31일까지만 교환이 가능하며, 2017년부터는 통화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참고로 지폐는 기한제약이 없다.
  1. 약 6.3원/SIT이다.
  2. 숫자 "2"에만 사용한다. 슬로베니아어의 수 체계가 단수-양수-복수의 3가지로 되어 있기 때문.
  3. 소설이나 수필은 몰론, 슬로베니아어 교본까지 집필했다.
  4. 평범한 귀족이었지만, 유럽여행 도중에 카르스트 지형에 관해 발표한 연구자료 하나만으로 네임드가 되었고, 학회로 초청되어 지질학자로서 살게 되었다.
  5. 로그(Log)와 삼각함수의 작도법에 관심이 많았던 대수학의 선구자다. 수학계의 엄친아인 가우스가 그의 저서를 자주 참고했다고 한다. 그런데 군인이라서 전쟁터에 끌려가 사망.(...)
  6. 열렬한 라틴어빠라서 스스로를 "야고부스 갈루스 카르니올루스"따위로 개명해서 부를 정도였다고 한다. 흔한 창씨개명
  7. 빈, 프라하, 류블라냐를 돌며 건축물을 지었고, 지금도 대다수가 남아있다.
  8. 이름이 뭐예요? "프랑스"요. 어릴때 부터 영재교육을 받아와 법대에 들어가서 변호사로 지냈으나 현실은 시궁창. 그렇게 할 일 없어 지어본 시가 우연히 대박을 터트려 시인으로서 유명해졌다. 슬로베니아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류블라냐의 광장에 버젓이 그를 기리는 동상이 자리할 정도이며, 국가(歌)도 그의 작품이다.
  9. 슬로베니아 사람이지만, 당시 슬로베니아는 유럽 구석의 시골이나 다름없었던지라 파리, 빈, 사라예보, 베를린등을 순회하며 활동했다고 한다.
  10. 소설, 수필, 시는 기본에 칼럼과 사설까지 손을 댄 만능타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