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가와노미야의 문장
| | |
8대 당주 다카히토(幟仁) 친왕 | 9대 당주 다루히토(熾仁) 친왕 | 10대 당주 다케히토(威仁) 친왕 |
有栖川宮
일본에 존재했던 세습친왕가
1 개요
- 일본의 세습친왕가. 에도시대에 존재했던 4개의 세습친왕가[1] 중 3번째로 1625년에 창설되었으며, 1923년에 단절되었다.
- 세습친왕가에 대해서는 후시미노미야 항목에 간략히 서술되어 있다.
2 성립과 소멸
- 1625년 107대 고요제이 덴노(後陽成天皇)의 7남 요시히토(好仁) 친왕이 다카마쓰노미야(高松宮)를 창설한 것이 그 시초이다. 궁가의 이름은 요시히토 친왕의 할머니가 기거하던 건물의 이름 '高松殿'에서 땄다.
- 초대 당주 요시히토에게는 자식이 없어서 조카인 나가히토(良仁) 친왕[2]을 양자로 들였고, 그가 2대 당주가 되면서 궁가의 이름도 하나마치노미야(花町宮)로 변경하였다.
- 그리고 나가히토 친왕은 111대 고사이 덴노(後西天皇)로 즉위한다. 그러나 이는 뒷날 112대 레이겐 덴노(霊元天皇)가 되는 사토히토(識仁) 친왕이 너무 어려서 땜빵으로 맡은데 불과했다. 따라서 나가히토 친왕이 덴노로 즉위했지만 아들 유키히토(幸仁) 친왕은 차기덴노가 될 수 없었고, 궁가의 당주가 되는데 그쳐야 했다.
- 3대 당주가 된 유키히토 친왕은 다시 궁가의 이름을 아리스가와노미야(有栖川宮)로 바꾼다. 궁가의 명칭의 유래, 변경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교토에 아리스가와(有栖川)라는 지명이 있는 걸 보면 연관이 있는듯하다.
- 이후 유키히토 친왕의 아들인 다다히토(正仁) 친왕이 자식을 남기지 못하고 죽어서, 레이겐 덴노(霊元天皇)의 17남 요리히토(職仁) 친왕이 아리스가와 궁가의 5대 당주가 되었고 이후 그의 자손들이 대를 이었다.
- 8대 당주 다카히토(幟仁) 친왕과 9대 당주 다루히토(熾仁) 친왕이 특히 그러했는데, 한때 황위계승서열 2위 정도로 상당히 위상이 높았다. 덴노의 직궁가에는 황태자를 제외하고는 장성한 아들이 없다 보니, 덴노 자리가 방계 황족에게 넘어가기 일보직전이었기 때문이다. 후시미노미야 계통이 대부분인 방계 황족 가운데서 유독 아리스가와노미야만이 부계로 따졌을 때 다카히토 친왕 기준으로 메이지 덴노와 12촌으로 가장 가까웠다. 하지만 10대 다케히토(威仁) 친왕의 아들이자 후계자 다네히토(栽仁)왕이 일본해군병학교 생도시절 맹장염으로 요절하고 만다. 설상가상으로 구 황실전범 시행으로 양자를 들이는 것도 금지되어 단절이 확정된다. 마지막 당주 다케히토 친왕이 별세한 뒤에는 친왕의 미망인이 궁가의 당주로 대우받았고, 1923년 다케히토 친왕비 야스코(慰子)가 죽으면서 아리스가와노미야는 정식으로 단절되었다.
- 다이쇼 덴노는 아리스가와노미야가 사라지는 걸 안타깝게 생각해서, 자신의 3남인 데루노미야 노부히토(光宮 宣仁) 친왕이 아리스가와노미야를 원래의 명칭인 다카마쓰노미야의 이름으로 계승토록 했다. 또한 노부히토 친왕은 훗날 아리스가와노미야 가문의 마지막 당주 다케히토 친왕의 외손녀인 도쿠가와 키쿠코(德川喜久子)[3]와 결혼했다. 구황실전범상 덴노의 자식은 궁가의 양자로 보낼 수 없었기 때문에[4], 새로운 궁가를 창설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제사 및 재산을 계승하였다. 따라서 노부히토 친왕은 작은형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보다 먼저 궁가의 당주가 되었다.[5]
3 역대 당주
4 기타
- 아리스가와노미야 특유의 붓글씨 아리스가와류(有栖川流)가 있다. 이 서법은 궁가 내에서 대대로 전해왔으며, 다케히토 친왕의 외손녀인 다카마쓰노미야 키쿠코(喜久子) 비(妃)를 통해 지금은 아키시노노미야(秋篠宮) 가문에서 보유하고 있다. 자녀를 낳지 못한 키쿠코 비는 조카 아키히토 황태자의 차남인 아야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에게 이 서법을 가르쳤고, 어린 후미히토 친왕은 교본에 없는 글자를 질문하는 등 작은할머니 키쿠코 비에게 짓궂은 장난을 치기도 했지만, 작은할머니와 조카손자가 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 9대 당주 다루히토 친왕은 걸판의 배경이 된 이바라키 현 오아라이(大洗)에 있는 오아라이 이소사키(大洗磯前) 신사의 제2 도리이에 현판을 쓰기도 하였다. 이 도리이는 신사의 본전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시작 부분에 있는데, 걸장판에서도 현판은 나오지 않지만 해당 도리이가 묘사되기도 하였다. 아래는 해당 현판의 사진. 아리스가와류 서체가 어떠한지 구경할 수 있다.
[1]
- 10대 당주 다케히토 친왕은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다. 1907년 요시히토 황태자가 방한했을 때 수행차 와서 사진이 남아 있다.
- [8]
-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궁가인데다가, 이름이 주는 느낌이 서구적인 느낌을 주는지[9] 주인공 이름을 이 궁가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종종 있다. 소설가 아리스가와 아리스도 그 예시.
- 가끔 이 궁가의 계승자를 자처하는 사기사건이 벌어진다. 아래는 그중 가장 유명한 경우.
5 아리스가와노미야 사칭사건
2003년 4월에 일어난 황족 사칭사건. 아리스가와 궁가의 계승자를 자처하는 자가 가짜 결혼식을 올리고, 하객들에게 축의금 명목으로 거액의 돈을 뜯어낸 사기사건이다. 범인 기타노 야스유키(北野康行, 당시 41세)는 아리스가와 사토히토(有栖川 識仁)라는 이름으로 '아리스가와노미야 기념사업단'의 총재를 칭했다. 더불어 자칭 "전하". 그리고 공범인 사카모토 하루미(坂本晴美, 당시 45세)는 비(妃) 전하(...) 이들 둘은 애당초 혼인관계에 있지도 않은 사이로서, 일본의 보통 사람들도 일본 왕실의 일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했다.
특히 역대 당주들의 이름을 보면 통자인 히토(仁)외에 5대 요리히토 친왕 이후로 이름에 대체로 戈(창 과)가 들어가는 한자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사토히토(識仁)는 이 관례에 따라 지은 이름인데다, 자칭 '전하'께서는 노부히토(宣仁) 친왕의 사생아임을 주장했음, 교토의 한 호텔 레스토랑에서 생전의 노부히토 친왕으로부터 아들임을 인지받고 제사를 모시고 있다고 떠벌였다.
서자이지만 친왕의 아들이니 궁호 다카마쓰 대신 아리스가와라는 성을 쓰게 되었다고 나름 치밀한 이유를 제시했으니, 왕실에 대해 잘 아는 사람도 속아넘어갔을 정도. 여기에 극우단체까지 합세하면서 무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꼴통극우단체 일본청년사에서는 '사토히토'를 명예총재로 추대하기까지 했다.[10]
이들은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리면서 여기저기 청첩장을 돌렸는데, 여기에 낚인 사람들 가운데는 꽤 유명한 경제인, 연예인들도 섞여 있었다. 물론 가보고 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일본 경찰에 신고가 들어가면서 범죄가 드러나게 된다.
문제는 이때 키쿠코(喜久子) 비(妃)가 살아있었고 아직 아리스가와노미야를 사실상 계승한 다카마쓰노미야가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아리스가와노미야 가의 제사를 지낼 정통성이 없다. 게다가 현행 황실전범에서는 적계 적출의 황자 및 황손에게만 계승권을 인정하고 있기에 설령 그가 노부히토의 사생아라고 해도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낚인 사람들만 바보 한국에서는 MBC 서프라이즈에서 이 내용을 방송한 적이 있다.
이들 사기범들은 현재 2년 2개월 복역 후, 만기출소한 상태인데, 아직도 자신을 전하라고 부르며 조직재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런 류의 '황족사칭' 사기범들 가운데서는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 한편, 아리스가와 궁가의 당주를 주장하는 자칭 '아리스가와 치카히토(有栖川 親仁)'라는 작자도 있다. 딱 봐도 건달
이들의 사기에 넘어갈 한국인은 없겠지?
- ↑ 후시미노미야(伏見宮), 가츠라노미야(桂宮), 아리스가와노미야(有栖川宮), 간인노미야(閑院宮)
- ↑ 고미즈노오 덴노(後水尾天皇)의 아들
- ↑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손녀이기도 하다.
- ↑ 구 황실전범 42조 皇族ハ養子ヲ為スコトヲ得ス. 즉, 황족신분으로 있는 한 양자를 들일 수도 없고, 양자로 들어갈 수도 없다는 말. 참고로 현행 황실전범 9조도 마찬가지.
- ↑ 노부히토 친왕과 키쿠코 비가 자녀를 낳지 못하여, 다카마쓰노미야도 지금은 단절되었다.
- ↑ 111대 고사이 덴노(後西天皇)로 즉위했다
- ↑ 차녀 미에코(實枝子) 여왕만이 살아남아 도쿠가와 가문에 출가하여 키쿠코를 낳았고, 키쿠코는 다이쇼 덴노의 3남인 노부히토 친왕과 결혼했으나 자녀를 낳지는 못했다.
- ↑ 왼쪽부터 요시히토 황태자, 영친왕, 다케히토 친왕
- ↑ 아리스(アリス)=앨리스(Alice)
- ↑ 나중에 임기만료로 퇴임했다는 식으로 어물쩡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