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카마츠노미야 노부히토 친왕(高松宮 宣仁親王) | 다카마츠노미야의 문장[1] |
1 개요
1.1 탄생과 유년시절
1905년 1월 3일, 도쿄 고쿄의 아오야마 동궁어소(靑山東宮御所)[2]에서 다이쇼 덴노와 데이메이 황후의 3남으로 태어났다. 노부히토(宣仁)라는 이름을 하사받기 전에는 테루노미야(光宮)라는 칭호로 불렸으며, 1913년에 다카마쓰노미야(高松宮)라는 이름의 궁가를 창설한다. 궁가의 이름은 당시 단절 예정이었던 아리스가와노미야(有栖川宮) 가문의 옛 칭호인 다카마쓰노미야(高松宮)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의 7남 요시히토(好仁) 친왕이 친왕가를 창설하면서, 자신의 할머니인 신죠토몬인(新上東門院)이 기거하던 거처의 이름인 다카마쓰도노(高松殿)를 그대로 친왕가의 이름으로 정했던 데서 유래한다.</ref>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당시 일본 황실전범상 덴노의 아들은 친왕가(미야케)에 입양될 수 없었기 때문에 기존 친왕가의 이름을 자신의 궁호로 사용하여 그대로 계승하는 형식으로 했다. 다이쇼 덴노가 친왕가의 단절을 안타깝게 여겨 대신 그의 3남으로 하여금 아리스가와노미야를 계승하게 한 것이다.[3]
1920년에 가쿠슈인 중등과를 중퇴하고 여느 일본의 남성 황족처럼 군인의 길을 걷는다. 동년, 일본해군병학교에 입학한다. 1924년에 졸업하고 1925년에 일본 해군 소위로 임관한다.
1.2 결혼
딱 봐도 어머니인 데이메이 황후를 거의 판박이 수준으로 빼다 박았다.
1930년, 6살 연하의 도쿠가와 키쿠코(德川喜久子)와 결혼한다. 이 두 사람의 결혼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데, 노부히토 친왕은 단절된 아리스가와노미야의 실질적 계승자였고, 키쿠코 비는 에도 막부의 마지막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아들 도쿠가와 요시히사(德川慶久) 공작과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의 차녀인 미에코 여왕(實枝子女王)의 딸이다. 노부히토 친왕과 키쿠코의 조합은 어떻게 보면 매우 조화로우며(?) 공과 무의 합체(公武合體)의 의미도 지닌다.[4]
하지만 불행하게도 둘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5] 자녀를 낳지 못한 키쿠코 비는, 대신 조카 아키히토 황태자의 아이들을 손주처럼 귀여워하며 애정을 쏟았다. 후미히토 친왕에게는 친정어머니 미에코로부터 배운 서예[6]를 가르치기도 했으며, 노리노미야 사야코 공주의 결혼 과정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았다.
1.3 군인의 길
만주국의 수도 신경(新京)[7]에 위치한 신경역(新京驛)에서 만주국 황제 푸이(溥儀)와 만나는 노부히토 친왕
1934년에 해군대학교에 입학하고, 1935년에는 소령으로 진급한다. 1937년에 해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보직을 거치다가 1940년에는 중일전쟁 당시 종군기장(從軍記章)[8] 및 훈장을 받았다. 또 같은 해에 일본 해군 전함 히에이의 포술장(砲術長)[9]을 지내고, 동년 11월 15일에는 중령으로 진급한다. 포술장을 지낼 당시 부하 장교들에게 '자신에게 주어진 현재 임무가 무엇인지 잘 알면 위기는 닥치지 않는다' 라고 훈시했다고 한다.
1941년, 큰형 쇼와 덴노의 명에 따라 고쿄에서 가까운 요코스카(横須賀)의 해군 항공대의 강사를 맡았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을 때에는 군령부(軍領府) 부원과 대본영(大本営)[10] 해군 참모를 지냈다. 수하 장교로부터 군대가 안정되지 않았다는 말을 듣고 쇼와 덴노에게 신중하게 대처할 것을 조언했다.[11] 1942년에는 대령으로 진급했다.
당시에 그는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東久邇宮 稔彦王),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三笠宮 崇仁親王)와 같이 평화를 주장한 황족 중 하나였다. 측근들과 함께 당시 일본의 패전이 거의 확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전쟁을 진행하던 장본인이자 태평양 전쟁의 원흉인 도조 히데키 당시 총리를 암살하기 위해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12] 전쟁 말기에는 "이런 전쟁이 끝나려면, 덴노의 말은 무시해도 좋다." 라고 했다고 한다. 형보다 나은 동생 형이 무능하니 제가 한번 인류를 구원해 보겠습니다
무조건 항복 후 미군이 일본에 들어왔을 때, 그는 당시 총리인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의 부탁을 받아 끝까지 미국에 대해 항전을 주장하는 한 해군 항공대에 찾아가서 마음을 누그러뜨리도록 설득하기도 하였다.[13] 너희들 아직도 항복한 줄 모르니?
1.4 전쟁 후, 노년과 죽음
전쟁이 끝난 후 미군이 덴노의 직계 가족 이외의 모든 황족들을 신적강하시킬 때, 자신의 관저에 미군 간부들을 초청하여 쇼와 덴노의 의사를 전하고 천황제의 유지에도 노력했다. 더글러스 맥아더 : 형보다 동생이 훨배 낫네[14] 1970년 의민태자가 사망하자 한국에 조문을 오기도 하였다.
1953년에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秩父宮 雍仁親王)이 사망했을 때, 쇼와 덴노는 사정이 있어 그의 죽음을 보지 못했다.[15] 쇼와 덴노는 동생의 죽음을 보지 못한 것을 못내 후회하면서, 노부히토 친왕이 폐암으로 투병할 때 3차례의 문병을 갔다. 마지막 문병을 갔던 1987년 2월 3일에는 노부히토 친왕이 위독한 상태였다. 당시 쇼와 덴노가 노부히토 친왕을 보았을 때는 이미 의식을 잃은 상태였고, 쇼와 덴노는 동생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16] 그날 오후 1시 10분경 노부히토 친왕은 도쿄의 일본 적십자사 의료센터(日本赤十字社医療センター)[17]에서 사망하였다. 82세. 동년 2월 10일에 토시마오카 묘지(豊島岡墓地)[18]에 묻혔다.
2 인물상
기후 현(岐阜県)의 한 골프장에서 골프를 즐기는 노부히토 친왕
노부히토 친왕은 스포츠광이었으며, 특히 스키를 즐겼고, 경마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그 자신도 말 타는 것을 즐겼다고 하며, 일본의 유명한 경마 대회인 다카마쓰노미야배(高松宮杯)에 그를 기념하여 그의 궁호가 붙었다. 적십자 등 사회에도 공헌을 많이 하였으며, 특히 미국에서 본 모금, 기부 문화에 매료되어 일본에 그것들을 들여와 전파하기도 하였다. 또 어머니 데이메이 황후를 이어 나병 협회의 총재를 맡기도 하였다.
일본 해군 장교로 근무할 때, 황족이기 때문에 많은 특권을 누릴 수 있었으나, 그 자신은 타 군인들과 똑같은 대우를 받고 싶어하였고, 황족의 특권을 절대 남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한번은 해군 참모장이었던 아리마 가오루(有馬馨)가 노부히토 친왕을 위해 참모장실을 제공하고 고급 주류를 바쳤으나, 노부히토 친왕은 단호히 거절하고 절대 받지 않았다. 이에 아리마는 노부히토 친왕의 강직함에 크게 감탄하여 더 충성을 바쳤다고 한다.
표현하고 싶은 생각은 직설적으로 말하는 시원시원한 성격을 가졌으며, 동생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과 같이, 전쟁을 무리하게 진행하는 것을 매우 싫어했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평화주의자였다. 비록 일본 해군 장교로 복무했지만, 군인과 군대에 대해 쓴 소리를 하는 것을 삼가지 않았다고 한다.
1971년에 도쿄 이오지마(硫黄島)를 방문했는데, 그곳에는 전쟁이 휩쓸고 간 흔적이 있는 동굴이 있었다. 동굴 속에는 사람의 뼈가 여기저기 널려있었는데, 노부히토 친왕은 그에 아랑곳하지 않고 동굴에 들어가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다고 한다.
다만, 일본 황실 내에서는 황족이라는 부심이 강해서 그런지, 평민 출신의 조카며느리 미치코 황태자비와 그 친정아버지 쇼다 히데사부로(正田英三郞)를 평민이라는 이유로 무척 무시한 일화가 있다.
히데사부로는 닛신(日淸) 제분이라는 대기업을 운영하는 재벌이며 그의 처가인 소에지마(副島) 가문은 옛 화족이라서, 황족 및 화족들과도 친분이 있었다. 장녀 미치코를 아키히토 황태자에게 시집보낸 후의 일이었다. 히데사부로는 노부히토 친왕을 만나자 깍듯하게 인사했지만, 이전까지 인사를 잘 받아주던 노부히토 친왕은 히데사부로의 인사를 싹 무시했다고 한다. 한 마디로, 평민과 인척 관계가 되어 불쾌하다는 시위.
또한 미치코 황태자비가 2번째 임신을 했다가 유산되었을 때, 노부히토 친왕의 아내 키쿠코 비는 "황실의 후사" 운운하며 미치코 황태자비를 비난하기도 했다. 정작 키쿠코 비 본인은 임신조차 한 번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마음이 누그러져, 나중에는 미치코 황태자비와 친하게 지내고 그녀의 아이들을 귀여워했다고 한다.
종합해보면 일본 황실 인사 가운데 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모범적인 상식인이자 평화주의자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히로히토가 아닌 이 사람이 덴노였다면 일본, 더 나아가 세계의 역사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갔을 것으로 보여진다.하지만 덴노가 된다고 해도 후사를 이을 아들이 없다는 게 문제...
3 가족관계
조부 : 메이지 덴노
조모 : 야나기하라 나루코(柳原愛子)[19]
부 : 다이쇼 덴노
모 : 데이메이 황후
아내 : 키쿠코(喜久子)
큰형 : 쇼와 덴노
작은형 :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 ↑ 아리스가와노미야의 문장과 유사하게 만든 것으로, 아리스가와노미야를 계승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 ↑ 도쿄도 아카사카구(赤坂區)에 위치한 일본 황태자의 거처
- ↑ 형식상으로는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威仁) 친왕이 1913년 사망한 뒤, 부인 야스코(慰子) 친왕비가 1923년까지 친왕가를 지키다 사망하면서 아리스가와노미야는 공식적으로 단절되었다. 앞서 차대 당주가 될 예정이었던 다네히토(栽仁) 왕이 맹장염에 걸려 20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면서 후사가 아예 끊겼다. 그래서 노부히토 친왕이 다네히토 왕의 양자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다네히토 왕이 1887년생, 노부히토 친왕이 1905년생으로 아버지와 아들 뻘 되는 나이 차이다.
- ↑ 노부히토 친왕은 황족이므로 '공(公)'이라 할 수 있고, 키쿠코 비는 쇼군의 손녀로 '무(武)'가 집안이라고 할 수 있다.
- ↑ 이에 대해서는 노부히토 친왕이 일본해군병학교 재학 당시 한 동기생과의 동성애 성향 때문이라고도 한다.
- ↑ 아리스가와노미야 가문의 가업. 아리스가와노미야 가문에는 대대로 이어내려오는 '아리스가와 류 서도'라는 서예 기법이 있었다.
- ↑ 현재 중국 길림성 장춘시(長春市).
- ↑ 어떤 전쟁에 참가하면 그를 표창하기 위해 부여하는 기장이다. 공적에 따라 차등부여했음.
- ↑ 노부히토 친왕이 해군대학교 재학 당시 포술을 공부했기 때문이다.
- ↑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의 최고 통수 기관, 덴노의 직속 기관이기도 하여서, 덴노의 명에 따라 움직였다.
- ↑ 전후의 인터뷰에서, 노부히토 친왕은 "전쟁의 급박함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말했던 까닭은, 덴노의 친동생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말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 ↑ 정확히 말하자면 전쟁의 원흉인 도조 히데키를 암살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이후에는 도조의 최측근을 비롯한 주전파 대다수를 제거하고 군부 정권을 무너뜨려 전쟁을 멈추는 대규모 쿠데타까지 계획 중이었다고 한다.
- ↑ 특히 설득 내용이 대박인데, 그 항공대 대장이 부하들을 카미카제로 보내야 한다고 헛소리를 하자 "그럼 저 부하들을 이와모토 테츠조처럼 훈련시키고 카미카제를 시키는 건 어떤가?"라고 하자 말문을 닫아버렸다. 참고로 이와모토 테츠조는 일본군의 베스트 파일럿이었다.
- ↑ 실제로 미국에서는 히로히토를 처벌하고 노부히토나 아키히토를 옹립시키자는 여론도 많았었다.
- ↑ 야스히토 친왕은 결핵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감염을 우려한 주치의가 문병을 극구 말렸기 때문이다.
- ↑ 그 이후로도 쇼와 덴노는 꽤 오랫동안 노부히토의 죽음을 슬퍼했다. 사실 쇼와와 노부히토는 전후에도 노부히토가 쇼와의 전쟁 책임을 언급하며 퇴위를 요구하기까지 하는 등의 일로 인해, 관계가 영 좋지 못했다. 사람들이 추측하길 "아마도 쇼와 덴노는 전쟁을 그만두자던 노부히토의 말을 듣지 않았던 것을 줄곧 후회했을 것이고, 노부히토가 화낼 때마다 그를 볼 면목이 없었을 것"이라고 한다. 그 때문인지 실제로 쇼와는 노부히토에게 비난받을 때마다 별 대꾸도 못하고 조용히 있었다는데, 그렇게 자신이 저지른 잘못들을 언제나 직설적으로 꼬집고 쓴소리를 해주던 유일한 사람인 노부히토가 죽자 쇼와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지난 잘못들도 떠오르며 마음이 무거우면서도 허전했을 것이라는 얘기가 많았다. 실제로 미국 정부조차도 쇼와에게 면죄부를 주었고, 전후 일본 내에서도 쇼와의 전쟁 책임에 관한 언급만큼은 암묵적으로 금지되고, 심지어 그의 잘못을 정당화시키며 찬양하는 개막장 극우 세력도 있었던 상황에서, 오직 노부히토만이 쇼와의 잘못들을 곁에서 직접적으로 비판했으니 쇼와에게 그의 존재는 확실히 남달랐을 것이다.
- ↑ 1886년 11월에 개원한 일본의 대표적인 병원
- ↑ 덴노와 덴노의 황후 이외의 황족들이 묻히는 곳. 도쿄도 분쿄구(文京區)에 위치.
- ↑ 문학가 야나기하라 뱌쿠렌의 고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