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경제

남유럽의 경제
이베리아 반도이탈리아 반도발칸 반도
스페인/경제포르투갈/경제안도라/경제이탈리아/경제산마리노/경제바티칸/경제몰타/경제그리스/경제불가리아/경제루마니아/경제세르비아/경제알바니아/경제코소보/경제슬로베니아/경제크로아티아/경제마케도니아/경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경제몬테네그로/경제

320px-Tirana_Skanderbeg_Square.jpg

500px-Europe-Albania.svg.png

알바니아의 경제 정보[1]
인구2,893,005 명[2]2015년, 세계140위
경제 규모(명목 GDP)123억 달러(약 12조 원)2012년, 세계121위[3]
경제 규모(PPP)249억 달러(약 24조 원)2012년, 세계111위[4]
1인당 명목 GDP4,020 달러2011년, 세계104위[5]
1인당 PPP7,848달러2011년, 세계96위[6]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60.6%2012년[7]
실업16.9%2013년[8][9]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B12011년, 14등급[10]

1 개요

체제 전환 이후 알바니아는 1997년 발생한 금융사기 사건을 겪으면서 한동안 큰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후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이렇게 알바니아의 경제는 2000년대 중반 중고도 성장을 기록하다 유럽 재정 위기 사태와 함께 3% 내외 성장률을 기록하게 되었다. IMF는 이런 상황이 당분간은 계속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는 알바니아의 인구구조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 IMF의 보고서들에 따르면 알바니아는 재정정책을 잘 운영해 비교적 유럽발 재정 위기의 직격적인 피해를 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유로화 미사용+개도국 버프가 더 크게 작용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개도국 버프가 있다고 해도 정부가 재정 위기라는 주변국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개발정책을 밀어붙여 실효를 거둔 것은 사실이다. 개도국 버프가 있다면 알바니아가 실제 개발할 여지가 많았던 것이리라..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도로를 만들 지역은 얼마든지 있다. 알바니아는 만성적인 인프라 부족에 허덕이는 나라기 때문이다. 알바니아의 절묘한 위치 덕분에 여유로운 재정상황을 자랑하 그리스가 도로를 지어주겠다고 나서는 등 알바니아의 위치 덕을 보려는 주변국들의 움직임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IMF는 알바니아의 성장률이 점차 회복되어 2015년에는 5%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는 유럽 전체에서도 상당히 높은 수치다. 위기가 닥치기 직전인 2007년에 7.8%의 고성장을 기록하는 등 알바니아의 잠재력은 상당한 수준이다. 일단 당분간은 중진국 트랩에 신경쓰지 않고 정부주도 개발을 시행해도 괜찮은 단계이기도 하고.. 소득분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지니계수도 0.4 정도로 개도국 치고 낮은 편[11][12]. 정부 부채도 40% 아래로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부채 비율이 계속 감소하는 중.

실업률이 높은 편이다. 근로의욕이 높은 편인데도 인프라가 부족해 13~14% 정도의 높은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섹터별 GDP 구성이 농업:산업:서비스업=1:1:3 정도로 서비스업은 대단할 것 없이 보통 카페 종업원 등인 경우가 많다. 평균 임금은 500불 정도로 낮지만 이것도 10년 사이에 200불이나 증가한 것이다. 소비액이 꽤 많은 편. 부가가치세가 20%인데 소비 부가가치세로도 정부지출 전체를 충당하고도 상당히 많이 남는다. 최신 지표로 하면 정부지출 이후에도 1000억 레크가 남는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대략 1조 2천억원 정도. 그래서 한국에서도 알바니아인 노동자가 공장에서 일하는 경우를 가끔 볼 수 있다.

이외에 절대빈곤 인구가 12.5%이다. 즉 일 $1 또는 $2 이하로 살아가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8분의 1이라는 말. 무역은 이탈리아에 많이 의존한다. 수출의 45%, 수입의 33%가 대이탈리아 무역이다.

2 산업 구조

3 무역

3.1 주요 수출 지역

 ※ 2006년 알바니아의 주요 수출 지역

4 관련 항목

  1. http://en.wikipedia.org/wiki/Albania
  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
  3.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
  4.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
  5.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
  6.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per_capita
  7.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8. http://www.imf.org/external/pubs/ft/scr/2012/cr12100.pdf
  9.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unemployment_rate
  10.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credit_rating
  11. 증가하고 있기는 하다. 2005년 26.7에서 많이 상승. 2008년 기준 상위 10%가 국민 소득/소비의 30%를, 하위 10%가 3.5%를 차지하는 상황. 다만 경제성장시 지니계수 악화는 어쩔 수 없는 부작용이라는 주장도 있으니 유념할 것
  12. 사족으로, 영문 위키백과는 2013년 1월 10일 기준 2005년의 지니계수를 기록해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