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티칸/경제

남유럽의 경제
이베리아 반도이탈리아 반도발칸 반도
스페인/경제포르투갈/경제안도라/경제이탈리아/경제산마리노/경제바티칸/경제몰타/경제그리스/경제불가리아/경제루마니아/경제세르비아/경제알바니아/경제코소보/경제슬로베니아/경제크로아티아/경제마케도니아/경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경제몬테네그로/경제

320px-0_Chapelle_Sixtine_-_Palais_du_Belv%C3%A9d%C3%A8re_et_Mus%C3%A9es_du_Vatican.JPG

1 개요

바티칸은 인구가 800여 명에 불과한 세계 최소 사이즈 국가이다. 때문에 경제 분야도 독특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즉 농업이나 광공업 같은 1, 2차 산업은 물론이고 통상적인 상업 경제 구조도 가지지 않는다. 세계 각국의 세속화와 신자 및 성소자 수 감소, 국제 선교의 증가와 각종 복지 사업,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최와 유지에 따른 비용 지출 증가로 1970년부터 바티칸의 재정 수익은 불안해지기 시작했고 이러한 상황은 1992년까지 지속되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시기에는 재정 건전화가 큰 문제가 되었다.

하여 바티칸에서는 1998년 회계감사제도를 사상 처음으로 도입, 시행했다. 이후 1996년에 헌금의 증대를 시도하여 재정 수익의 증대를 도모했다. 이 방법은 꽤 성공적이어서 이후 바티칸의 재정은 흑자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2005년 기준으로 바티칸의 재정 수입은 2억 4,700만 달러(약 2,760억 )이며 재정지출은 2억 4,300만 달러(약 2,710억 원)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국가기준에서 꽤나 약소하지만 바티칸 입장에서는 성공적인 흑자재정이라고 볼 수 있다. [1]

베네딕토 16세 교황 재임기(2005.4~2013.2)에 바티칸 은행과 마피아 간의 뒷돈 거래 등에 관한 폭로로 바티칸 '국가' 경제의 재무구조가 불투명하다는 비판과 신뢰성 위기에 직면하자 후임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무구조의 투명화와 바티칸 은행의 경영체제 개선, 마피아와의 거래에 대한 규제 및 제한 등 바티칸 국가의 재정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 산업 구조

바티칸의 경제구조는 신자들의 기부금, 교황청 소유의 대지 등을 임대하는 부동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추가로 바티칸 은행도 존재하는데 여기서 투자사업이 벌어진다. 관광수입은 대부분 우표, 출판물, 메달 판매 수익과 박물관 입장료 등으로 채워진다.

3 관련 항목

  1. 매년 전세계에서 수많은 관광객들이 바티칸을 찾고, 관광 수입, 헌금 등을 받지만 국토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나라답게 시스티나 소성당 내의 벽화들과 바티칸 박물관, 성 베드로 대성당 등 각종 문화재 보수에 매년 어마어마한 돈이 들어간다. 이것 때문에 미켈란젤로천지창조 벽화를 보수할 때 그 비용을 모두 대준 NHK에 10년간 해당 작품의 독점권이 넘어가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도 하였다. 이 정도로 바티칸의 재정 상태는 항상 아슬아슬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