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서니 이든

역대 영국 총리
Great-Britain-United-Kingdom-Emblem.png
63대64대65대
윈스턴 처칠앤서니 이든해럴드 맥밀런
풀네임Sir Robert Anthony Eden, 1st Earl of Avon
(1대 에이번 백작, 로버트 앤서니 이든 경)
출신 정당보수당
생몰연도1897년 6월 12일 ~ 1977년 1월 14일
재임기간1955년 4월 7일 ~ 1957년 1월 10일

1 개요

영국의 보수당 계열 정치인. 2차대전 시기 외무장관을 지내면서 명성을 떨쳤으며 전후였던 1955년부터 1957년 사이의 2년 동안에는 영국의 수상직을 지냈다. 외무장관으로의 명성과 달리 수상으로의 평가는 0점에 가까운 안습의 인물.[1]

2 생애

1897년 유서깊은 젠트리 가문에서 태어났다. 부잣집 도련님들이 으레 그러했듯이 그 역시 정해진 명문코스를 밟아나갔고 이튼에 진학한다. 이튼에 재학중이었던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이든 역시 노블리스 오블리주에 걸맞게 왕립근위보병대에 자원입대하고, 벨기에 전선에서 세운 전공을 바탕으로 십자훈장을 수여받는 한편 소령으로 진급한다.[2][3]

전쟁 말기부터 이든은 본격적으로 정계 진출을 고려하기 시작했지만 1918년 영국에서 시행된 총선은 아직 1차대전이 끝나기 전에 실시됐기 때문에 이든은 선거에 출마하지 못했고, 종전 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로 진학하여 동양어를 전공한다. 옥스퍼드 졸업 이후 정계에 투신하여 1922년 하원의원에 당선되었고 1931년에는 램지 맥도널드 내각의 외무부 장관으로 입각되면서 주요 정치인 중 하나로 부상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나치가 부상하더니, 급기야 정권을 장악하고 공격적인 대외정책을 수립하면서 유럽에서는 점점 전운이 짙어지던 때였고, 외무장관으로 이든의 책임은 막중했다. 외무장관 재임 초기 이든은 대부분의 1차대전 참전자들이 그러했듯이 반전을 무엇보다도 우선시했고, 국제연맹을 통한 평화 유지를 위해 동분서주했다. 하지만 스페인 내전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을 거치면서 파시스트에 대한 이든의 의구심은 점차 커져만 갔고, 결국 1938년 히틀러를 둘러싼 네빌 체임벌린 내각의 유화정책에 반발하여 이든은 외무장관직을 사퇴한다.[4]

이든이 외무장관직을 사퇴한 지 1년 후 과연 2차대전이 터졌고, 1차대전 참전용사였던 이든은 소령의 신분으로 군대에 복귀한다. 예비군 소령으로 동원 대기중이었던 상황에서 전시 내각을 수립한 윈스턴 처칠이 이든을 다시 외무장관으로 임명하면서 이후 20년의 걸친 두 사람 사이의 정치적 이인삼각이 시작된다.[5] 중요한 외교 사안은 총리였던 처칠이 프랭클린 루스벨트이오시프 스탈린과 직접 회담을 통하여 방향을 정했기 때문에 이든의 권한이 그리 막강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든에 대한 처칠의 신뢰는 굳건했고, 이든 역시 처칠에게 충성을 다하면서 궂은 일을 도맡아해냈다. 소련에 밀사로 파견되어 랜드리스, 제2전선과 같은 전쟁 수행 문제의 막후 협상을 행했던 것도 이든이었고 늘 으르렁거렸던 샤를 드 골과 처칠의 관계를 중재했던 것도 이든이었다.

2차대전 종전 이후로도 이든은 처칠의 든든한 정치적 동반자였고 1951년 처칠이 세번째로 수상직에 올랐을 때는 외무장관을 맡음과 동시에 부수상까지 역임하게 된다. 1955년 4월 처칠이 정계에서 은퇴하자 마침내 이든이 영국의 수상직에 오르게 된다.

2.1 총리 재임 시기

총리직에 오르자마자 시행된 선거에서 이든이 이끄는 보수당은 클레멘트 애틀리가 이끄는 노동당을 40석의 의석 차이로 여유있게 제쳐버렸고, 그렇게 이든의 앞날은 탄탄대로처럼 보였다. 하지만 이든 내각이 채택한 긴축정책은 영국인들의 불만을 샀고[6], 결정적으로 물품세를 20%나 한 번에 인상해버린 것이 불만에 불을 붙였다. 그리고 흔들리던 이든 내각에게 치명타를 날린 것은 바로 중동 문제였다.

1954년 2월 이집트에서 소장파 장교 가말 나세르가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에 오른다. 대통령에 오른 가말 나세르는 당시 이집트의 적대국이었던 이스라엘과의 군비경쟁을 보다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미국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미국 역시 소련이 중동으로 세력을 뻗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세르를 우군으로 삼는 데 적극적이었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나세르는 미국을 버리고 동유럽에서 무기를 수입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심기가 불편해진 미국은 이집트에 차관을 제공하는 것을 거부해버린다. 차관 제공 거부에 격분한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선언해버렸다.

당시 영국은 수출입의 30% 가량을 수에즈 운하를 이용하여 진행하고 있었고 수에즈 운하가 막힌다면 이는 영국에게 극대한 타격으로 다가올 것이었다. 결국 이든 내각은 프랑스, 이스라엘과 협력관계를 맺고 이집트를 공격하는 초강경 대응을 택한다. 이집트 공격 자체는 군사적으로 성공적이었지만, 제국주의 시기에나 자행되던 내정간섭이 벌건 대낮에 자행됐다는 사실은 영국 내외에서 엄청난 비판에 맞닥뜨려야만 했다. 급기야 영국의 우방 미국 조차도 영국을 비판하기 시작했고 영국은 딱히 안쪽팔린 것처럼, 애써 태연하게 행동하면서 이 일대에서 군사를 철수해야만 했다.

이런 국제적인 망신으로 이든의 정치적 위신은 엄청난 손상을 입게 됐고, 결국 1957년 이든은 반강제적으로 수상직에서 사퇴해야만 했다.[7] 이든이 수상직에서 사퇴하기 직전 마지막으로 행한 연설은 "당신들은 나를 버렸습니다. 나를 버렸습니다."(...) 안습 이든의 후임 총리로는 해럴드 맥밀런이 지명된다.

총리직 사퇴 이후 회고록 저술과 여행 등에 전념하던 이든은 1977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난다. 여담으로 그는 2차 대전 와중에 장관직을 지낸 인물 중 가장 최후까지 생존했던 인물이었다.

3 이야기거리

  • 낯을 무척 가리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대중 연설을 싫어했던 건 당연하고 심지어 내각 각료들과 만나는 것도 부끄러워 했을 정도라고...[8]
  • 셰익스피어 덕후였다고 한다. 엥간한 전문가보다도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었을 정도. 상술한 낯 가리는 성격도 대화 떡밥이 '셰익스피어' 일 경우에는 눈 녹듯이 사라졌다고...
  • 아들 사이먼 개스코인 이든은 전투기 조종사였는데, 1945년 6월 종전을 코앞에 두고 버마 전선에서 실종됐다. 아들과 각별한 사이였던 앤서니 이든은 이 사실에 큰 충격을 받지만 담담히 외무장관으로의 책무를 다했다. 반면 이든의 아내는 아들의 실종 소식을 받아들이지 못했고 결국 두 사람은 이혼을 하고 만다. 한편 또다른 아들이었던 니콜라스 이든은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받았지만 1984년 에이즈로 사망하고 만다. 정말 처참한 자식농사(...)
  • 베니토 무솔리니에게 잘근잘근 씹힌 적이 있다.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이탈리아가 국제연맹에서 나서는 것을 영국이 뜯어말렸을 때의 상황인데, 무솔리니는 이든을 가리켜 '유럽에서 가장 옷을 잘 입는 멍청이'라고 비웃었다. 반면 니키타 흐루쇼프는 이든을 '세기의 거물'이라고 대단히 호평했다고 전해진다.
  • 외국어의 귀재였다고 한다. 외교관이라면 당연히 해야할 불어[9] 기본 탑재였고 독일어, 중국어 심지어는 페르시아어까지 할 줄 알았다고 한다. 그것도 단순히 할 줄 아는 정도가 아니라 네이티브 스피커급이었다고(...) 실제로 아돌프 히틀러, 저우언라이와 회담할 때 통역관이 딱히 필요하지 않았을 정도지만 외교 예절상 통역관을 대동했다고 전해진다.
  1. 아닌게 아니라 영국 역사학자들이 뽑은 20세기 최악의 영국 총리였다(...)
  2. 당시 영국 육군 전체에서 최연소 소령이었다고 한다. 전공이 상당했던 모양. 근데 정작 본인은 1차대전 시기 자신의 전공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고.. 겸손도 하여라
  3. 여담이지만 전쟁말기였던 2차 이프르전투에서 부대 배치를 따져보면 이든의 부대와 히틀러의 부대가 정면으로 대치중이었다. 두 사람이 전쟁터에서 맞닥뜨렸을 가능성도 꽤 크다고 한다. 흠좀무. 그때 죽여버렸어야 하는데
  4. 다만 오늘날에는 학계 일부에서 이든이 대독일 유화정책에 반발하여 외무장관직을 사퇴한 게 아니라 체임벌린이 독단적으로 외교정책을 펼쳐서 이에 삐져서(...) 사퇴한 것이라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정확한 정보를 아는 사람이 수정바람.
  5. 훗날 처칠은 회고록에서 '이든이 1938년 외무장관직에서 사퇴하던 날 너무 기뻐서 잠을 못잤다'(물론 짤려서 기쁜게 아니라 정치적 동지를 얻어서 기뻤다는 것이다.)는 문장을 남겨놓았지만 사학자들의 반응은 '처칠 양반, 또 오바섞인 기록 남기셨네' 정도(...) 1938년 시점에서 처칠과 이든은 대독 정책을 제외하면 정치적으로 공통분모가 없는 남남 사이였다.
  6. 애틀리 내각 이후로 복지국가를 선언한 영국은 이 시기에 이르면 거의 모든 산업과 기구가 국유화됐던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긴축정책을 펼치니 경제가 얼어붙을 수 밖에....
  7. 이든으로는 총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보수당 중진들이 사퇴압박을 장난아니게 넣었다.
  8. 심지어 내각 회의에 참가한 횟수보다 자신을 보좌하는 비서들과의 회의에 더 많이 참석했을 정도.
  9. 지금도 프랑스어는 UN 공식 언어로 꼽힐 정도로 중요한 언어이지만, 이든이 활동한 20세기 초중반에는 더해서 현대의 영어가 차지하는 위치보다 더 중요한 국제 언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