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덕 위의 구름

1 시바 료타로의 장편소설

음모와 악행으로 얼룩진 일본 근대사 중에서 일본인들이 가장 그림자 없이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시기, 중간에 세이난 전쟁이라든지 류큐 처분이라든지 임오군란이라든지 갑신정변이라든지 을미사변이라든지 동학농민운동이라든지 하는 사소한 사건들이 있는 것 같긴 하지만 넘어가자 메이지 유신 직후부터 러일전쟁 승리 까지를 그려낸 장편 역사소설.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산케이 신문에 연재하였으며 연재 기간에 맞춰 6권의 단행본을 출판하였다. 1978년에는 문고판으로 8권이 출판되었다.
러시아 해군을 격파하는데 일조한 유능한 해군장교 아키야마 사네유키, 육상전투에서 활약한 기병장교 아키야마 요시후루, 메이지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가인 마사오카 시키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 소설의 진정한 주인공은 그 시대 자체. 아키야마가 존경했던 후쿠자와 유키치는 근대화의 아이콘으로 나온다.

시바 료타로는 이 시기를 매우 낙천적인 시절이라고 표현했다.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그리고 세계가 놀랄 정도로 빠른 근대화 속도를 보여줬고, 러일전쟁에서 세계가 깜짝 놀란 승리를 거뒀다는 점에서, 그리고 직접적으로 말은 하지 않지만 이 시대로 말미암아 조선을 강탈하고 거대한 일본제국을 건설하는 토대를 이뤘다는 점에서, 일본인 스스로 보기에 이보다 더 신나는 시절은 없었을 것이다.[1]

하지만 이 소설은 청일전쟁러일전쟁 시기 일본 육군과 해군에서 복무한 형제 주인공을 통해 일본이 전쟁을 발판으로 근대국가로 성장했다는 논리를 펴고 있어 학계에서는 "침략전쟁의 성격을 은폐하고 미화한 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김응교 숙명여대 교양교육원 교수는 "일본 우익 역사관의 근저에 있는 것이 시바 료타로"라며 "한국과 중국은 근대화에 실패한 나라이고 일본은 성공한 나라라는 점을 대비하는 것이 시바 료타로 역사관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시바 료타로는 이 소설을 통해 메이지 시대를 '앞만 보고 가는' 체질이었다고 기술하면서, 이 소설로 현대 일본인들의 기운을 북돋아주고자 하였다. 상당히 잘 쓰여진 역사 소설이며, 특히 러일전쟁 부분은 박진감이 넘치게 묘사되었다.

시바 료타로는 러일전쟁 이후의 시대도 소설로 쓰려고 하였으나 자료 조사 도중에 포기하였다. 시바 료타로가 역사소설을 쓰게 된 계기가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경험한 전쟁 체험이었고, 자신이 체험한 제국주의 일본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만일 내가 쇼와 시대를 소설로 쓰게 되면, 제정신을 잃고 죽어버릴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러일전쟁 다음에는 만주사변중일전쟁 등인데, 이 시대의 주인공으로 내세울만한 일본 사람들이 죄다 음흉하고 악랄한 인물들 뿐이니... 밝고 진취적인 인물상을 좋아하는 시바에게는 곤욕이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실제로 이 소설 이후의 일본인들(특히 쇼와시대)은 메이지 시대의 번영을 먹어치웠다고 묘사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명문각이라는 출판사에서 번역하여 출판되었다. 그 당시 상황을 생각하면 아무리 봐도 정발은 아닌 듯 하고 해적판일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식민지화에 대한 묘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번역 출판할 생각을 한 건지도 모르겠다. 어쨋든 광고도 때리고 대학교 도서실에도 들어오는 등 꽤나 많이 발행된 듯 하다.

이 작품은 동서문화사의 소설 대망의 마지막 시리즈다. 34권부터 36권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대망=도쿠가와 이에야스로 이해가 되는데 사실 대망은 여러 소설의 모음집이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그중 첫번째 수록작품일뿐이다.

2 NHK 대하 드라마

1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2009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년에 걸쳐 방영하였다.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사람들의 우정과 열정과 꿈을 그린 드라마. 그리고 조선을 강제로 병탄했지

원작을 연재할 당시 시바 료타로 본인에게 작품을 영상해 달라는 청원이 빗발쳤으나 료타로는 작품의 스케일을 제대로 묘사하기가 곤란하다며 영상화를 거부하였다. 시바 료타로가 사망한 이후 료타로 기념 재단에서 1999년 영상화를 허가하였고, 2002년 제작을 시작하였으나 주요 제작진의 사망과 사임 등으로 난항을 겪었다. 결국 2007년 촬영을 시작하여 2009년 11월 29일 방영을 시작하였다.

참고로 조선에 관한 내용을 기대했다면 포기해라. 청일 전쟁을 앞두고 '새가슴' 이토 히로부미가 청국군대가 두려워 일본군의 파병규모를 줄이려고 용쓰는 장면에서 그냥 언급되는게 거의 전부다. 다만 실제로 아키야마 대장이 조선에 주둔했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조선이 나올만한 분량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예상대로 안나왔다

주인공 3인은 제국주의와는 거리를 두고 있고 청일 전쟁 에피소드에서는 청나라 국민을 탄압하는 일본군이 나오며 등장인물들의 입을 통해서 '지금 일본은 조선과 청나라에 그들이 원하지 않는 근대화를 수출하려고 한다, 이 것은 분명히 이상한 친절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비판하는 장면이 나오는 것을 보면 분명히 막가는 드라마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일본인의 입장에서 본 일본의 상승기이기 때문에 한국인 입장에선 근본적으로 거북한 내용이다.

한해 만에 제작하기엔 부담스러운 프로젝트였는지, 전 화를 3부로 나누어서 1년에 1부씩 만들어 방영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매년 12월 중순부터 3부를 방영했다.[2]

1부(2009년 방영): 1화~5화
2부(2010년 방영): 6화~9화
3부(2011년 방영): 10화~13화

1화당 1시간 30분이다.

막대한 돈을 들인 덕분에 3부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해전 장면이 영화 수준에 버금간다고 한다. 전반적으로 영화 수준이다. 3부의 쓰시마 해전은 물론이고 1,2,3부가 다 그렇다. 쓰시마 해전 및 주요 지상전을 담은 영상[3][4]

그리고 배우들도 초호화판이다. 웬만한 일드에서 봤음직한 주연급들이 여기선 조연으로 등장한다. 흡사 중국의 대하드라마 '건국대업' 수준이라고 보면된다.

러시아의 유명 여배우 마리나 알렉산드로바가 러시아 여인 아리아즈나 역으로 출연했다.[5]

3 언덕위의 구름과 관련한 이상한 역사관

청일전쟁과 관련하여 이상한 소리가 나돌고 있는데, 그 근원을 추적하면 대개가 이 언덕위의 구름과 연관되어 있다. 그 이상한 소리를 대충 요약하면 '일본은 청의 위협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조선을 침탈했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계속해서 제국주의화 되었다'는 요지이다.

이게 왜 말이 안되냐면 이미 청일전쟁 이전부터 제국주의의 기운이 흘러넘쳤기 때문이다.

청일전쟁이 개전된것이 1894년이고, 그 이전인 1885년부터 참모차장 가와카미가 기밀수집을 하는 등 전쟁에 대한 준비를 해나가기 시작하는데, 1879년에 류쿠 병탄이 일어나고, 1874년에 대만 침공이 벌어졌다.

1874년의 대만 침공 시기에 일본은 거의 대만을 먹을뻔하게 되나, 청의 압박에 의해 이를 물리게 된다.
1879년의 류쿠병탄때에는 류쿠제도는 이때까지만 해도 청과 일본의 양국에 조공을 바치는 독립국이었다. 하지만 일본에 의해 합병될 위기에 처하자 청국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청이 무시하면서 합병이 되어버렸다.

또한 강화도 조약의 경우도 윤요호 사건의 배경에서 보여지듯 강제성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미 1860년대부터 정한론이 대두되어 이후 1880년대 까지 꾸준히 주장되어 오는 등, 일본의 대륙침략과 제국주의 기질은 청일전쟁 전부터 뿌리깊게 내려오고 있었다.
  1. 그러나 야스히코 요시카즈 같은 작가는 이 시기의 그림자를 그린 왕도의 개를 집필, 바로 이 즈음(정확히는 청일전쟁)이 '근대 국가 일본은 대체 언제부터 잘못되었단 말인가'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이라고 역설하기도 했다.
  2. NHK 대하드라마가 보통 48부~50부작으로 편성되서 매년 1월에 첫 방영하기때문에 연말에는 공백기가 생긴다.(보통은 50부작을 편집한 요약본을 재방영하지만...) 1년이 52주라서 그렇다.
  3. 영상 전체가 언덕 위의 구름에서 따온 것은 아닌데 쓰시마 해전 부분의 러시아측의 모습은 러시아 영화인 '제독'에서 따 왔다.
  4. 영상에서 나오는 배경음악은 Two Steps From HellProtector of Earth(지구의 수호자). 영상을 더욱 웅장하게 만든다.
  5. 2014년작 러시아 사극 예카테리나에서 예카테리나 2세역으로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