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사투리 | ||||
북부 | 육진 방언 | 동북 방언 | 서북 방언 | |
중부 | 황해 방언 | 서울 방언 | 경기 방언 | 영동 방언 |
남부 | 충청 방언 | 동남 방언 | 서남 방언 | 제주 방언 |
해외 | 중앙아시아 한국어 | 중국 조선어 | 재일 한국어 | 미주 한인어 |
강릉시 우추리 동네 이장님 방송. 이해가 어렵다면 자막판을 보자.
목차
1 개요
흔히 ‘강원도 방언’이라 부르는 영동 방언은 대한민국의 [강원도]], 경상북도 울진, 그리고 정평군 이남의 함경남도에서 사용하는 사투리다.
강원도의 방언은 크게 영동/영서 방언으로 구분하는데, 영서 방언은 예전부터 경기도나 서울 같은 큰 도시랑 교류가 많아서 그런지 경기도 방언이랑 거의 차이점을 찾을 수가 없다. 그래서 영서 방언은 경기 방언과 마찬가지로 중부 방언으로 분류한다.
반면 ‘강원도 방언’으로 알려져 있는 영동 방언은 억양이나 표현이 영서 방언과 뚜렷이 구별된다. 다만 이때 영동과 영서는 지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문화적인 구분에 따른 것으로, 정선군과 평창군, 영월군[1] 등 자연지리적으로는 영서 지방에 속하나 문화적으로는 영동 지방에 속하는 지역은 영동 방언을 사용한다.[2] 하지만 강원도 영동 북부지역은 방언이 심하지않다 다만 억양이 표준어랑 조금씩 다를 뿐 속초, 고성 지방은 6.25 전쟁 때 실향민들이 정착해 북한 쪽 억양을 쓰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경북 지역 사투리와 혼용되는 사투리가 은근히 있는편이다. 예를 들어 고양이를 고네이라 그러듯이 이렇게 국어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옛 고유 우리말의 흔적을 많이 찾을 수 있다고 하는데, 아직까지도 방 보고 구둘이니 부엌 보고 정재니 정구지니 화장실 보고 정나니 하는데, 지금 들으면 좀 촌스러운 감이 있기 때문에 일리 있는 말이기도 하다.
보통 사투리가 다들 그렇겠지만 강원도에서도 이제는 젊은 층은 사투리를 거의 안 쓴다고 한다. 이게 대관령에 도로가 뚫리기 전까지는 종종 사투리 썼다고들 하던데 뚫리고 나서는... 하지만 젊은 사람들은 사투리는 안 쓰고 표준어 쓴다 해도 억양에는 남아있다고 한다. 물론 스스로는 인지를 하지 못 한다는게 함정.[3] 사실 평상시 대화에는 느낄 수 없는데 특정 단어에서 억양이 묘하게 남아 있다. 영서보다는 영동으로 가면 갈수록 느껴지는데, 농담 좀 보태면 서울에 갓 올라온 지방사람들의 서울 말투를 생각하면 된다.
TV나 대중매체에서는 영화 웰컴 투 동막골에서 나오는 여주인공이 강원도 방언 쓰는 걸로 나와 있다. 그런데 영화 작가가 고증을 발로 한건지 (...) 강원도 토박이들이 보기에는 조금 억지스러운 사투리가 많이 있다. 사투리긴 한데 이 말이 삼척 사투리이었다 강릉이었다 정선이었다 정체성이... 여하튼 그 이후로는 강원도 사람들이 서울 사람이나 다른 지방사람들 만날 적에는 "제가 강원도 사람입니다" 라고 말하면 다들 "무릎이 마이 아파~(...)" 같은 영화에서 나오는 대사 한번 써보라고 그러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진짜 강원도 사투리는 그게 아니고 원래대로 하면 "고뱅이가 아파요."라고 한다. 애초에 영화에서 사투리 고증이 날림으로 된 것도 있지만 그렇게 말하면 경상도 사람들 보고 부산 사투리 쓴다는거나 다름 없다. 당연히 경상도 사투리에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사실 이 문서 내에서도 사투리 정체성이 오락가락한 게 정신이 없다.[4]
그리고 추노에 나온 업복이도 강원도 사투리를 쓴다고 하지만 이 업복이가 쓰는 사투리는 함경도 사투리랑 묘하게 섞여 있다. 영동이 북으로는 함경도랑 닿았으니 그럴 수도 있다. 통천에서 온 노인도 비슷한 사투리를 쓴다.
업복이도 그렇고, 지도를 보면 대충 알 수 있을 터인데, 영동지방이 북으로 함경도 남으로 경상도니, 사실 억양이 순한 편은 아니다. 사투리 네이티브들이 떠드는 걸 가만히 들어 보면 시끄럽고 억세다. 근데 그것이 또 사납게 느껴지진 않는 게 강원도 사람들 말솜씨가 어수룩하고 순박해서 그렇다. 물론 처음 듣는 사람들한테는 좀 무섭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여타 지방에 따라서는 말수가 적고 단답형으로 딱딱 끊어지기도 하는 경우도 있다. 근데 강원도 억양은 억센데 막상 들어보면 별 얘기 아니라고 한다(...) 아주 단순한 얘기도 저렇게 싸우듯이 말한다. 대표적인 말투가 영월 억양인데, 흡사 영화에 나오는 전투적인 이북 사투리처럼 들려서, 이쪽 사람들이서 얘기 나누는 걸 듣고 새터민들이 떠드는 줄 알았다거나 간첩인 줄 알고 신고할 뻔한 사례도 있다고 한다(...)
강원도 사투리의 특징이라면 특징인데 영동 지방은 존댓말 쓸 때 남녀 구분이 있다. 남자한테는 표준어처럼 하십시오체를 사용하는데, 여자한테는 하오체를 사용한다. 그렇다고 해서 쌩판 모르는 사람이나 이웃 아주머니한테 그러다간 뺨 맞을 일이고 보통은 친족끼리 사용한다. 버릇이 없어 보일 수도 있는데 "어무이요, 내가 밥을 먹었잖소." 하는 거 보면 정겹고 좋다. 다만 이것은 강릉을 포함한 삼척에서도 이런다. 거의 표준어에 가깝게 말하는 요즘 젊은 사람들은 잘 안 쓴다.
또 일본어의 잔재가 방언에 남아있는데 이것들을 사투리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종종 있다. 양파를 다마네기, 오징어를 이까라고 부르는 것이 그 예. 하도 오랫동안 사용되다보니 이게 고장 사투리인줄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어서 일본어라고 지적하면 사투리라고 우기며 싸움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있지만 택시를 다꾸시나 접시를 오사라로 부르는 경우는 다 알면서도 귀찮아서 그냥 그렇게 부른다(...)
사투리 잘 모르는 젊은이가 작성해서 이 항목은 부족한 점이 많이 있다. 또 되는 대로 최대한 다양한 사투리를 포함하고 표현하려고 통일성도 없는데 강원도 사시는 사람들, 특히 영동권에서 사투리 잘 쓰는 위키니트가 수정바람, 추가바람.
2 어휘
3 방언 적용 버전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2E8B57;padding:6px 10px 10px" {{{#!wiki style="margin-bottom: 8px;" }}}{{{#!wiki style="margin-top: -4px; margin-right:10px; margin-left:0px;" 이 문단은 {{{#!html <a href="https://namu.wiki/topic/@토론번호@">이 토론</a>}}}에서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추가 토론 없이 수정할 경우 문서 훼손으로 간주되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틀:토론 합의/설명문서}}
고저 먼저 이 믄서는 그놈의 암묵의 룰 땜시 갱원도 방언으로 작성되었라요. 참고하고 보소.이라케 보믄 갱원도 사투리가 요, 소해서 부드러워 보이는데 억양이 부드럽지 안써요
드래요는 강원도에서 쓰는 말이 아니라요. 드래요는 갱원도에서 씨는 말이 아니라요.[5]
고저 흔히 ‘갱원도 방언’이라고 하는 영동 방언은 대한민국의 강원도, 경상북도 울진, 그리고 정평군 이남의 함경남도에서 사용하는 사투리래요. 갱원도 말은 크게 영동/영서 방언으로 구분하는데 영서 방언은 예전부터 경기도나 서울 같은 큰 도시랑 교류가 많아서 그런지 경기도 방언이랑 거진 차이점을 찾을 수가 읎아요. 그래서 영서 방언은 경기도 말이랑 똑같은 중부 방언이래요.
반면 ‘갱원도 방언’으로 알려져 있는 영동 방언은 억양이나 표현이 영서 방언과 뚜렷이 구별되는 말이라요. 다만 이때 영동과 영서는 지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문화적인 구분이여요 그래서 자연[6]지리즉으로는 영서 지방이래도 문화적으로는 영동 지방인 정선군, 평창군, 영월군[7]에서는 마컨 영동 말을 써요.[8] 공부하는 분들은 옛 고유 우리말의 흔적을 마이 찾을 수 있다고 하는데 내 생각에도 아직까지도 방 보고 구둘이니 부엌 보고 정재니 정구지니 똥뚜깐을 보고 정나니[9] 하면서 좀 촌시럽긴 한 게 그런 것도 같아요.[10]
보통 사투리가 다들 그렇겠지만 강원도에서도 이제는 젊은 층은 사투리를 거진 안 쓴다고 해도 된다 하더와. 이기 대관령에 도로가 뚫리기 즌까지는 마카 사투리 썼다고들 하던데 뚫리고 나서는... 하지만 고저 젊은 아들은 사투리는 안 쓰고 표준어 쓴다와 그래도 억양에는 남아있다고 하더와. 문제는 그 억양을 인지하지 못한다는게 함정이라제요. 사실 평상시 대화에는 거진 느낄수 없는데 특정 단어에서 억양이 싸하게 남아있사. 영서보다는 영동으로 가면 갈수록 느껴진대요. 농담 좀 보태면 서울에 갓 올라온 지방사람들의 서울 말투를 생각하면 된다고 하더와. 갱릉사름드른 지들이 표준어 쓰는 줄 알아요.
TV나 대중매체에서는 영화 웰컴 투 동막골에서 나오는 여주인공 [11]이 강원도 방언 쓰는 걸로 나와 있잖아요? 그런데 고저 영화 작가가 고증을 발로 한건지 (...) 강원도 토박이들이 보기에는 조금 억지스러운 사투리가 마이 이싸요. 사투리긴 한데 이기 삼측이었다 갱릉이었다 쩡선이었다 정체성이... 여하튼 그 이후로는 강원도 사람들이 서울 사람이나 다른 지방사람들 만날 적에는 "제가 강원도 사람입니다" 라고 말하면 다들 "무릎이 마이 아파~(...)" 같은 영화에서 나오는 대사 한번 써보라고 그러는 경우가 마이 있는 모양이던데, 아이고.. 진짜 강원도 사투리는 그기 아이라니 (...) 원래대로 하면 고뱅이가 아파요라고요. 애초에 영화에서 사투리 고증이 날림으로 된 것도 있지만 그렇게 말하면 경상도 사람들 보고 마컨 부산 사투리 쓴다는거나 다름이 없잖소? 당연히 경상도 사투리에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틴데... 사실 이 문서 내에서도 사투리 정체성이 오락가락한 게 정신이 없잖소. 보시는 분들도 좀 두서가 없더라도 그러려니 하시우야. [12]
아, 그리고 추노에 나온 업복이도 강원도 사투리를 쓴다고 하던데 이 업복이가 쓰는 사투리는 함경도 사투리랑 묘하게 섞인 것 같다고 하더와. 영동이 북으로는 함경도랑 닿았으니 그럴 수도 있을 기래요, 통천에서 오신 할머이만 해도...
업복이도 그렇고, 지도를 보면 마카 알 수 있을 낀데 영동지방이 북으로 함경도 남으로 경상도니 사실 억양이 순한 편은 아니래요. 사투리 네이티브들이 떠드는 걸 가마이 들어 보면 시끄럽고 억세요. 근데 그기 또 싸납게 느껴지진 않는 기 강원도 사람들 말뽄새가 어수룩하고 순박해 놔서 그렇잖소. 물론 처음 듣는 사람들한테는 좀 무섭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여타 지방에서는 방언이라 해야 되나 지역적 특성이라 해야 되나 말수가 적고 단답형으로 딱딱 끊어지기도 하는 경우도 있지 않소. 근데 이기는 억양은 좀 억센데 말하는 내용 들어 보면 진짜 별 기 읎사...[13]
이짝 사투리의 특징이라면 특징인데 영동 지방은 존댓말 쓸 때 남녀 구분이 있어요. 남자한테는 표준어처럼 합쇼체를 사용하는데, 여자한테는 하오체를 사용해요. 글타 해서 쌩판 모르는 사람이나 이웃 아주머이한테 그러다간 귀빵매이 맞고요, 보통은 친족끼리 사용하고 글타지요. 버릇이 없어 보일 수도 있는데 어머이요, 내가 밥을 먹었잖소, 하는 거 보면 정겹고 좋아요. 다만 이기 강릉 쪽에서 그카는 건 맞는데 삼척 쪽에서도 그카는지는 모르겠어요.[14] 안 그카는 거 같기도 하던데...
또 강원도만 그런 건지 시골이 다 그런진 모르겠는데 언나고 어르신네고 일본말을 사투리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되우 많더래요. 양파를 다마네기, 오징어를 이까 등으로 부르는데 그거 일본말이 아이고 사투리라고 을마나 쎄우던지. 이런 경우도 있지마는 택시를 다꾸시나 접시를 오사라로 부르는 경우는 다 알면서도 귀찮아서 그냥 그렇게 불러요. 또 아이대를 한다는 말도 있는데 인 아마 일어로 아이떼를 한다, 상대해준다는 말인 것 같아요.[15]
사투리 잘 모르는 젊은 머스마가 작성해서 요 항목은 부족한 점이 마이 있사. 또 되는 대로 최대한 다양한 사투리를 포함하고 포현하려고 통일성도 없사. 강원도 사시는 사람들이 좀 수정해주시고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우야. 그게요 실제로야 내래는 드래요같은 말따위야 별로 안 쓰는디 왜이리 드래요만 쓰시오? 입말과 글말이 다른데 사투리로 쓰는 거이 쉽겠소?
그나저나 글로 쓰자니 되우 어렵소. 강원도 사투리는 성조도 성조지만 묘하게 받침 ㄱ, ㄴ, ㄹ, ㅇ, ㅁ 등이 마치 독립된 것처럼 발음되기도 해요. 예를 들자면 표준어로 '이게'가, 영동 사투리로 하자면 이기도 아이고, 이게도 아이고, 익도 아니고, 이ㄱ도 아닌 것처럼 돼요. 정말 딱 자르기 힘든 게 사람 따라서[16] 이게 같기도 하고 이기 같기도 하고 익 같기도 하고 이ㄱ 같기도 하고 익이 아무튼 그래요. 기래서 그냥 글로 쓰긴 대강 쓰는데 아무튼 이ㄱ도 그렇고 우물우물하는 듯한 발음이나 성조, 묘한 리듬으로 막 말하고 싶어서 죽겠는 것처럼 말들이 급하게 툭툭 시작했다 끊기는 투박하고 순박한 리듬, 그리고 글자로 적자니 똑같긴 한데 강렬한 발음의 의태어 의성어까지... 막상 들어보면심지어 이 들어보면도 드+ㄹ+ㅓ 같은 느낌으로 발음해 놔서... 상당히 다를 끼래요... 쓰자니 진짜 되우 어렵네...
또 성조도 문제인데, 예를 들어서 빨리 가자고 할 때 빨리 가!자!(쓰자니 이렇지 실제로는 딱딱 끊어지는 게 아니라 조금 높고 센 정도의 느낌이래요)라고 하면 빨리 가자는 거고, 빨리 가~자~라고 하면 갖고 가라는 거래요.
- ↑ 특히 제일 동쪽에 있는 정선군.
- ↑ 이 지역의 말은 영동 방언 중에서도 ‘남서 영동 방언’에 속한다.
- ↑ 강원도 사람이 서울 가서 자기 서울말 잘한다고 으스대는 경우가 많은데 그건 사투리 구사자 대부분이 그렇다(...)
- ↑ 사실 강원도라는 지역 자체가 서울, 경기와 교류가 증가하면서 상당 부분 강원도 사투리의 정체성을 잃은 상태이며 미세하게 억양에만 방언 특유의 것이 남아있다. 정나나 얼푼, 마카, 개락이니 이런 표현은 강원도 최북단이나 강릉 토박이 어르신들이나 쓰는 말이다. 강원도와 가까운 충청북도
강원남도제천에서도 가끔 쓰는 어르신들이 있다. - ↑ ?? 실제로 사용한다. 실제 사례로, 호텔에 근무하던 직원에게 엘리베이터 위치를 물어보던 강릉사람이, 가르쳐준 위치에 가보고 못 찾자 다시 와서는, "없드래요!" 라고 하더라.
- ↑ 이기 고저 또 자연하믄 연 할때 ㅡ+ㅕ같은 발음을 카는데 그게 한글에 없어서야, 표현을 못하겠어요.
- ↑ 특히 제일 동쪽에 있는 정선군.
- ↑ 이 동네 말은 영동 방언 중에서도 ‘남서 영동 방언’이래요.
- ↑ 이기 지역마다 좀 다른데,구별하기케믄 조금 어려워난서요. 양해바래요.
- ↑ 이기 사실 재밌으면서도 예시를 들기가 조심스러운 게 위키 내 다른 방언 문서를 보면 실은 어르신네들이 쓰시는 말이나 서울권에서 잘 안 쓰는 말일 뿐인데 다 지네들만의 사투리라고 적어 논 걸 보이 함부로 쓰기는 또 좀 저어스럽잖소.
- ↑ 강혜정이 맡은 그 정신 나간 지지바 맞소 (...)
- ↑ 그런데 가끔 가다가 요놈의 영서지방 사람들이 영동지방 사람들 보고 그거 해보라고 하는 경우도 있소.
자기들도 같은 강원도 감자바우 아이나?예를 들자면 대관령 넘어서 춘천이나 원주 쪽 대학 진학한 영동지방 새내기들이 그렇다고 하더와. - ↑ 예시를 들궈 보자면 진짜 동막골에 나오는 것과 비슷하이 얘기를 해요. 내가 돼지를 때리면 가가 친구들한테 가서 저기 밭에는 무서운 놈이 산다고 얘기할 거 아이나, 니는 니가 맞으면 니 친구들한테 뭐라는데? 친구들 데리고 오지...;;
- ↑ 삼척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렇게는 안써요
- ↑ 다마네기 오사라 이런 건 사실 전국적인 일본어인데, 있다가 보면 가끔 생각지도 못한 일본어가 튀어나오지 않소. 다만 구체적 사례를 추가하자니 대굴빡이 나쁘고 고향 떠난 몸이라 기억이...
- ↑ 사람이 아이라 출신지역에 따라 차이나는 거 같기도 하고...